붑1151 세컨핸드 마켓과 패스트 패션 마켓 포브스에 약간 재밌는 기사가 실렸는데 세컨핸드 마켓의 성장률이 꽤 높아서 조만간 패스트 패션 마켓 시장 규모를 넘어설 거라는 이야기(링크)다. 이 기사는 약간 문제가 있긴 한데 우선 이 둘의 마켓이 비교 대상이 되는 건지가 의문이 있고(세컨핸드 마켓의 범위란 너무 넓다), 도표가 세컨핸드 판매 사이트인 스레드업에서 내놓은 거라 중고 시장에 대한 장미빛 전망이 들어가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렇지만 분명한 건 어쨌든 둘 다 집에 옷을 들여 놓는 루트라는 공통점이 있고, 예전과는 약간 다른 식으로 중고 옷이 주목받고 있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현재 상황 중 팩트는 2018년. 오른쪽에서 빨간 게 패스트 패션, 민트 색이 세컨핸드 마켓이다. 사실 세컨핸드 샵이 주목 받는 이유 중 하나는 리세일, 2차 시장 때문.. 2019. 4. 3. 포인터 브랜드의 초어 재킷, 최근 몇 가지 변화 테네시에서 온 워크웨어, 포인터 브랜드의 초어 재킷은 사실 아주 오래 전에 나온 옷이라 그동안 변형도 많고 어딘가 조금씩 바뀌긴 하는데 간만에 포인터 브랜드 LC King 홈페이지를 뒤적거리다 보니까 뭔가 여기저기 바뀌었길래 남겨 놓는다. 언제 바뀌었는지는 잘 모름.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포인터 브랜드라는 이름은 오버올 정도에 남겨 놓고 축소시키고 LC King이라는 이름으로 대체하고 있는 게 아닐까 싶다. LC King 사이트의 포인터 브랜드 부분도 보면 뭔가 떨이의 기운이 감돌고 있다(링크). 그래서 강아지가 사라지고 있어! 그게 제일 중요한데! 가장 표준이라 할 기존의 데님 초어 재킷, lot 45c는 한동안 이렇게 생긴 모습으로 나왔다. 금속 버튼과 카라, 스티치, 어깨 스티치를 주목. 라이닝이 있.. 2019. 3. 24. 울로 된 초어 재킷 언젠가부터 등산복하고 작업복만 입으며 살고 있는 거 같다. 뭐 등산복은 급변하는 날씨에 도움이 되고 작업복은 일을 한다라는 마인드를 불어 넣는데 도움이 된다. 초어 재킷(=작업복), 커버올은 형태가 다양하게 있지만 보통 덕 코튼이나 데님 같은 걸 겉감으로 쓴다. 추위를 대비해서 안에 싸구려 카페트 같은 울 라이닝, 폴리 라이닝이 붙어 있는 것도 있고 퀼트가 붙어 있는 것도 있다. 사실 이렇게 이종 레이어의 옷은 세탁이 어려워서 별로 좋아하진 않는다. 그리고 그렇게 따뜻하지도 않아, 추울 땐 차라리 안에 내피 같은 거 하나 더 입는 게 낫다. 아무튼 오늘은 울로 된 작업복. 이게 겨울 옷이긴 한데 알다시피 한국의 한 겨울에는 곤란하다. 그렇다고 활용도가 아예 없진 않은 게 적당히 피트 된 걸로 구입해 다운.. 2019. 3. 19. 마운틴 재킷의 주머니 구성 마운틴 재킷의 초기형을 시에라 디자인스라고 잡는다면 애초에는 편의성, 기능성을 중심으로 만들어 진 거라 주머니가 잔뜩 붙어 있는 게 자랑이었다. 위 둘, 아래 둘 + 둘, 뒷면 하나 해서 총 7개의 주머니가 있다. 이 중에 물건을 담을 용도라면 앞에 넷, 손을 넣는 둘이 있다. 저번에 말했듯 데일리 백팩 하나 분량을 모두 담을 수 있는 정도를 생각했다고 한다. 이런 형태는 더 예전이라면 필슨의 크루저 같은 워크 재킷, 바버의 헌팅 재킷, 군대의 필드 재킷 등에서 그 기능성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것보다 조금 더 전인 세계 대전 무렵의 해군의 피코트를 보면 사이드 핸드 워머 포켓이 있다. 아래에는 주머니가 없고 사이드에 가로 주머니만 있다. 사실 핸드 워머 포켓은 뭔가 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어.. 2019. 3. 16. 상대의 옷을 보고 무엇을 알 수 있을까 비비씨에서 과연 정장과 넥타이가 사라질 것인가라는 뉴스를 다뤘다(링크). 예시로 든 건 골드만 삭스의 출퇴근 복장 유연성. 약간 재미있는 건 "차려입는 행위"가 남을 거라고 말한 세 명의 인터뷰 모두 돈을 맡길 때를 예로 들었다. 즉 청바지 같은 걸 입고 있는 사람은 믿기 어렵지 않느냐는 것. 