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티클104

청담동 쇼핑 스팟의 형성 예전에 썼던 것. 약간 덧붙였던 것들은 여기(링크) 참고. 1990년대 중반 즈음을 생각해 보면 고급 패션 브랜드 단독의 대형 매장은 거의 없었다. 지금의 홍대 주차장 거리에 2층 규모의 커다란 아르마니 매장이 있었던 기억이 있지만 그렇게 흔한 일은 아니었다. 고급 브랜드라면 보통 삼성동, 영동, 압구정동, 서초동 등지의 백화점에서 볼 수 있었다. 그러다가 IMF 시절을 지나며 존재감을 과시하는 디자이너 브랜드의 대형 플래그십 매장이 청담동 거리를 중심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20년 정도의 세월이 지나갔지만 화려한 고급 패션의 거리라면 여전히 청담동의 패션 거리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과정을 거쳐 청담동이 되었을까. 1961년 명동 쇼핑 지도. 한국 전쟁이 끝나고 남대문과 동대문 지역이 일상복 .. 2023. 4. 12.
샤넬 오트쿠튀르와 승마 샤넬 오트쿠튀르에 말이 등장했다. 그냥 서 있는 것도 아니고, 도각도각 걷는 것도 아니고, 말 그대로 달렸다. 다그닥 다그닥. 물론 샤넬의 고객이라면 승마 정도는 취미로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을 거다. 게다가 오트쿠튀르라면 승마 취미가 문제가 아니라 말 소유주에 목장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그러므로 친숙한 모습일 수 있다. 하지만 패션은 환상을 심어주는 일을 한다. 그리고 그 환상이 무엇이냐가 브랜드가 가는 길의 가장 중요한 단면이다. 1. 실제 말이 등장했다. 캠페인 사진도 아니고, 영상도 아니고 굳이 실제로 캣워크 위에 말이 등장할 필요가 있을까. 사람도 많고 조명은 밝다. 그것도 매우 가까이 있다. 말에게도 사람에게도 좋을 게 없다. 말의 사용은 국내에서도 한창 문제다. 인간의 사리사욕을 위한.. 2022. 1. 26.
버질 아블로가 세상을 떠났다 새벽에 자다가 깨서 스마트폰을 뒤적거리다가 버질 아블로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보고 깜짝 놀랐다. 사인은 암(cardiac angiosarcoma). 너무 예상하지 못한 뉴스였고, 너무 현역인 분이었기 때문이다. 원래 일을 많이 하는 타입이긴 하지만 최근 들어 나오는 소식 보면서 일을 너무 많이 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었는데 일이 이렇게 되고 보니 어쩐지 이해가 가기도 한다. 물론 암 없었어도 이렇게 계속 일을 할 사람이긴 했겠지만. 얼마 전 게시판이나 포럼을 보면서 나이키 + 오프 화이트 콜라보를 통해 고급 패션의 세계로 들어선 사람들이 꽤 많다는 걸 느낀 적이 있다. 보던 것과 다른 패션, 생각하던 것과 다른 패션을 본 충격은 누군가의 세계관을 바꿔놓고 이후 오래 영향을 미친다. 조금 더 진중.. 2021. 11. 29.
칸예 웨스트, 슬로우 패션 이 둘은 사실 딱히 밀접한 관계는 없을 지도 모르는데 얼마 전 칸예의 돈다 프로모션을 보고, 또 어떤 계기로 예전에 쓴 글을 다시 읽어보다가 이 문제에 대해 조금 더 곰곰이 생각해 보고 있는 김에 여기에도 올려본다. 원래 제목은 과연 슬로우 패션의 시대가 올까. 올렸던 곳은 여기(링크). 하이프, 어글리 프리티, 부랑자 룩, 스트리트 패션 등은 기존 하이 패션의 대척점을 형성하는 비주류 패션이었다. 이것이 패션이 주류의 자리로 넘어와 자리를 차지하게 된 지도 벌써 꽤 시간이 흘렀다. 물론 그동안 힙합, 스트리트, 스케이트보드, 서핑, 스니커즈 문화 등이 함께 섞여 1980년대 이전부터 쌓여왔지만 2010년이 지나 본격적으로 올라오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그 후로도 10여년 가까이가 지났다. 이렇게 기.. 2021. 8. 13.
