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30

쇼트 삭스, 베리 쇼트 삭스, 흘러내림, 사이즈 거의 1년 내내 양말을 신는다. 집 밖으로 나가지 않는 날은 한 달에 한 번 정도고 일단 아침에 일어나면 옷 입고 나가는 사람이라 나머지 날은 모두 외출을 하며 신발을 신는다. 신발을 신으면 양말을 반드시 신기 때문에 1년에 350일은 양말을 신지 않을까 싶다. 플립 플랍이나 슬리퍼 같은 걸 신고 나간다면 양말을 신지 않겠지만 몇 년 전 발이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이 왠지 싫어지면서 집 앞에 잠깐 나갈 때나 아니면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다. 뭐 이렇게 하고 다닌다고 뭐라 할 사람은 없겠지만 안보이는 양말이 필요한 때가 있다. 아무튼 그렇긴 한데 대략 5월부터 9월 말까지는 유니클로의 분류로 말하자면 쇼트 삭스 - 베리 쇼트 삭스를 사용한다. 쇼트 삭스는 운동화, 베리 쇼트 삭스는 구두에 신는다... 2018. 6. 8.
6월 16일에 마켓엠 남산 본점에서 패션, 책 이야기를 합니다 6월 16일 명동에 있는 마켓엠 남산 본점에서 패션과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마켓엠 남산 본점은 이렇게 생긴 건물이군요. 3층에 있는 플라스크 커피라는 곳에서 오후 4시에 예정되어 있습니다. 한 시간 정도 이야기를 할 거 같습니다. 위치는 여기입니다. 일단 공지에는 저번에 했던 북토크와 비슷한 내용의 예고가 올라가 있습니다. 물론 레플리카 패션과 현대 패션 이야기를 하게 되겠지만 이와 더불어 요새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들인 "패셔너블하다"는게 대체 무엇인지, 지금 패션의 변화가 무엇을 뜻하는지, 일상복의 운영을 통해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그리고 얼마 전 지속 가능한 패션에 대한 칼럼(링크)에도 옷, 패션에 대한 태도 변화를 이야기했는데 그게 뜻하는 .. 2018. 5. 31.
미국의 슬립-온 슈즈들 여름이 다가오니까 미국에서 나온 + 여름에 신는 + 납작한 신발들 이야기. 보통 캠프 솔(camp sole)이나 그 비슷한 납작한 밑창이 붙어 있고 가죽을 꿰매서 만든 구두들이다. 물론 꼭 캠프 솔을 쓰지 않아도 상관은 없고 심지어 코만도 솔 같은 걸 붙인 제품들도 있다. 신발이란 애초에 날씨와 사용 환경 등에 따라 알맞게 사용하는 제품이다. 보통 이런 걸 캠프 솔이라고 한다. 여름 슈즈 용으로 여기서 이야기할 보트 슈즈, 캠프 목, 블러쳐 목 뿐만 아니라 페니 로퍼 등에도 붙인다. 우선 보트 슈즈.스페리 오리지널. 강아지가 왜 빙판 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나를 연구해 덱 위에서 잘 붙어 있으라고 만든 신발이므로 납작하고 잘 미끄러지지 않는(이라지만 비오는 날 매끈한 돌 바닥 위에서는 다 소용없다)다. 대표.. 2018. 5. 29.
패션에서 원본과 복제, 변이 패션에서 옷과 브랜드의 원본과 복제에 대한 문제는 오랫동안 이야기를 해오긴 했지만 여전히 재밌는 주제다. 사실 확실해 진 건 아무 것도 없지만 몇 가지 사항들은 마냥 방치해 놓고 있을 문제도 아니다. 예컨대 영감과 카피는 옷이라는 제품에서 저작권의 보호 영역을 어디까지로 설정해야 하는가의 문제에 얽혀있다. 그리고 사실 완전히 법적으로 해결될 수도 없고 윤리적 문제 등과도 부딪친다. 아무튼 이 분야가 여전히 흥미로운 이유는 답이 없기 때문이고, 그럼에도 그 변이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고, 사실 여전히 왜 하는지 잘 모르겠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들이 있음에도 패션이란 "오 멋진데~"로 참 많은 게 용서되고 용인되어 버리는 분야라는 점이 이 분야를 더 재미있게 만든다. 사실 패션이란 원래 그런 .. 2018. 5. 23.
무인양품의 [My Found MUJI East Asia] 전시 무인양품 신촌 플래그십 매장에서 마이 파운드 무지 이스트 아시아라는 걸 하고 있다길래 가봤다. 트위터에서 4층이라길래 현대백 4층에 무인양품 매장이 있나보다... 뭐 이런 생각으로 갔는데 알고 보니 2월에 4층짜리 플래그십 매장이 열려 있었다. 뭐 전시는 굳이 일부러 가서 볼 만한 건 아니고 신촌 갈 일 있으면 무인양품 플래그십 매장 구경도 할 겸 가볼 만 하다. 지역, 특이한 일상품 등의 측면에서 보자면 디앤앤트러사이트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것들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아무튼 일상을 재조명하고 재해석하고 재구성하는 일을 하고 있는 브랜드 들이니까. 국내에서 나온 걸로 빗자루, 때밀이 수건 같은 게 있었고 가격표도 붙어 있었는데 홈페이지 보니까 거기엔 없다. 저기서만 파는 건가 그런 건 확실히 모.. 2018. 5. 14.
