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521 매튜 윌리엄스가 지방시를 떠났다 매튜 윌리엄스가 지방시를 떠났다. 스트리트 기반의 미국 디자이너들이 유럽 브랜드의 요소요소에 들어갔고 그중 대표적인게 아마도 버질 아블로의 루이 비통이나 1017 Alyx 9SM의 매튜 윌리엄스가 지방시를 맡게 된 걸텐데 결과가 그다지 신통치는 않다. 자기 브랜드나 나이키 콜라보 같은 데서 보여줬던 잠재력을 대형 브랜드에서 잘 드러내지를 못한다. 겐조의 니고 같은 경우는 약간 다른데 니고가 오랜 브랜드 운영과 나름 대단했던 흥망성쇠를 겪은 경험이 있고 니고의 일본 - 미국 아카이브를 겐조의 일본 - 프랑스 아카이브에 결합을 시도하면서 나름 재미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하루 밤 사이에 프랑스 디자이너 하우스를 맡게 된 사람이 아님. 이에 대해 여러 번 이야기를 했지만 스트리트 패션이 풀 컬.. 2023. 12. 4. 요시다 포터, 식물성 나일론 포터가 2024년 1월 식물성 나일론으로 만든 올 뉴 탱커 라인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탱커가 뉴 탱커였나 한 번 변화를 했었는데 이번에 환경 친화 문제에 신경을 쓴 대대적인 리뉴얼을 하게 된다. 원래 라인이 같이 나오는 지는 모르겠는데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식물성 나일론을 쓰겠다고 해놓고 원래 나오던 게 계속 나오면 그것도 좀 이상하기는 하다. 식물성 나일론은 이야기를 듣기만 했지 뭔지는 잘 몰랐는데 이번에 좀 알아봤다. 식물성 나일론을 사용하는 몇몇 회사가 있고 예티, 룰루레몬 등이 이미 제품을 출시했다. 검색해 보면서 좀 헷갈렸는데 vegan nylon 같은 거 아니고 plant based nylon이구만. 식물 기반 나일론. 간단히 말해 원래 나일론은 석유에서 만들어지는데 식물성 나일론은 식물의 .. 2023. 11. 30. 다운 재킷의 스티치에 왁스칠 주의 : 하고 싶다면 곰곰이 생각해 보고 실행하세요. 책임 안 짐. 난 모르는 일. 기본적으로 옷을 보면서 이걸 만든 사람이 무슨 생각을 했을 거 아냐, 대체 왜 이랬지 등등을 고심해 보는 걸 좋아한다. 그러므로 껍데기만 남아있는 장식 같은 데 별로 호감이 없고, 어떤 카테고리의 기원이 되는 옷에 호감이 많은 편이다. 즉 그 옷이 있기에 다음 옷이 있는 옷들. 참고로 그냥 아무 의미없이 오직 꾸밈의 유희를 위해 붙어 있는 것들에는 또 약간 호감이 있다. 인간은 원래 그렇게 별 생각이 없는 거에 많은 투자를 하는 불완전하고 불합리한 존재라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대대적인 개조를 한다던가, 옷을 뜯어 가방을 만드는 거 같은 리메이크를 한다던가 하는 데는 크게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 원본의 이유를 훼.. 2023. 11. 25. 좁은 눈으로 볼 때나 흥미진진하다 가벼운 단상 몇 가지. 최근 패션은 흐름을 놓고 보면 별로 재미가 없는게 오직 하이프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올드 머니도 별 게 없어. 갑자기 유한 계급에 대한 열망이 나타난 것도 아니고 그냥 유행이니까 유행이고 유행이 유행이다. 차라리 그간의 요란함에 대한 반작용이라고 하는 게 더 낫다. 물론 가만히 있기 좀 그런 브랜드들은 올드 머니에 숨겨져 있는 듯 하면서 눈에 잘 띄는 로고나 시그니쳐를 그려넣고 있겠지. 그렇다고 해서 옷 처럼 찰라적인 대상이 진지하게 흐를 가능성은 별로 없다. 장인의 작업이나 웰메이드 같은 분야를 존중하고 바라보고 있으면 흥미롭지만 그게 패션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고민해 보면서도 결론은 잘 모르겠다. 지금까지를 보면 진지하면 혹은 진지한 척을 앞에 놓으면 재.. 2023. 11. 24. 히트텍의 계절, 온에어, 힛탠다드 등등 히트텍의 계절이다. 일교차가 크고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일찌감치 히트텍 류를 입기 시작한다. 가지고 있는 옷을 활용할 운용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입고 있는 옷의 무게를 조금이라도 가볍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튼 유니클로의 히트텍을 구입해 한참 입다가 버리고 새로 사고 하는 사이클을 돌렸다. 울트라 같은 더 두꺼운 것들도 나오길래 하나 구입한 적이 있다. 