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18 피쉬테일 파카, 모즈 파카 피쉬테일 파카 시즌인지 요새 많이 보인다. 몇 해 동안 유행이었기도 하고 많이들 가지고 있으니 이럴 때 입어야겠지. 보통 피쉬테일, 피시테일 파카라고 쓰고 모즈 파카라고도 쓰는 데 원래는 약간 다르다. 피쉬테일 파카가 가장 큰 카테고리고 그 안에 모즈 파카가 속해있다. 하지만 요새는 다 그냥 피쉬테일로 부른다. 아무튼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M-51과 M-65다. 소위 야상이라고 부르는 M-51 필드 자켓과 M-65 필드 자켓이 따로 있다. 같은 숫자끼리 겹쳐 입는 게 기본 원칙이긴 했을텐데 일상 용도로 그렇게 입는 사람은 거의 없을 거 같긴 하다. 불편하고 숨막히고 무게에 비해 추워. 이게 M-51이다. M-1951이라고도 한다. 1951은 예상할 수 있듯 연도. 한국 전쟁 때 너무 춥고 특히 1950.. 2022. 11. 29. 바라클라바에 대한 약간의 의문 바라클라바는 얼굴을 뒤덮는 마스크를 말한다. 원래는 울 니트로 만들었다는 데 지금은 플리스, 다운, 고어텍스 등 다양한 소재들이 활용된다. 얼마 전 이야기 한 볼끼, 남바위(링크)와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바라클라바라고 하면 뭔지 잘 모를 수 있는데 스키 마스크라고 하면 조금 더 상상이 잘 된다. 사실 바라클라바는 지역 이름이다. 지금도 러시아가 전쟁을 벌이고 있는 크림 반도에 바라클라바라는 곳이 있다. 지도 찾아보면 발라클라바라고 나온다. 1800년대 말 영국, 오스만투르크, 프랑스 연합군과 러시아 간의 크림 전쟁 중에 있었던 바라클라바 전투에서 이름이 나왔다. 당시 영국군의 활약이 상당해서 나중에 여러 이야기에서 등장한다.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횡대로 길게 서서 열심히 싸워 상대를 착각하게 만드.. 2022. 11. 25. 포터 가방의 경년 변화 포터 가방 홈페이지를 보면 금속 패스너 부분이 쉽게 도장이 벗겨지도록 만들어 놨다고 되어 있다. 경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사실 탱커 시리즈를 비롯해 많은 시리즈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 소재로 되어 있는데 이런 소재는 색이 흐리멍텅해지며 꽤 지루하게 나이를 먹는다. 면 데님이나 캔버스 같은 박력은 없음. 이런 걸 나름 재미있어 할 수도 있긴 하지만 변화가 잘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런 방면으로 인기를 끌만한 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터는 쇠장식류에다가 의도된 탈색 유도를 넣어놔서 조화를 시켜놨다. 가능한 쉽게 만날 수 있는 와비 사비. 과정의 지리함은 역시 쉽지 않기 때문에 청바지 같은 경우에도 요즘엔 아주 빠른 시간 안에 한꺼풀 벗겨지면서 나름 괜찮은 모습이 나오도록 되어 있는 경우.. 2022. 11. 24.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구찌를 나갔다 2015년 구찌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되어 변화를 이끌던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구찌를 나갔다. 어제 WWD에 루머 뉴스가 뜨더니 바로 오늘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인스타그램에 나간다는 포스트를 올렸다. 이런 움직임에 대해 케링의 CEO인 프랑소와 앙리 피놀트의 경영 스타일이라는 이야기도 있고 알레산드로 미켈레에게 구찌를 맡긴 장본인인 마르코 비자리와의 예전 같지는 않은 관계 뭐 이런 이야기들도 있기는 한데 그런 거야 별로 중요한 지점은 아닌 거 같다. 인사 포스팅을 올린 게 조금 재미있다. 케이팝 스타 같은데... 