신장에는 뭐가 있을까 위구르 족이 살고 있는 신장에는 뭐가 있을까. 물론 그 지역의 핵심적인 산업은 가스와 석유 같은 것들이다. 상하이까지 연결되어 있는 송유관이 그 근처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여러가지 산업들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코튼, 면이다. 면은 목화 스테이플의 길이에 따라 품질이 좌우된다. 길고 가늘면 꼬임을 더 많이 줄 수 있고 그러면 더 고급의 면을 만들 수 있다. 위에서 볼 수 있듯 신장에서는 꽤 고급 면이 나온다. 게다가 많이 나온다. 위구르는 이슬람 종교를 믿는 이들이 많고, 그들은 한족과 사이가 좋지 않았고, 몇 차례 폭동이나 폭력 사건이 일어났고, 중국 당국은 이들이 테러의 위험이 있다 간주하고 "갱생"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간단한 요약은 BBC 한글판(링크). 위구르 족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살다가.. 2021. 3. 4.
파타고니아의 새로운 환경 캠페인 얼마 전 블랙 프라이데이 쇼핑 시즌을 기점으로 파타고니아가 새로운 캠페인을 시작했다. 미국 공홈 뒤적거리다가 계속 이상한 안내문이 나와서 뭔가 했었다... 예전에 나왔던 캠페인 Don't Buy This Jacket에서 한 발 더 나아가 Buy Less, Demand More, 적게 사고 더 많이 요구하라는 내용이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 공홈에도 올라왔으니 참고하시고(링크). 요구의 내용은 유기농 원단, 리사이클 제품, 재생 유기농 인증 제품, 공정 무역 제품, 헴프 사용, 율렉스 천연 고무 제품, 트레이서블 다운, 리스판서블 울 제품, 더 나은 수선 서비스, 질 좋은 제품 등등이다. 지속 가능한 패션, 환경 보호, 노동 환경 개선 등등 현재 옷이 일으키는 문제 전반에 걸쳐 있다. 특히 얼마 전 원웨어 .. 2020. 12. 2.
신디케이트의 변화 예전에는 잡지 - 책 - 브랜드로 이어진 신디케이트가 패션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예컨대 VAN과 뽀빠이가 그런 신디케이트 하에서 아이비 패션과 캘리포니아 라이프스타일을 트렌드로 만들었다. 사실 GQ나 에스콰이어 같은 잡지에서 종종 내놓던 젠트맨스 가이드 류도 그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룰을 제시하고 이 정도는 해야 한다는 사실을 은연 중 주입한다. 여기서는 에디터, 저자, 연예인, 유명인 등이 '모습'을 전도하는 역할을 한다. 요즘엔 이 신디케이트가 글로벌 SNS - 웹 매거진(사실 SNS와 연동되어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 브랜드로 바뀌었다. '정본' 중심의 자세한 매뉴얼보다는 인스턴트한 사진이 더 큰 역할을 하고 이는 지금 시대의 속도감을 반영한다. 눈에 잘 띄지 않지만 그 영향력.. 2020. 5. 18.
지속 가능한 패션의 미래 지금 제일 중요한 이슈는 패션의 지속 가능성이다. 이걸 무시하거나 어떻게 되겠지 하고 바라만 보고 있는 브랜드들, 소비자들, 그외에 이런저런 관련업들은 앞으로 설 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결국은 이런 걸 기반으로 한 패션 - 섬유, 부자재, 옷의 형태, 옷을 입는 방식 - 이 만들어지지 않을까. 예컨대 자동차가 전기, 수소, 무인 등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근본적인 부분을 다시 검토하기 시작한 것과 마찬가지다. 문제는 익숙함인데 그런 지지부진함은 유행을 통해 넘어설 수 있기 마련이다. 지난 달에 프랑스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이 열렸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을 비롯한 복잡한 정치적 현안과 대립이 워낙 많은 회담이었지만 그런 와중에 패션에 대한 내용도 있었다. 주최국인 프랑스의 마크롱 대통령의.. 2019. 9. 17.
에티컬 쥬얼리, 플라스틱 쥬얼리 환경의 문제를 비롯해 비형식에 대한 선호, 편안함 등의 영향으로 울은 플리스로 퍼는 페이크 퍼로 포멀 웨어는 스트리트 웨어로 바뀌는 분위기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했다. 그 중에 하나가 또한 쥬얼리 분야다. 이 분야 역시 재활용, 대안 재료 등이 많이 논의되고 있다. 물론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는 있다. 예컨대 "간극"이다. 엄격한 포멀 웨어, 반짝이는 다이아몬드의 형식성에 대해 비판할 수 있다. 그런 게 과연 필요한 건가,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사용하는 건가. 게다가 환경도 파괴하고 노동 문제도 일으킨다. 동물들은 고통 받고 보석 광산에서는 현대 사회라고는 믿기지 않는 일들이(링크) 벌어지기도 한다. 나 좋으라고 한다고 하지만 혹시 구태의연한 사회적 질서가 지나치게 내재화되어 있는 건 아닌지 자신을 돌.. 2019.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