그러다가 다른 브랜드는 어떤 가 싶어서 버리고 새로 구입을 할 때 다른 제품을 검토해 보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각 브랜드의 표준 제품을 사는 편이다. 일단 유니클로의 히트텍은 가장 많은 경험치를 가지게 되었기 때문에 마음 속에서 기준을 점하고 있다. 다른 걸 입으면 히트텍에 비해 이러쿵 저러쿵 하구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중심에 아.. 2023. 11. 21. 나가바 유(長場雄, Yu Nagaba)의 한국 첫 개인전 소식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 나가바 유의 한국 첫 개인전 해피 아워(HAPPY HOUR)가 부산의 오케이앤피(OKNP, 부산)와 갤러리 타겟(Gallery Target, 도쿄)은 공동으로 11월 23일부터 12월 24일까지 열린다. 전시 소개(링크)를 보면 : 일을 끝내고 코인파킹 주차장에 주차하고 집까지 걸어가면 5~10분정도 걸립니다. 이때 해가 지면서 조금씩 어두워지고, 마침 기분 좋은 바람마저 불면, 일을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는 편안함이 있거든요. 물론 집에는 이것저것 해야 하는 집안 일들이 많아 바빠지겠지만, 그 전의 이 짧은 시간이 저에게 있어 굉장히 편안하다고 느껴집니다. 그 시간을 잘라내 그렸기 때문에 Happy Hour를 이번 전시의 타이틀로 잡았습니다. 소개를 보면 편안하고 홀가분한 느낌의 작.. 2023. 11. 16. 루이비통 리폼에 대한 벌금 판결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에서 옛날 루이비통 가방 같은 걸 지갑으로 리폼하거나 형태를 바꾸거나 하는 영상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렇게 영상 같은 걸 올리시는 분인지는 모르겠는데 루이비통이 상표권 침해로 소송을 걸었고 1심에서 손해배상금 1500만원 판결이 나왔다. 이 소송이 앞으로 더 진행될 지는 몰라도 사실 리폼하시는 분이 이기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 물론 개인적 소비, 환경이나 지속가능성 같은 문제가 점점 더 중요해지는 지금 예외적 적용에 대한 정확한 기준의 명시가 중요할 거 같기는 하다. 기사는 여기(링크). 이 뉴스를 보면 비슷한 형태의 리폼 업자였던 대퍼 댄이 떠오른다. 뉴욕의 힙합퍼들에게 인기를 끌었지만 이분도 역시 상표권 침해 소송으로 드러내놓고 하는 사업은 접었었다. 웃기고 흥미롭고를 떠나 이런.. 2023. 11. 16. 급격한 추위 - 마구 껴입기의 문제 그러니까 2018년 1월, 내가 가지고 있는 옷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과격한 추위를 지나친 후(링크) 겨울 레이어링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해졌다. 이때부터 중고 매장에서 두툼한 다운 파카만 보이면 사고 싶어지고, 각종 플리스와 라이너도 끌어 모으기 시작한 거 같다. 당혹스러운 추위에 테스트의 미비, 비효율적 접근은 여러 문제점을 남기긴 했는데 그러면서 깨달은 교훈은 마구 껴입는 게 방법이 아니라는 것. 3 레이어에 기반해 가능한 가볍게 입고 차라리 잠깐이라도 뛰어 몸의 온도를 끌어 올리는 게 더 효과적이다. 당시의 마구 껴입기의 흔적. 플란넬 셔츠 위에 캐시미어 스웨터를 입고 그 위에 플리스 풀오버를 뒤집어 쓴 다음에 다운 파카를 입었다. 하지만 건물에 들어가 난방을 하지 않는 한 어느 한 부분 추위를.. 2023. 11. 15. 귀찮은 벨크로의 무력화 요시다 포터 가방은 많은 인기를 끌고 오랫동안 나오고 있지만 나랑은 좀 사용 패턴이 안 맞는다. 여러가지 요인이 있는데 애매한 사이즈, 토트의 짧은 줄 길이 그리고 사방의 벨크로. 그래도 탱커 시리즈의 나일론이나 스모키 시리즈의 혼방 데님 같은 거 좋아해서 어떻게든 써보려고 하는데 매번 잘 안되고 그런 결과 이것저것 많이도 샀고 이제는 거의 다 처분을 해 버렸다. 여전히 잘 쓰는 건 마가렛 호웰 + 포터의 브리프케이스(링크), 포터 탱크의 숄더백 가장 작은 사이즈, MHL + 포터의 자전거 가방 스몰 정도. 그러던 중 이번 가을, 겨울 시즌은 스모키 시리즈의 숄더백을 써보려고 하고 있다. 이거. 이것 역시 몇 가지 문제가 있는데 애매하게 작은 사이즈. 매일 가지고 다니는 게 지나치게 많기는 한데 생긴 거.. 2023. 11. 13. 이전 1 2 3 4 ··· 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