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51

60/40 크로스의 매력 요새 새삼 60/40 크로스가 재밌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혹시 60/40 크로스가 뭔지 모른다면 여기(링크)를 참고. 간단히 말해 70년대 쯤의 기능성 방수 섬유다. 면 60%, 나일론 40% 정도의 혼방인데 날실 찌실을 이렇게 저렇게 엮어서 양쪽의 장점을 살렸다. 시에라 마운틴 파카에서 처음(아마도?) 사용한 천으로 일본에서는 욘로쿠 크로스라고 부른다. 이 부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헤비 듀티(링크)를 읽어보는 것도 괜찮다. 뭐 방수의 원리는 나일론 사이의 면이 부풀어 올라 수분의 침투를 막는다... 이렇다는데 비 맞으면서 입어본 적이 없어서 사실 잘 모르겠다. 방수 투습을 제외하고 장점을 보자면 면에 비해 더 단단한 느낌이 들고 나일론에 비해 마찰에 강하다. 살짝 반짝거리고 옛날 텐트 겉면 같은 .. 2019. 4. 28.
옷 문제와 고민, 해결 혹은 실패 요새 일이 너무 많아서, 사실은 잘 안 풀려서 여기가 뜸하다. 아무튼 그런 와중에도 옷과 관련된 고민은 계속된다. 문제) 괜찮고 저렴한 가벼운 코튼 코트가 눈에 띄었다 - 문제) 하지만 사실 라이트 코트가 하나 입는데 잘 안 입는다 - 이유) 입을 타이밍을 모르겠기 때문이다 - 이유) 추울 때는 라이트 코트로는 춥고 언제 입지... 하다 보면 이미 덥다 - 문제) 그러므로 다른 걸 들여놔 봐야 똑같은 길을 걷게 될 거다 - 또 문제) 애초에 봄/가을용 옷은 겨울 아우터웨어 안에 입을 수 있는 게 아니라면 들여 놓지 않는 게 답이다 - 문제) 롱코트라는 건 무슨 일이 있어도 이너로 입는 옷이 아니다 - 그리고 결정적 문제) 그래도 또 언제 입어 보겠냐... 이 짧고 재미도 없는 인생 - 다시 맨 앞으로. .. 2019. 4. 25.
패션은 코튼의 대안을 찾고 있다 코튼은 환경 오염과 노동 문제 발생의 핵심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사실 코튼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진짜 문제는 옷이 너무 많다는 거다. 너무 많이 사고, 그러니까 너무 많이 생산하고, 그중에서 인류의 오랜 벗 코튼이 많고, 이건 또 세계 곳곳에서 잘도 생산되고 등등의 이유로 이 모든 책임을 코튼이 뒤집어 쓰고 있다. 그렇지만 하여간 코튼이 문제다. 그 해결책 중 하나는 대안을 늘려서 코튼 생산량을 줄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을 거다. 그렇기 때문에 요 몇 년 간 다양한 제품들이 나오고 있다. 최근 나온 몇 가지 이야기. 폴로의 폴로 셔츠는 면으로 만든 대표적인 제품 중 하나인데 사실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 섬유 제품들도 꽤 볼 수 있었다. 아무튼 며칠 전 폴로는 어스 폴로라는 이름으로.. 2019. 4. 21.
화이트 오크의 셀비지 데님이 다시 나올까 콘 밀스가 화이트 오크 팩토리 폐쇄를 결정한 후 미국산 셀비지 데님, 더 크게는 미국산 청바지는 어떻게 될까라는 이야기를 많이 했었다. 그런데 며칠 전 좀 재밌는 뉴스가 떴는데 화이트 오크 공장의 드레이퍼 X3 셔틀룸을 노스 캐롤라이나 지역 사업가가 구입했고 셀비지 데님을 다시 생산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췄다고 한다. 이것이 드레이퍼 X3. 이 셔틀룸에 대해서는 책 레플리카에서도 짧게나마 언급한 적이 있다(링크). 아무튼 윌 델링거라는 분이 구입했는데 구입 목적 자체가 이 셔틀 룸의 재가동이다. 콘 밀스 측에서도 이 아이코닉한 기계와 생산품이 노스 캐롤라이나의 그린스보로에 남게 되어서 다행이다 뭐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이왕 이렇게 시작된 거 화이트 오크 셀비지 데님을 다시 볼 수 있으면 좋겠다. 문.. 2019. 4. 18.
