붑1130 화이트 오크의 셀비지 데님이 다시 나올까 콘 밀스가 화이트 오크 팩토리 폐쇄를 결정한 후 미국산 셀비지 데님, 더 크게는 미국산 청바지는 어떻게 될까라는 이야기를 많이 했었다. 그런데 며칠 전 좀 재밌는 뉴스가 떴는데 화이트 오크 공장의 드레이퍼 X3 셔틀룸을 노스 캐롤라이나 지역 사업가가 구입했고 셀비지 데님을 다시 생산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췄다고 한다. 이것이 드레이퍼 X3. 이 셔틀룸에 대해서는 책 레플리카에서도 짧게나마 언급한 적이 있다(링크). 아무튼 윌 델링거라는 분이 구입했는데 구입 목적 자체가 이 셔틀 룸의 재가동이다. 콘 밀스 측에서도 이 아이코닉한 기계와 생산품이 노스 캐롤라이나의 그린스보로에 남게 되어서 다행이다 뭐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이왕 이렇게 시작된 거 화이트 오크 셀비지 데님을 다시 볼 수 있으면 좋겠다. 문.. 2019. 4. 18. 미국과 프랑스 옛날식 워크 재킷의 차이 벚꽃이 질 때 쯤 되면 냉기가 사라지고 워크 재킷, 초어 재킷을 입기 알맞은 계절이 온다. 물론 벚꽃 필 때 쯤 부터 이미 지퍼 후드 같은 거 입고 다니는 사람도 있지만 추위를 많이 타서 불가능. 하지만 이렇게 스케줄을 짜면 5월 오자마자 확 더워지기 때문에 입을 수 있는 주기가 상당히 짧아진다. 보통 한달, 계절 주기로 이번 시즌에 집중 소진 시킬 라인업을 몇 개 정해 순환 반복 착용을 하는데 올 봄은 워크웨어로 가고 있다. 게다가 자유직종에 종사하는 나 같은 사람은 옷을 통해 일한다!라는 의지를 조금이라도 더 불어 넣을 필요도 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새로 나온 책 일상복 탐구(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그런 김에 미국과 프랑스 워크 재킷 이야기를 잠깐. 이왕 이야기를 꺼낸 김에 이런 이야기를 자꾸.. 2019. 4. 17. 책 레플리카가 이북으로도 나왔습니다 리디북스에 전자책으로 레플리카가 나왔습니다. 여기(링크)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알라딘이나 교보 등을 찾아봤는데 거기는 아직 없는 거 같더라고요. 출간 일정 같은 건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책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여기(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18년 하반기 세종도서 교양부문으로도 선정되었습니다!(링크). 추가 : 알라딘 (링크)예스24 (링크)교보문고 (링크) 사실 책이란 단지 내용이 아니라 생긴 모습, 디자인, 무게감, 색깔, 촉감, 종이질, 종이 두께, 글자체 등등이 합쳐진 그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전소영 님이 그리신 여러가지 그림도 들어 있기 때문에 그래도 물리적 책이 더 흥미진진한 면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또 전자책 특유의 편리함도 무시할 수 없죠. 마찬가지로 액정의 톤, 반사각, 모바일.. 2019. 4. 14. 새로운 책 일상복 탐구가 나왔습니다 새 책 일상복 탐구가 나왔습니다. 서점에 들어갔을 거에요. 혹시 검색했는데 없어도 곧 나올 겁니다. 구입 링크는 맨 아래 추가! 워크룸 프레스에서 나왔고 가격은 14000원입니다. 시선이 약간 다르긴 하지만 이 전의 책 패션 vs. 패션(링크) 이후에 대한 이야기들로 연결되는 지점들이 있습니다. 이 책을 둘러싸고 있는 이야기를 이곳에 간단히 해보자면 * 3년 전 먹으며 SNS에 올린 맛있는 음식은 기억하지만 3일 전 먹은 음식은 기억도 나지 않죠. 하지만 지금 몸을 움직이게 하는 건 3일 전 먹은 음식입니다. 일상복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요한 날 챙겨 입었던 옷은 기억 속에 있지만 3일 전에 입은 일상복은 기억이 나지 않죠. 그렇지만 당신의 모습을 만드는 건, 평온한 삶을 보조하고 있는 건 일상복입니다. .. 2019. 4. 11. Tie-Dye는 유행을 할까 60년대 히피 시대에 유행했던 것들이 스트리트웨어 트렌드와 함께 거의 한 번씩은 리바이벌을 거치고 있다. 예컨대 운동을 하는 사람들 - 후디와 스웨트, 플리스 파일 재킷, 산을 타는 사람들 - 마운틴 재킷과 나일론 다운 베스트 그리고 데님, 그외 밀리터리와 DIY, 문구가 적힌 티셔츠 등등. 