이 말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건 금융 사기를 칠 생각이라면 일단 고급 정장을 맞춰라. 물론 저분들도 그저 옷으로만 판단하진 않을 거다. 말 그대로 돈을 맡길 생각이라면 회사와 배경, 말투, 손짓, 눈빛까지 가능한 많은 정보를 얻으려 할 거다. 이 수많은 정보들 중 옷의 중요성이 과연 얼마나 될까. 애초에 과연 옷으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잘 차려입은 착장을 보고 알 수 있는 건 그의 성실함이 아니라 이 사람은 옷을.. 2019. 3. 11. 빈티지 풍 셔츠의 몇 가지 거슬림 사실 이런 부분은 내가 마음에 들든 말든 예전에 원래 그렇게 생겼다는 데 할 말이 없는 분야긴 하다. 아무튼 버튼 업 셔츠를 좋아하는 사람 입장에서 이런 저런 셔츠를 가지고 있는데 빈티지 풍 셔츠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 이런 형태를 하나는 가지고 있어야겠지...라는 생각으로 구입했는데 역시 불편하다. 이런 모습을 round placket 이런 식으로 말하는 거 같은데 정확한 명칭은 모르겠다. 1920년대 풍 워크 셔츠, 1930년대 풍 워크 셔츠, 빈티지 풍 밀리터리/워크 셔츠, 1890년대 풍 CPO 셔츠 등의 문구가 붙어있는 제품에서 단추 부분이 이렇게 된 걸 볼 수 있다. 문제라면 좌우 무게가 맞지 않기 때문에 어딘가 불안함을 주고, 또한 단추 부분이 겹으로 되어 있는데 아래 곡선 때문에 중간에 .. 2019. 3. 6. 수선의 효용 지금까지 참 많은 옷, 신발 등을 수선을 맡겨 봤다. 간단한 자가 수선도 꽤 있다. 아무튼 맡긴 것들을 생각해 보면 그렇게 만족스러운 결과를 받아본 적은 드물다. 예전에는 옷을 변형하는 것도 해봤지만 이건 제대로 입게 된 게 하나도 없다. 이후에는 옷을 만든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한 건지 이해해보자는 마인드로 바뀌면서 가능한 원형은 건들지 않는다. 원형이 마음에 안드는데 어디만 고치면 괜찮아 질 거 같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게 좋다. 아무튼 그냥 원형 복구 수선만 해도 기술이 좋으면 이 분 무슨 생각을 하는 거야 싶게 미감이 좀 이상한 경우가 많고, 생긴 게 마음에 들면 어딘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사실 양쪽이 다 훌륭하다면 브랜드 런칭을 하는 게 옳은 결정이 아닐까 싶다. 그게 아니더라도 아.. 2019. 3. 2. 노스페이스의 턱시도 작년에 고프코어 이야기를 하면서 요세미티를 오르는 클라이머 이야기를 몇 번 한 적이 있다. 그러면서 몇 개의 다큐멘터리도 소개하고 그랬는데 그때 이야기했던 "반란의 계곡(Valley Uprising)" 맨 끝에 나오는 사람이(승합차에서 먹고 자며 산 오르는 사람이었을 거다) 알렉스 호놀드다. 이 사람의 요세미티 프리 솔로(밧줄 없이 올라가는 거)를 다큐멘터리로 제작한 게 작년에 개봉했는데 엘리자베스 차이 베사헬리와 지미 친이 만들었다. 이 둘은 부부인데 둘이 함께 만든 작품으로 메루가 있다. 세 명의 (미친) 등산가가(그 중 한 명은 물론 지미 친이다) 메루라는 히말라야 봉우리 중 하나를 오르는 역경의 극복 스토리. 이것도 상당히 재미있음. 배니티 페어의 영화 관련 인터뷰 아무튼 이 프리 솔로가 2019.. 2019. 2. 25. 옷 리뷰는 역시 아웃도어 웨어 가끔 유튜브를 뒤적거리면서 옷 리뷰 혹은 상점의 옷 소개를 보는데 아웃도어 계열이 역시 가장 재미있다. 사실 아웃도어 의류에서 가장 중요한 게 옷감의 촉감, 미묘하게 다른 두께, 안감의 느낌 이런 거긴 한데 그 부분은 물론 직접 보는 것과 차이가 나긴 한다. 하지만 뭐 아무렴 어때. 노스페이스 고담 3 파카의 허리 라인이 얼마나 올라가는 지 테스트하고 있다. 하여간 싱글벙글. 요란하게 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래도 역시 웃는 얼굴. 종일 본다... 2019. 2. 23.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