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51

CP 컴퍼니 + 사시코 걸스 사시코 걸스라고 있다. 동일본 대지진의 부흥 지원으로 시작되었는데 자원봉사가 아니라 비즈니스로 확대되면서 2024년 3월에 탄생해 현재 23명의 여성 장인들이 소속되어 여러 브랜드와 콜라보 제품을 내놓고 있다. 처음에는 KUON과 협업으로 시작했다고 하는데 뉴발란스 운동화 협업으로 꽤 알려졌다. 이번에는 CP 컴퍼니와 협업 시리즈가 나왔다. 후드 코트나 블루종 같은 옷이 보이는데 시어링이 눈에 띈다. 이렇게 뽕뽕 뚫는 거 좋은 방법인 거 같다. 사실 지난 4월에 첫번째 협업 컬렉션이 있었다. 15벌 한정이었고 금세 팔렸다고 한다. 1980~2010년대 아카이브에서 가져온 제품에 사시코 장식을 하는 식이다. 4월 컬렉션에서는 사시코가 좀 소극적으로 들어 있는 데 이번 건 보다 과감해졌다. 어차피.. 2025. 9. 9.
향수, 안정 - 긍정적 자극 조합 향수라는 건 미묘한 점이 있는데 향이 지향하는 방향이 무차별적인 게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옷도 비슷한 성격이 있다. 나에게도 영향을 주고 주변에도 영향을 준다. 하지만 눈은 대충 흐린 눈을 할 수 있긴 한데 향은 막기가 힘들어서 그보다는 더 강렬한 데가 있는 듯 하다. 대신 옷은 누가 입었는지 확실히 알 수 있지만 향은 구분이 안되는 경우도 꽤 있다는 게 단점이라 할 수도 있겠다. 향수라는 건 일단 자신을 안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뭔가 계속 멀미 난 느낌, 붕 떠 있는 느낌이 들면 하루를 맘 편하게 살기가 좀 힘들다. 이걸 기준으로 정리를 해보자면 향수가 : 나를 안정시킴 (남에게는 존재감 없음)나를 안정시키고 남도 안정시킴나를 안정시키고 남을 자극함나를 자극함 (남에게는 .. 2025. 9. 8.
나이키랩 서울 2025: Recorded Future를 보고 옴 나이키랩 서울 2025 전시를 보고 왔다. 한남동 언덕 위쯤 3층 건물에서 꽤 대규모로 열리고 있었음. 참가자들 2025. 9. 5.
포켓 와치 거치대 포켓 와치는 이제 사라진 유물 같지만 워크웨어를 좋아한다면 커버올, 레일로드 재킷 등에 뚫려 있는 포켓 와치용 단추 구멍에 꽤 익숙할 거다. 구멍이 뚫려 있으니 하나 구해서 껴보고 싶어지긴 하는데 금속 체인이라는 게 약간 민망한 구석이 있다. 손목시계나 스마트폰을 주로 사용하고 아마도 열차 기관사도 마찬가지겠지만 요즘 기차에도 포켓 와치 거치대가 설치되어 나온다고 한다. 일본 기차의 경우 예가 많이 나오는 데 한국 기차는 어떤지 모르겠다. 이걸 보면 역시 금속 체인은 코스프레라는 걸 알 수 있다. 현업 종사자들은 튼튼하고 가벼운 나일론 줄을 쓴다. 세이코에서 나오고 있는 기관사용 포켓 와치 SVBR003. KTX 계기판을 찾아봤는데 여기는 없는 거 같다. 일본 쪽은 확실히 여전히 거치대가 있는 .. 2025. 9. 1.
달리기 모자 수영이 중급반으로 올라갔고 4개 영법을 다 하긴 하는데 디테일이 매우 부족한 상태에서 발전이 더딘 정체기를 겪고 있다. 가까이에 걸어서 갈 수 있는 수영장이 있으면 자주 복습도 하고 그럴 텐데 거리(적어도 40분)와 시간(한정된 자유수영 시간)의 장벽이 있어서 좀 어렵다. 토요일에는 강습, 일요일에는 월 2주 자유 수영을 하는 주말 11시 반이 있길래 신청해볼까 했지만 TO가 아예 없다. 매일 7시 반 같은 걸 일단 등록해 버릴까 싶기도 하고. 아무튼 그러다가 달리기를 시작했다. 뭐 그렇다는 거고 용품 이야기를 하자면 바지랑 티셔츠는 좀 오래되긴 했지만 유니클로에서 산 드라이 EX가 있기 때문에 그거 입으면 되는데 모자가 문제였다. 땀 나고 하기 때문에 모자가 있긴 있어야 한다. 역시 예전에 겨울 달리기.. 2025. 8. 29.
