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18 소셜 디스턴스 소셜 디스턴스 혹은 사회적 거리, 혹은 이 단어가 만들어 낼 수 있는 오해를 피하기 위한 물리적 거리 등등의 용어가 코로나 시대의 생존과 관련된 이슈로 세계적인 트렌드가 되었다. 2미터 이야기도 있고 그걸로는 모자르다는 이야기도 있는데(비말은 8미터까지 날아간다고 한다, 밀폐된 공간이라면 또 다를 거 같다) 그렇기 때문에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사실 가장 좋은 방법은 집에 가만히 있는 건데 등교는 막을 수 있을 지라도 출근은 막을 수 없는 상황에 그게 불가능하니까 나온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즉 완전하진 않을 지라도 확률을 낮출 수는 있다. 어쨌든 예전에는 퍼스널 스페이스라는 말이 많았는데 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소셜 디스턴스에 비해 조금 더 좁아서 다른 용어가 필요하다. 스페이스와 디스턴스는 느낌이 다.. 2020. 4. 2. 코로나 시대 힘들다 코로나로 집에서 일하기 시작한 지 한 달이 되었다. 이제 4월에 접어드는 데 기약도 없고 방법도 없다. 세계적으로 보자면 점점 더 퍼지기만 하는 거 같아. 패션 브랜드들은 마스크, 손 세정제를 비롯해 의료용 보호구 등등을 만들고 있다. 아무튼 집에 가만히 있으니까 시간이 분명 많이 절약되는데 동시에 효율이 아주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뭘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고 당장 뒤를 돌아보면 잠을 잘 수 있고. 아무리 좁은 곳이라도 일하는 곳과 자는 곳은 샤워 커튼이라도 쳐서 분리하는 게 맞는 거 같다. 나 같은 사람도 이 정도인데 아이를 안고 있는 맞벌이 부부들은 굉장하겠지. 동생 집이 그런 처지인데 상당히 곤란한 상황이라는 거 같다. 확실한 건 뭔가 세상의 시스템을 보는 눈이 이전과는 달라진다는 거다. 허둥대다 .. 2020. 3. 31. 노스페이스, 훌리건 훌리건 - 노스페이스. 뭐 아닌 것들도 있고. 프레드 페리나 CP 컴패니, 스톤 아이랜드, 혹은 무수한 무명씨들. 검은 후드 윈드브레이커의 무리가 인상적이어서 올려본다. 훌리건의 패션 스타일링에 대해선 오랜 시간 분석, 화제, 소문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이제와서 딱히 더 중요하게 붙일 말이 있을까 싶긴 한데 그래도 라이프스타일과 결합된 극명한 예 중 하나다. 그건 그렇고 스킨 변경 중인데 뭐가 뭔지 잘 모르겠음. 이상한 부분들은 차츰 개선해 나아가기로... 2020. 3. 20. 빈티지 몰스킨 워크 재킷 이야기 워크웨어 빈티지라면 보통 US 계열을 말했는데 유로 쪽으로 넘어가고 있는지도 좀 된 거 같다. 그러면서 바버나 벨스타프 같은 브랜드도 꽤 각광을 받았고 베트라나 르라부어 같은 브랜드가 들어온 적도 있다. 바버는 몰라도 프렌치 워크웨어 쪽은 대체적으로 인기가 그렇게 많지는 않았던 거 같은게 이 계열은 빈티지 쪽이 아무래도 인기가 많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물론 그러는 와중에도 라벨에 왕관 한 개, 두 개 심지어 없는 바버나 버버리 원 패널 같은 걸 찾아 다니는 사람들도 있고 몽생미셸이나 이름 모를 헤링본, 몰스킨 빈티지 워크 재킷은 여전히 잘 팔리는 거 같다. 독일의 코듀로이 작업복 계열은 예나 지금이나 접근이 쉽지 않다. 아무튼 데님이나 트윌보다는 몰스킨이나 헤링본 쪽에 관심들이 많아지고들 있다. 