미국과 프랑스 옛날식 워크 재킷의 차이 벚꽃이 질 때 쯤 되면 냉기가 사라지고 워크 재킷, 초어 재킷을 입기 알맞은 계절이 온다. 물론 벚꽃 필 때 쯤 부터 이미 지퍼 후드 같은 거 입고 다니는 사람도 있지만 추위를 많이 타서 불가능. 하지만 이렇게 스케줄을 짜면 5월 오자마자 확 더워지기 때문에 입을 수 있는 주기가 상당히 짧아진다. 보통 한달, 계절 주기로 이번 시즌에 집중 소진 시킬 라인업을 몇 개 정해 순환 반복 착용을 하는데 올 봄은 워크웨어로 가고 있다. 게다가 자유직종에 종사하는 나 같은 사람은 옷을 통해 일한다!라는 의지를 조금이라도 더 불어 넣을 필요도 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새로 나온 책 일상복 탐구(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그런 김에 미국과 프랑스 워크 재킷 이야기를 잠깐. 이왕 이야기를 꺼낸 김에 이런 이야기를 자꾸.. 2019. 4. 17.
책 레플리카가 이북으로도 나왔습니다 리디북스에 전자책으로 레플리카가 나왔습니다. 여기(링크)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알라딘이나 교보 등을 찾아봤는데 거기는 아직 없는 거 같더라고요. 출간 일정 같은 건 사실 잘 모르겠습니다... 책에 대한 간단한 설명은 여기(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18년 하반기 세종도서 교양부문으로도 선정되었습니다!(링크). 추가 : 알라딘 (링크)예스24 (링크)교보문고 (링크) 사실 책이란 단지 내용이 아니라 생긴 모습, 디자인, 무게감, 색깔, 촉감, 종이질, 종이 두께, 글자체 등등이 합쳐진 그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전소영 님이 그리신 여러가지 그림도 들어 있기 때문에 그래도 물리적 책이 더 흥미진진한 면이 많다고 생각하지만 또 전자책 특유의 편리함도 무시할 수 없죠. 마찬가지로 액정의 톤, 반사각, 모바일.. 2019. 4. 14.
새로운 책 일상복 탐구가 나왔습니다 새 책 일상복 탐구가 나왔습니다. 서점에 들어갔을 거에요. 혹시 검색했는데 없어도 곧 나올 겁니다. 구입 링크는 맨 아래 추가! 워크룸 프레스에서 나왔고 가격은 14000원입니다. 시선이 약간 다르긴 하지만 이 전의 책 패션 vs. 패션(링크) 이후에 대한 이야기들로 연결되는 지점들이 있습니다. 이 책을 둘러싸고 있는 이야기를 이곳에 간단히 해보자면 * 3년 전 먹으며 SNS에 올린 맛있는 음식은 기억하지만 3일 전 먹은 음식은 기억도 나지 않죠. 하지만 지금 몸을 움직이게 하는 건 3일 전 먹은 음식입니다. 일상복도 마찬가지입니다. 중요한 날 챙겨 입었던 옷은 기억 속에 있지만 3일 전에 입은 일상복은 기억이 나지 않죠. 그렇지만 당신의 모습을 만드는 건, 평온한 삶을 보조하고 있는 건 일상복입니다. .. 2019. 4. 11.
Tie-Dye는 유행을 할까 60년대 히피 시대에 유행했던 것들이 스트리트웨어 트렌드와 함께 거의 한 번씩은 리바이벌을 거치고 있다. 예컨대 운동을 하는 사람들 - 후디와 스웨트, 플리스 파일 재킷, 산을 타는 사람들 - 마운틴 재킷과 나일론 다운 베스트 그리고 데님, 그외 밀리터리와 DIY, 문구가 적힌 티셔츠 등등. 이것들은 스포츠웨어의 현대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발전형 타입(고어텍스)과 올드 타입(나일론 립스톱이나 6040) 등이 혼재하고 있다. 이 와중에 계속 이야기가 나오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타이 다이(Tie-Dye)다. 이런 것들. 사실 최근의 스트리트 패션 트렌드는 볼드한 컬러와 미니멀한 디자인 등 말끔히 정리되어 있는 분위기가 특징 중 하나다. 티셔츠나 옷 위에 글자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놈.. 2019. 4. 4.
Supreme + 장 폴 골티에의 콜라보가 나온다 슈프림 뉴욕과 장 폴 골티에의 콜라보가 나온다. 사실 왜 장 폴 골티에?라는 생각이 먼저 들긴 한다. 물론 지금도 유명한 디자이너이긴 하지만 장 폴 골티에의 전성기가 언제였더라. 그보다 요새 문화적으로 어느 시점에서 뭔가 단절되었다는 느낌을 몇 군데서 받고 있는데 슈프림의 구매자들이 장 폴 골티에가 누군지 알까? 물론 문화적 단절 같은 건 예부터 계속 있기 마련이다. 예컨대 옛날에 유명했던 연예인을 지금 모르는 건 흔한 현상이다. 이게 최근 들어 매우 가속화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데 SNS나 인터넷이 매우 빨라진 영향이 아닐까 싶다. 아무튼 장 폴 골티에다. 이건 슈프림 인스타그램에 계정에 올라온 사진(링크). 그리고 이건 보그 인스타그램 계정에 올라온 사진(링크). 사진의 저 분은 루데스 레온, 마돈.. 2019.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