보테가 베네타의 다니엘 리는 잘 팔리고 평가도 좋았지만 떠났던 걸 기억해 보자면 이게 단지 매출이나 평가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된다. 구찌는 2016년부터 2020년 정도까지 믿기지 않을 정도의 .. 2022. 11. 24. 연이 닿지 않는 칼하트 얼마 전에 잔뜩 가지고 있는 필슨의 옷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링크). 이렇게 연이 잘 닿은 옷이 있는가 하면 좀처럼 연이 닿지 않는 옷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대표적인 게 칼하트다. 칼하트 옷은 거의 가지고 있는 게 없다. 어쩌다 눈에 띄어 급작스럽게 사들였던 것도 사이즈나 용도 등의 문제로 방치되어 있는 것도 있고 팔아버리기도 했다. 어지간하면 옷은 꼭 쥐고 있고 싶은데 잘 되지 않는다. 아무튼 왜 연이 잘 닿지 않는가를 생각해 보면 가격의 문제가 크다. 국내 중고 시장에서 요 몇 년 간 필슨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었고 칼하트는 과대 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필슨의 울 매키노 크루저와 칼하트의 디트로이트가 비슷한 가격, 혹은 크게 차이나지 않는 가격에 거래가 되고 있으면 그냥 필슨을 향해 버리.. 2022. 11. 23. 필슨 매키노 크루저의 비밀 여기서도 몇 번 말한 적 있지만 필슨의 매키노 크루저 자켓을 좋아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런 옷을 4벌이나 가지고 있는 게 맞는 건지는 모르겠다. 26온즈 시대와 24온즈 시대, 윕코드 시절, 플래드와 솔리드, 안에다 뭘 입기 위한 사이즈와 겉에다 뭘 입기 위한 사이즈 어쩌구 하다보니 이렇게 되었다. 물론 모두 중고로 구입해서 4벌 가격을 다 합쳐도 현행 모델 정가도 되지 않기는 한다. 그래도 분명 무리한 지출들이었고 구입을 할 때마다 힘든 시절을 맞이해야 했다. 그렇다고 뭘 처분하자 하면 마땅히 그럴 만한 것도 없다. 초봄과 늦가을로 착용 시기가 무척이나 한정되어 있는데도 모두 꼭 붙잡고 있다. 이런 와중인데도 만약 괜찮은 가격에 상태 좋은 올리브 + 블랙 플래드 M~XL이 나타난다면 어떨지 자신이 없다.. 2022. 11. 20. BDU 자켓과 퍼티그 팬츠 BDU 자켓과 퍼티그 팬츠를 좋아한다. BDU 자켓은 배틀 드레스 유니폼 약자인데 예전 미군 군복이다. 미군 군복 상의라면 종류가 아주 많지만 그냥 네모 포켓 네 개 붙어 있는 버전이 가장 좋다. 보통 이걸 BDU 자켓이라고 부르기로 합의가 되어 있다. 여기서 주머니가 사선으로 붙어 있으면 정글 퍼티그 자켓이 되는 데 그건 별로다. BDU의 매력은 네모 반듯한 생김새다. 엔지니어드 가먼츠의 BDU. 언제 쯤 나온 건지는 모르겠지만 라벨이 하얀 걸 보니 봄여름 시즌에 나온 건가보다. 가을겨울 시즌은 라벨이 블랙이다. 근데 위 사진의 옷은 가슴 포켓이 애매하게 작다. 아무튼 BDU는 면 100%부터 혼방, 울, 나일론 100%까지 다양한 소재가 나온다. 코튼도 립스탑, 트윌 등등의 버전을 찾을 수 있다. 흔.. 2022. 11. 16. 추운 겨울의 보조 방한 겨울에 뭘 입으면 따뜻할까 하는 건 언제나 머리 한 쪽 편에서 떠돌고 있는 고민 사항 중 하나다. 한 여름에도 문득, 올 겨울엔 어떻게 입으면 평화로울까 같은 걸 곰곰이 생각한다. 한국 겨울이 특징은 역시 건조하고 낮은 기온, 지독하게 찬 바람이다. 이게 온 몸의 기온을 떨어트린다. 하지만 몸통의 경우 어지간히 껴입으면 어느 정도 보온이 된다. 다리, 발 그리고 특히 얼굴에서 목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가장 큰 문제다. 온 몸이 따뜻해도 얼굴, 목, 귀가 차가우면 그냥 춥다. 예를 들어 이런 옷은 한국 겨울을 위한 옷이 아니다. 저 목으로 들어오는 바람이 온 몸을 식힌다. 저 목 털이 반대로 뒤집혀져 있으면 훨씬 요긴할 듯. 차라리 이게 낫다. 