유로.. 2020. 3. 20. 치카노, 펜들턴스, 로라이더 그리고 미국의 서남쪽에는 치카노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다. 단어의 유래는 꽤 오랜 역사가 있지만 간단히 말해 멕시코 계열의 미국인을 뜻하는 말이다. 20세기 초에는 멕시코 계 노동자를 가리키는 경멸적인 언어로 사용되었지만 1960-70년대에 미국에서 차별받던 멕시코인들이 치카노 무브먼트라고 하는 일련의 문화, 정치적인 활동을 본격화하면서 민족적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이건 정체성의 문제를 제외하면 멕시코 인들이 미국 전역에 폭넓게 분포해 살고 있고 각 지역마다 상황이 달라서 일관되게 어떤 모습이다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외국의 입장에서 치카노라는 단어가 나오면 보통 콧수염을 기르고 선글라스를 끼는 갱단 멤버나 캘리포니아 남부의 자동차 산업 지역에 주로 활동하는 로라이더라고 하는 자동차 마니아를 떠.. 2020. 3. 18. 재택 근무의 복장, 라이벌 며칠 전에 집에 갇혀서 일할 때 입는 옷 이야기(링크)를 한 적이 있다. 오늘도 그 옷을 입고 있지만 매일 입고 있는 건 아니다. 워낙 자주 입으니까 세탁도 하고 옷 역시 휴식도 필요하니 적어도 두 개 정도를 돌려 입어야 양쪽 수명이 다 길어지는 법이다. 그래서 오늘은 돌아가며 입고 있는 라이벌 소개... 저번에 말했던 건 오른쪽, 최근의 라이벌은 왼쪽. 하얀색이라 함께 사진을 찍으니 스텔스 모드가 된다. 몇 년 전 유니클로 매대에서 5천원인가 하길래 구입했다가 몇 번 입고 나가기도 했는데 너무 금방 더러워져서 특별히 하얀색 옷이 필요한 경우만 아니라면 집에서만 입게 되었다. 물론 집에서도 뒹굴고 하다보면 금방 더러워지는데 그래도 못 입는 건 아니니까. 소재는 거의 비슷한데 무게는 유니클로 쪽이 더 가볍.. 2020. 3. 8. 발렌시아가와 알렉산더 맥퀸, 물에 잠긴 캣워크 이번 발렌시아가 2020 FW는 물이 고여있는 캣워크 위에서 진행되었다. 걷기에 꽤 불편해 보인다는 들기는 하지만 멋진 옷을 입고 있든 말든 눈과 비는 내리고, 태풍도 오고 지진도 난다. 그런 점에서 여러 현실이 반영된 패션쇼를 좀 좋아하긴 한다. 이 잠긴 캣워크는 기후 문제를 연상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웅장하고 심각한 분위기에서 비현실적인 느낌이 나면서도 실용적 지점을 어딘가에서 표방한 듯한 옷을 입고 다니는 모습은 어딘가 세상 끝 분위기가 나긴 한다. 그렇지만 세상의 끝 이후를 잘 담고 있는 건 사실 칸예(링크)라고 생각한다. YEEZY 초창기 때부터 칸예의 패션은 핵전쟁이 끝난 다음엔 저런 옷을 입지 않을까, 좀비들이 뛰어 다니면 저런 옷을 입고 숨어있지 않을가 하는 생각을 .. 2020. 3. 4. 파리의 칸예 웨스트, YEEZY 8 칸예 웨스트가 간만에 컬렉션 시즌의 파리에서 YEEZY 8 시즌의 일부를 선보였다. 더불어 선데이 서비스 @파리도 있었다. 딸이 나와 랩을 하는 이벤트는 별로 였는데 어쨌든 이 행사를 보면 From the West Family라고 되어 있는 게 어떤 식으로든 가족을 껴넣겠다는 의도가 있었지 않았나 싶다. 가족과 종교, 미국인... 요새 저 흐뭇한 얼굴 참 자주 보임. 1분 40초 정도부터 시작한다. 일부인 만큼 많이 나오진 않음. 일관성, 칸예 만의 분위기 등 측면에서 확실히 이분의 패션이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데 디자이너 브랜드 어딘가에서 데려가기에도 좀 애매한 면이 있기는 하다. 결국 YEEZY 덩치가 커지는 게 자기 길일까... 