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18

몽클레르 지니어스, 볼륨과 모듈 폴드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이 사진들은 역시 한 곳에 모아 남겨두고 싶다. 볼륨과 모듈 폴드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 2019년 몽클레르 지니어스 5 크레이그 그린(Moncler Genius 5 Craig Green)이다. 영상도 있다. Instagram에서 이 게시물 보기 The art of folding. Ultra lightweight down in the new #MONCLERCRAIGGREEN collection allows outerwear to be folded and condensed. _ #MONCLERGENIUS @Craig__Green Moncler(@moncler)님의 공유 게시물님, 2019 12월 5 12:22오후 PST 굼뜨게 움직이는 게 약간 매력적이고 배경 음악이 쓸데없이 비장하고 .. 2019. 12. 11.
눕시, M-65의 내피로의 가능성 요새 이상하게도 겨울인데 M65(링크)를 자주 입는다. 딱히 이유는 없고 뭔가를 새로 꺼내기가 귀찮다. 갑자기 나도 롱패딩...이라는 생각이 들어 좀 뒤적거려봤지만 아쉽게도 접근 가능한 제품은 찾을 수가 없었는데 어쩐지 그렇게까지 따뜻할 거 같지 않다는 생각도 문득 들고(그럴리가). 아무튼 기본적으로 M65는 내피(링크)를 상시 사용할 계절에만 입는데 그게 없으면 어딘가 속빈 강정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알다시피 한국의 겨울에 폴리에스테르 내피 따위는 별 효용이 없고 그래서 얇은 다운 재킷(링크)을 주로 안에다 입는다. 이렇게 입으면 어설프지만 발수도 살짝 되는 면 50 / 폴리 50 쉘에 보온재가 들어간 옷이 되니까 어지간한 날씨엔 입고 다닐 만 하다. 며칠 전 영하 10도 정도의 날씨만 아니.. 2019. 12. 10.
간만에 향수 이야기 간만에 향수 이야기다. 일단 향수를 쓴다 라는 대원칙 외에 몇 가지 기본적인 방침은 있다. 예를 들어 매일 쓴다, 두 개를 돌아가면서 쓴다, 50미리 오드뚜왈렛만 쓴다, 연속으로는 쓰지 않는다, 뭔지 모르는 걸 산다 등등이다. 우선 향수를 매일 쓰는 건 사실 상당히 방탕한 요식 행위가 아닐까 매번 생각한다. 분명 지나치게 비싸고 너무나 덧없다. 나름 오랜 기간에 걸쳐 습관이 들어 버리는 바람에 안 뿌리면 뭔가 허전한 단계가 되어 버렸는데 좋은 향 나면 기운내서 일을 더 잘 하지 않을까 라는 식으로 위안을 하고 있다. 물론 사물이나 향기 같은 무의미한 토템에 의지하는 습관이 좋은 건 아니다. 그렇지만 알파고도 아닌데 혼자 의지가 뿜뿜이라면 그것도 나름 재미없지 않을까 싶다. 나라는 인간의 한계인 걸까. 그.. 2019. 12. 6.
기능성 옷의 비기능적 부분 며칠 전에 오래되어 보이는 옷(링크) 이야기를 하다가 기능성 중심의 옷(예를 들어 다운 파카는 거의 모두 그렇다)에 담겨 있는 무의미한 비기능적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잠깐 했었다. 생각난 김에 하나 더. 상당히 지저분해 보이는데... -_- 아무리 세탁해도 저 모습으로 밴질밴질함은 사라지지 않는다. 예전에 회기역 건너편에 있는 독립문(P.A.T) 본사에 가면 천막 같은 거 아래서 할인 행사를 하는 곳이 있는데 거기 보면 독립문 뿐만 아니라 네파 이런 것도 팔고 그런 데가 있다. 아주 예전엔 외주 제작 스노우 피크 같은 것도 있고 그랬었는데 요새는 없고 아무튼 거기서 구입한 옷이다. 사실 더 복잡한 사연이 있긴 한데 한때 가지고 있는 옷 중 가장 따뜻한 옷이었지만 지금은 2위로 밀려났다. 그래도 어지간한 .. 2019. 12. 6.