플랫 스니커즈 얼마 전 백화점 구경하며 돌아다니는데 납작한 스니커즈들이 눈에 띈다. 반스나 컨버스 수준이 아니라 발레 플랫 슈즈 느낌의 납작한 스니커즈들이다. 럭셔리 계통에서는 프라다, 미우미우가 이런 계열을 선도하고 있는 것 같다. 캔버스 스니커즈도 있던데 역시 납작하다.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면 얼마 전 제니 등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던 파이브 핑거스 같은 게 나온다. 기본적으로 이런 계열들 다 안 좋아함. 못생기기도 했지만 발바닥이 좋지 않아서 제대로 잡아주지 않으면 통증이 생긴다. 맨발이 더 낫다라는 가정에서 출발한 것들일 거 같은데 왜 그런 생각을 하는 지 모르겠다. 이 반대쪽에는 러닝 유행으로 인기를 누리는 두터운 밑창의 스니커즈들이 있다. 생긴 모습에서는 차라리 이쪽이 더 낫다고 생각은 하지만 그렇.. 2025. 8. 20.
신발은 어떤 모습이 될까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신발은 발의 곡선을 따라 덮는 형태를 패턴을 만들어 잘라 붙이는 식으로 만들어져 있다. 어퍼, 솔 등으로 구성된 전체적인 구조는 비슷함. 이런 구조가 만들어 지기 훨씬 전에는 일체형 제작이었다. 예를 들어 크롬프. 우리의 전통 신발도 입체적 사이드의 완성과 밑창으로 이뤄진 익숙한 신발 제조 방식과 같았고 아래 나막신 처럼 더 원시적인 구조는 일체형 생산이었다. 아무튼 이런 익숙한 구조가 과연 어떻게 바뀔 건가 인데 아무래도 초기의 일체형 생산 구조로 회기할 가능성이 높을 거 같다. 크록스처럼 찍어내는 방식과 3D 프린트 방식의 발전이 꽤 빠르기 때문이다. 찍어내는 방식은 지우개 느낌... 을 지우기가 어렵지만 3D 프린트 방식은 조금 더 복잡한 모습을 구현할 수 있다. .. 2025. 8. 6.
아메리칸 이글, 시드니 스위니 아메리칸 이글이 시드니 스위니를 앞세운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고 이게 후속 논란을 만들고 있다. "청바지는 부모에게 물려받는다. 때로는 머리색, 눈동자, 색, 성격까지 결정한다. 내 청바지는 파란색이다"라는 카피를 썼는데 Jeans와 Gene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어디를 봐도 백인우월주의 광고다. SNS를 통해서 백래시가 있었는데 그들을 조롱하는 미국 공화당 지지자들의 반응이 있었다. 그리고 이런 거 좋아하는 트럼프도 끼어들었다. 시드니 스위니가 공화당원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아메리칸 이글이 잘하고 있고 광고가 좋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런 지지에 아메리칸 이글 주식도 한때 20%가까이 올랐다. 시드니 스위니 쪽의 반응은 없는 거 같지만 아메리칸 이글 쪽에서도 이건 그냥 청바지 이야기라고 반응을 .. 2025. 8. 5.
레트로, 스포츠 또 수영복 이야기. 운동을 하다 보면 아무래도 습관적으로 옷을 뒤적거리게 되는데 강습용 수영복의 세계란 정말 뭔가 갑갑하기 그지 없는 분위기다. 아무리 기능성 합성 소재의 영역이고 옷이 뭐 중요하냐지만 초보 단계가 주로 입는 기본 단색도 좀 그렇고 실력이 좀 붙은 분들이 입는 것들도 하나같이 울긋불긋의 세계다. 뭔가 레트로, 패셔너블이 끼어들 만한 거 같은데 그런 쪽은 비치 웨어에서나 좀 볼 수 있다. 그것도 럭셔리 브랜드들. 예컨대 러닝이라면 트랙스미스 같은 브랜드가 있다. 바로 위 사진은 로잉 블레이저와의 콜라보. 자전거라면 라파 같은 브랜드가 있다. 수영복은 그나마 나이키가 단색 처리를 잘 하고 있고 무늬 있는 것들도 귀여운 것들이 좀 보이고, 국내 브랜드들도 귀엽고 그런 쪽으로 선전하고 있는.. 2025. 7.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