이것들은 스포츠웨어의 현대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발전형 타입(고어텍스)과 올드 타입(나일론 립스톱이나 6040) 등이 혼재하고 있다. 이 와중에 계속 이야기가 나오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타이 다이(Tie-Dye)다. 이런 것들. 사실 최근의 스트리트 패션 트렌드는 볼드한 컬러와 미니멀한 디자인 등 말끔히 정리되어 있는 분위기가 특징 중 하나다. 티셔츠나 옷 위에 글자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놈.. 2019. 4. 4. Supreme + 장 폴 골티에의 콜라보가 나온다 슈프림 뉴욕과 장 폴 골티에의 콜라보가 나온다. 사실 왜 장 폴 골티에?라는 생각이 먼저 들긴 한다. 물론 지금도 유명한 디자이너이긴 하지만 장 폴 골티에의 전성기가 언제였더라. 그보다 요새 문화적으로 어느 시점에서 뭔가 단절되었다는 느낌을 몇 군데서 받고 있는데 슈프림의 구매자들이 장 폴 골티에가 누군지 알까? 물론 문화적 단절 같은 건 예부터 계속 있기 마련이다. 예컨대 옛날에 유명했던 연예인을 지금 모르는 건 흔한 현상이다. 이게 최근 들어 매우 가속화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데 SNS나 인터넷이 매우 빨라진 영향이 아닐까 싶다. 아무튼 장 폴 골티에다. 이건 슈프림 인스타그램에 계정에 올라온 사진(링크). 그리고 이건 보그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라온 사진(링크). 사진의 저 분은 루데스 레온, 마돈.. 2019. 4. 3. 세컨핸드 마켓과 패스트 패션 마켓 포브스에 약간 재밌는 기사가 실렸는데 세컨핸드 마켓의 성장률이 꽤 높아서 조만간 패스트 패션 마켓 시장 규모를 넘어설 거라는 이야기(링크)다. 이 기사는 약간 문제가 있긴 한데 우선 이 둘의 마켓이 비교 대상이 되는 건지가 의문이 있고(세컨핸드 마켓의 범위란 너무 넓다), 도표가 세컨핸드 판매 사이트인 스레드업에서 내놓은 거라 중고 시장에 대한 장미빛 전망이 들어가 있다는 점 때문이다. 그렇지만 분명한 건 어쨌든 둘 다 집에 옷을 들여 놓는 루트라는 공통점이 있고, 예전과는 약간 다른 식으로 중고 옷이 주목받고 있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현재 상황 중 팩트는 2018년. 오른쪽에서 빨간 게 패스트 패션, 민트 색이 세컨핸드 마켓이다. 사실 세컨핸드 샵이 주목 받는 이유 중 하나는 리세일, 2차 시장 때문.. 2019. 4. 3. 포인터 브랜드의 초어 재킷, 최근 몇 가지 변화 테네시에서 온 워크웨어, 포인터 브랜드의 초어 재킷은 사실 아주 오래 전에 나온 옷이라 그동안 변형도 많고 어딘가 조금씩 바뀌긴 하는데 간만에 포인터 브랜드 LC King 홈페이지를 뒤적거리다 보니까 뭔가 여기저기 바뀌었길래 남겨 놓는다. 언제 바뀌었는지는 잘 모름. 전체적으로 분위기가 포인터 브랜드라는 이름은 오버올 정도에 남겨 놓고 축소시키고 LC King이라는 이름으로 대체하고 있는 게 아닐까 싶다. LC King 사이트의 포인터 브랜드 부분도 보면 뭔가 떨이의 기운이 감돌고 있다(링크). 그래서 강아지가 사라지고 있어! 그게 제일 중요한데! 가장 표준이라 할 기존의 데님 초어 재킷, lot 45c는 한동안 이렇게 생긴 모습으로 나왔다. 금속 버튼과 카라, 스티치, 어깨 스티치를 주목. 라이닝이 있.. 2019. 3. 24. 울로 된 초어 재킷 언젠가부터 등산복하고 작업복만 입으며 살고 있는 거 같다. 뭐 등산복은 급변하는 날씨에 도움이 되고 작업복은 일을 한다라는 마인드를 불어 넣는데 도움이 된다. 초어 재킷(=작업복), 커버올은 형태가 다양하게 있지만 보통 덕 코튼이나 데님 같은 걸 겉감으로 쓴다. 추위를 대비해서 안에 싸구려 카페트 같은 울 라이닝, 폴리 라이닝이 붙어 있는 것도 있고 퀼트가 붙어 있는 것도 있다. 사실 이렇게 이종 레이어의 옷은 세탁이 어려워서 별로 좋아하진 않는다. 그리고 그렇게 따뜻하지도 않아, 추울 땐 차라리 안에 내피 같은 거 하나 더 입는 게 낫다. 아무튼 오늘은 울로 된 작업복. 이게 겨울 옷이긴 한데 알다시피 한국의 한 겨울에는 곤란하다. 그렇다고 활용도가 아예 없진 않은 게 적당히 피트 된 걸로 구입해 다운.. 2019. 3. 19.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