이 부분이 재미있다 요새 책 번역을 하나 하고 있는데 이 부분이 재미있었다. 책은 내년을 기대해 주시고... "1970년, 1년이 지난 후 뉴욕에 돌아가 봤을 때 제가 가장 강력하게 느꼈던 건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젊은 미국인들의 태도였어요." 고바야시는 오랫동안 미국을 ‘자동차의 왕국'으로 생각해 왔지만, 이번에 가보니 ‘조깅'이라고 하는 새로운 형태의 운동을 하며 많은 사람들이 센트럴 파크 주변을 '일부러' 뛰고 있었다. 확 트인 녹지에서는 십대들이 ‘프리스비'라고 부르는 이상하게 생긴 플라스틱 원반을 던지고 있었다. 시골 도로에 나가보면 수염을 기른 젊은이가 커다란 데이백을 등에 짊어지고 히치하이크를 하면서 나라를 여행하고 있었다. 미국은 더이상 햄버거와 핫도그의 나라가 아니었다. 뉴욕과 샌 프란시스코의 협동 조합에.. 2019. 12. 5.
오래되어 보이는 옷 오래돼 보이는 옷이 있다. 사실 1년 반 입었다고 한탄하는 분들께는 몰라도 10여년 내외니까 그렇게 까지 오래된 옷은 아니다. 게다가 외투다. 이 옷의 유래와 연혁이 좀 있는데 확실치 않은 부분이 몇 가지 있고 별로 유용하지도 않은데 긴 이야기라 생략한다. 하여간 마루젠 마루노우치 서점의 바로 그 마루젠에서 나온 옷이다. 이 회사는 사실 꽤 오랫동안 서양의 옷과 약간의 연관이 있는데 요새는 그만 둔 거 같다. 이광수의 소설 무정을 보면 주인공이 마루젠에서 사온 책을 문명의 상징처럼 여기는 뭐 그런 장면이 있다. 아무튼 그게 중요한 게 아니고 유난히 오래된 분위기를 내는 몇 가지 설계를 가끔 곰곰이 들여다 본다. 이렇게 생겼다. 원래는 울 혹은 그 비슷한 거(개버딘?)로 나왔던 거라는 듯 한데 코팅된 폴리.. 2019. 12. 2.
2019년 빅토리아 시크릿 쇼가 취소되었다 빅토리아 시크릿에 대한 이야기는 여기저기에 여러 번 했었다. 올해만 취소된 건 아니고 앞으로 기약도 없다. 이유는 아마도 여러가지가 있을 거다. 태도와 방향의 변화를 제 때 이루지 못했고 이에 따른 매출 감소 그리고 쇼의 시청률 감소 속에서 방향을 찾지 못한 걸 수도 있다. 지금까지 써왔던 거의 모든 빅토리아 시크릿에 대한 이야기에서 이걸 중점적으로 이야기했다. 하지만 아마도 그건 70~80% 정도의 답일 거다. 물론 위에 말한 이유들은 아주 중요하다. 앞으로 브랜드들이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도 알려준다. 이런 종류의 태도와 방향이 더 이상 트렌드가 아니게 되었고 흥미를 이끌어 내지도 못하고 있다. 이 정도 규모의 패션쇼를 매년 개최할 정도의 그릇이 되지 못한다. 그렇다고 해서 에어리(Aerie)가 .. 2019. 11. 25.
옷을 즐기는 방법 가능하다면 옷을 즐겼으면 좋겠다. 나 말고도 모두들 그랬으면 좋겠다. 그렇기 때문에 쓰는 이야기들은 모두 그의 어딘가 한 부분이다. 물론 트렌디한 옷을 입는 것도 옷을 즐기는 방법이다. 하지만 그것은 옷 자체 보다는 시대를 즐기는 방법에 가깝다. 예를 들어 최신의 음악을 듣거나, 티케팅 완판에 1분도 걸리지 않는 콘서트를 보거나, 줄을 서서 들어가는 핫플레이스에 가거나 하는 것들이다. 여기서는 그 대상이 옷일 뿐이다. 그것과 다르게 옷 자체를 즐기는 것도 있다. 마음에 들고 괜찮은 옷을 고심하며 고르고, 구석구석까지 알아가며, 오랫동안 입는 일이다. 사람을 알듯, 애완견의 마음을 알듯, 옷을 알아간다. 즐기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를 생각한다. 우선 역사와 배경이다. 브랜드의 역사나 에피소드부터 이 옷이 .. 2019. 11. 25.