이것은 선데이 서비스 파리 2020. 3. 3. 집에 갇혀 있을 때 입는 옷 요새 집에서 일을 하고 있다. 딱히 원하는 건 아니었고 강제된 것도 아니지만 가서 일하는 곳 두 군데가 모두 기일을 정하지 않고 폐쇄되어버리는 바람에(도서관의 선제적 조치) 집 말고는 갈 데가 없다. 21세기란 이런 것인가... 아무튼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능률이 꽤나 떨어진다. 먹는 게 제일 귀찮고 그 다음은 입는 거다. 물론 돈은 덜 들긴 하는데 시절이 하수상하여 수입도 그만큼 변변치 못하기 때문에 딱히 소용이 있는 건 아니다. 집에 있는 경우 시간에 맞춰 일어나긴 하는데 옷이 좀 문제다. 나가는 것처럼 갖춰 입을 필요가 있을까 싶은 생각, 일종의 루틴 확보, 귀찮은 데 그냥 잘 때 입던 거 계속 입고 있자 등등의 마음이 충돌한다. 그래도 뭐라도 좀 입는 게 하루가 시작되는 구나 하는 생각이 들고 .. 2020. 3. 3. 최근 크레이그 그린의 이것저것 협업들 뭘 하는 건지 잘은 모르겠지만 아무튼 신나고 흥겹다는 건 패션 같은 '놀이'에서는 분명 무척 중요하고 소중한 일이다. 크레이그 그린의 이 인형 놀이 비슷한 건 최근 몇 년 간 조금씩 더 복잡해지면서 동시에 더 선명해지고 있다. 이 둘은 아디다스 오리지널과의 협업. 이런 걸 기반으로 운동화가 나왔다. 이건 몽클레르와의 올해 지니어스 컬렉션. 따뜻할까? 그게 제일 궁금하다. 아무튼 대중교통 이용자는 입을 수 없을 거 같다. 모르긴 해도 물에 뜨진 않을 거다. 무엇보다 혹시나 입고 며칠 지내 볼 기회가 생긴다면 옷에 대한 인식과 경험치가 상당히 달라질 지도 모른다. 2020. 2. 27. 프라다에 간 라프 시몬스 이번 주 가장 큰 화제는 역시 프라다에 들어간 라프 시몬스다. 예전에 시스템 매거진 6호가 라프 시몬스였고 8호가 미우치아 프라다였는데 둘의 대담이 실린 적 있다. 대담은 여기(링크)에서 읽을 수 있으니 참고. 프라다에 누군가를 데려 온다면 라프 시몬스가 꽤 어울리긴 하지라는 생각이 물론 드는데 이 계약은 약간 이상한 점들이 있다. 우선 공동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그리고 연도를 확정하지 않았다는 점. 뭔가 큰 그림을 그리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지만 아닐 수도 있다. 예전에 소문이 돌았던 미우 미우 - 라프 시몬스는 불발이 된 거 같은 데 아직 확실한 건 모르겠다. 그때도 말했듯 미우치아가 은퇴하거나 차라리 미우 미우를 이끌어 버리고 프라다를 라프 시몬스에게 맡기는 것도 상당히 설득력있는 방식이라.. 2020. 2. 24. 아이즈원 피에스타 의상 이야기 잠깐 저번 라비앙로즈 의상 이야기(링크)와 사실 내용은 거의 같다. 라비앙-비올레타-피에스타에 의상의 연속성이 매우 짙은데 이게 꽃 3부작 연속이기 때문인지 혹은 아이즈원 캐릭터로 존재하는 건지는 다음에 잘 드러날 거 같다. 아무튼 피에스타 뮤비와 음악 방송 무대 속에는 몇 가지 얽혀 있는 세계관과 함께 다인원 그룹이라 복잡한 동선과 함께 딱딱 맞는 군무, 중간중간 실루엣을 확실히 드러나게 만드는 포즈 등 여러가지가 섞여 있다. 사실 복잡한 게 많아서 주제를 선명히 전달하는 데는 불리할 수 있겠지만 꼭 그럴 필요가 없는 장르다. 다양한 이미지를 통으로 한 번에 전달한다는 게 임팩트를 만들어 낸다.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뭔가 굉장한 걸 봤다 - 한번 뜯어서 봐볼까 순으로 진행된다. 그렇지만 가장 큰 특징이라 생각.. 2020. 2. 24.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