뷰티 방송을 몇 가지 보고 있다 2 예전에 뷰티 방송을 본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링크) 요새 또 보고 있다. 물론 이유는 그때와 같다. 뷰티끄(윤채경이 나온다), 뷰티클레르(김소희가 나온다) 등도 있고 며칠 전에 우연히 본 산다라, 토니, 치타, 김진경 등이 뷰티 숍을 차리는 미미샵도 있는데 다는 못보고 요새 보는 건 딱 두 개 정도다. 이전에 올렸던 이야기가 지금부터 딱 1년 전이었는데 그 사이에 넘치는 뷰티 방송들은 리얼리티 화, 라이프 스타일 화 등등으로 폭을 넓히고 있는 거 같다. 아무래도 화장품 이야기만 하면 보는 사람이 너무 한정되어 있으니까 그런 게 아닐까 싶다. 그리고 그런 와중에 유기농, DIY 같은 부분에 대한 방송의 관심은 여전하다. 유기농이니 직접 만들어서 쓰느니 하는 거 아주 안 좋아하고 믿을 만한 공장에서 .. 2018. 5. 14.
중년 남성의 패션 얼마 전 패션 칼럼에서 옷을 마음대로 입자는 이야기를 썼고(링크), 사실 옷을 마음대로 입자고 하면 엉뚱한 사람들이 마음대로 입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소위 아저씨 패션) 이번에는 몸 관리, 옷 관리(세탁)이 일단은 전제 조건이다(링크)는 이야기를 썼다. 이 이야기를 쓰게 된 건 사실 한참 전에 개저씨 탈피 방법에 대한 원고 의뢰를 받고 이런 분야에 대해선 쓸 말이 별로 없는데... 하다가 아래의 이야기를 써보고 받아주면 좋고 아님 말고의 기분으로 남 눈치를 좀 보고 세탁을 열심히 합시다 류의 이야기를 쓴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남 눈치의 대표적 충돌, 등산복 패션 사실 이런 이야기에는 약간 모순적인 측면에 있는데 옷을 입을 때 남 눈치를 보지 맙시다 - 살면서 남 눈치 좀 봅시다를 동시에 말하고 있기 .. 2018. 5. 2.
패션의 윤리적 관점 패션의 윤리적 관점은 보다 더 중요해지고 있다. 많은 이들이 영향을 받고 이제 뉴스에도 크게 보도된다. 지속 가능한 패션이나 모피 반대, 직장 내 성차별 같은 이슈는 큰 문제 없이 밀고 나가면 되겠지만 생각보다 복잡한 문제들도 있다. 예컨대 아동 노동. 아동 노동은 물론 문제고 거기에 저임금도 문제다. 하지만 조금 더 생각해 볼 것들은 있다. 아동 노동을 하는 경우 대부분 가족들이 모두 돈을 벌고 있다. 왜 그러냐 하면 직업도 없고 돈도 없기 때문이다. 패션은 여전히 노동 집약적이고 많은 인력이 필요하다. 즉 일을 안 해도 될 정도의 사회인데 강제로 시키고 있는 게 아니다. 사라지면 당장 생존 문제, 어떤 다른 일을 구해야 되지의 문제가 닥치는 상황이 다수다. 이 상황에서 -> 아동 노동을 금지한다 ->.. 2018. 4. 29.
모나미 153 티스토리 버전 오래간 만에 문구류 이야기. 문구류는 여기에서 몇 번 이야기한 적도 있었는데 한참 전부터 완전히 정착해 버렸고 새로운 구입도, 실험도 거의 없기 때문에 할 이야기가 거의 없었다. 노트를 몇 가지 사긴 했는데 노트라는 건 원래 쓰는 데 매우 어렵기 때문에... 그래도 노트를 꾸준히 쓰는 편인데 번역이나 책 같은 긴 작업을 할 때 한 권 씩 할당해 보고 있다. 생각나는 것들을 늘어 놓음... 컴퓨터에다 늘어놓으니까 어디에 있는 지 찾을 수가 없더라고. 아무튼 그러한데 얼마 전에 티스토리 이벤트에서 모나미 153 금속 버전을 하나 받았다. 현재 쓰고 있는 건 라미 사파리 볼펜에 라미 M16 심, M, 파란색 그리고 파버 카스텔 베이직 나무 몸통에 파버 카스텔 심 M, 검정색. 즉 블랙, 블루 두 가지 펜을 들.. 2018.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