어깨를 폈을 때, 고개를 들어 하늘을 봤을 때 목과 턱 부분에 .. 2022. 11. 14. 국내 패션에 대한 이야기 택다이브라는 채널에서 정우성 기자님이 진행하시는 지금, 패션이라는 유튜브 방송에 나가 국내 패션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확실히 아직 이런 건 익숙하지가 않아서인지 어색하고 민망하고 잘 못하고 살짝 느리게 말해야 하겠구나 하는 반성도 하게 되지만 그래도 제가 하는 일을 제가 알리지 않으면 누가 알려주겠습니까. 여러분들이 많이 봐주시면 이런 데 나가서 이야기 할 일도 늘어나고 그러다보면 조금 더 자연스러워지고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이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요... 잘 부탁드립니다. 링크는 여기 -> (링크) 오픈된 채널이니 만큼 긍정적인 이야기를 많이 하려고 했는데 꼭 그런 게 아니어도 요새 꽤 재미있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코로나 시기에 온라인 세상이 도래하며 다양한 콘셉트의 작은 브랜드들이 자리를 잡.. 2022. 11. 11. 옷을 고르는 이유 어떤 옷을 고르고 입는 이유는 사람마다 각자 다르겠지만 나 같은 경우에는 날씨에 맞서 싸움, 평정심의 유지, 경험의 축적, 궁금함, 혼자 진행하는 작은 실험 등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중 궁금함과 작은 실험이 약간 문제인데 집에 자꾸 이상한 옷들이 늘어난다. 이게 내 일이라니까 라는 생각에 합리화를 하지만 그게 정말일까 하는 자신을 향한 의심이 사라지진 않는다. 일상을 구축하는 패션은 자원을 탕진하고 기한이 짧다는 점에서 미식과 비슷한 점이 있다. 하지만 미식은 먹으면 사라지기 때문에 말끔하고 좋은데 패션은 옷이라는 잔여물이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여행지 호텔의 1회용 칫솔처럼 비록 1회용이지만 형체는 멀쩡히 남아있어서 계속 쓸 수는 있다. 게다가 이 옷이라는 게 수명이 상당히 길다. 이 전환을 잘 만들어.. 2022. 11. 9. 울 롱코트 이야기 울 롱코트는 확실히 예쁘게 생긴 옷이다. 특히 발마칸. 커다란 래글란 어깨의 싱글 코트는 생긴 게 전해주는 아늑함 같은 게 있다. 어렸을 적엔 아쿠아스큐텀 라이센스의 울 롱코트가 하나 있어서 정말 열심히 입고 다녔었다. 지금 따지고 보니 한 20년은 넘게 입었던 거 같은데 담배 구멍도 여럿 나고 안감도 해지고 하다가 버렸다. 요새 같았으면 어떻게든 꼭 쥐고 이불로라도 썼을 거 같은데 뭐든 버릴 수 밖에 없던 시절이 있었다. 아무튼 요새 이런 거 없나 하고 다시 찾고 있기는 한데 그렇다고 솔직히 살 거 같지는 않다. 위 사진은 일본의 빈티지 매장에서 판매중인 버버리 80년대 버전. 팔린 거 같다. 사실 80년대, 90년대 이런 거 잘 모르면 대충 쓰는 경우가 많은 거 같긴 하다. 은근 요 몇 년 전에 나온.. 2022. 11. 3. RE:CODE의 래콜렉티브 25개의 방 전시 코오롱 FnC의 리사이클링 브랜드 래코드가 10주년을 맞이해 신사 하우스에서 25개의 방이라는 전시를 하길래 다녀왔다. 파타고니아도 시카고에 원웨어 매장을 열었다고 하던데 고쳐서 새로 만든 옷의 브랜드화가 꽤 많아지고 있다. 프라이탁이나 카네이테이, 오버랩 다 이런 계열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두 개의 건물을 쓴다. 말 그대로 25개의 방이 있고 각각의 방에 작품, 제품, 소개 등이 들어있다. 사람 거의 없겠지 하고 평일 오후에 갔는데 사람이 예상보다 꽤 있었고 외국인들도 은근 많았음. 뭐 이런 것들. 1번부터 차례대로 보면 된다. 워크숍도 있는데 따로 신청하면 열쇠고리를 만들 수 있다. 전시를 2시, 워크숍을 3시에 예약하고 갔는데 중간에 시간이 애매하게 떠서 1번 건물 지하에 있는 커피숍에서 아이스.. 2022. 11. 3.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