옷은 뭐라도 괜찮다 밤에 언니네 쌀롱을 잠깐 봤다. 패션 관련 방송은 약간 궁금하니까 챙겨보는 것도 있고 차홍도 나오고. 뭐랄까, 방송에 보이는 차홍 님의 초긍정적 태도와 언행은 인생의 롤모델이다. 아무튼 이런 방송이 흔히 그러하듯 이것만 이랬으면...을 벗어나는 부분이 별로 없는 건 아쉬웠다. 그런데 셔츠 빼 입고 다닌다고, 같은 옷 2년 입었다고 그렇게까지 개탄할 건 없잖아. "패션" "방송"은 굳이 그래야만 하나 하는 의구심이 있지만 그렇다고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고 그러고 있으면 방송이 만들어지지 못하겠지. 게다가 패션 개혁을 요구한 의뢰인이 연예인이니까 그런 분들은 필요한 데가 있기도 할 테고. 이런 이야기를 하면 이 사진을 꺼내게 된다. 이 옷은 나름 멋지고 따뜻해 보이긴 하지만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입으면 곤.. 2019. 11. 21.
울, 라놀린, 라놀라이즈 예전에 선원들이 와치캡을 쓰는 데 이게 따끔따끔해서 불편하다. 그래서 선장이 라놀린을 가져와서 다 같이 발랐다... 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라놀린은 양털에서 나오는 추출물(오일)인데 찾아보면 헤어 케어용으로 주로 쓰고 있다. 이 이야기를 듣고 해볼까 했었는데 내게는 울 와치캡도 없고 라놀린도 없었지. 라놀린은 찾아보니까 1만원 안팎에 판다. 찾아보니까 이런 영상도 있다. 저 분이 쓰는 건 쿠팡에서 팔고 있는 댁스 퓨어 라놀린, 헤어 케어 용이군. 그렇구나 하고 있다가 요새 스웨터에 대해 무슨 이야기를 쓸 일이 있어 뒤적거리는 데 울 제품을 라놀라이즈 하는 이야기를 보게 되었다. 왜 하냐, 아무래도 양털 오일이 방수, 발수, 복원력 등의 원천일테니 떨어져 나간 라놀린을 되돌려 준다는 거겠지. 물에 .. 2019. 11. 11.
셔츠 등판의 로커 루프 셔츠 등에 보면 고리가 하나 있다. 그걸 로커 루프(Locker Loop)라고 한다. 말 그대로 로커에 있는 고리에 거는 루프다. 이것이 로커 루프. 위 쪽에 보이는 단추를 세 번째 칼라 버튼이라고도 하고 아래 두 개의 주름이 있다. 사진은 너무 열심히 다림질을 했군. 그래서 이렇게 건다, 라고 되어 있다. 육중하게 생긴 고리가 꽤 길다. 그렇다면 저 사진은 아마도 로커 루프를 지나 셔츠 칼라 안 까지 집어 넣은 게 아닐까. 만약에 그렇다면 옷감이 상하지 않게 따로 고리를 둔다, 라는 원래의 정신에 위배된다. 사실 낮에 이 사진을 보고 진짜 이렇게 되나 궁금해서 집에서 해봤다. 물론 이 모양이다. 고개를 푹 숙이고 있는 듯 한데 분위기가 어딘가 음침하다. 이걸 해보다가 깨달은 게 있는데 몇 번 이야기를 .. 2019. 11. 10.
필슨의 Forestry Cloth 크루저 이야기 예전에도 이 옷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사진이 많이 없길래 한번 찍어봤다. 필슨의 Forestry Cloth Cruising Coat, No.16이다. 참고로 옷 이름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자면 필슨 매키너 크루저가 가장 유명하다. 여기서 매키너는 옷감 이름이고 크루저는 옷 이름이다. 즉 필슨의 크루저라는 옷인데 매키너로 만들었다. 매키너는 매키너 지방에서 시작된 울의 종류다. 특징은 물을 자기 무게의 30%인가 까지 흡수함. 겨울에 습한 지역에서 야외 작업을 염두에 둔 울이다. 가끔 필슨st의 옷을 만들어 놓고 매키너라고 이름을 붙인 경우가 있는데 그러니까 크루저라고 해야 맞다. 매키너 울로 만든 다른 옷은 거의 보기가 힘든데 세계 대전 때 미군 옷 중에서 몇 가지 찾을 수 있다. 그것도 필슨이 만들었.. 2019.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