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님 워크 재킷 이야기
여기서 많이 언급했듯이 초어 재킷, 워크 재킷 류는 워낙 많이 가지고 있어서 더 이상 필요가 없다. 분류를 나눠보자면 트러커 류, 트러커에 라이닝 류, 데님 초어 류, 데님 초어에 라이닝 류, 데님 초어에 라글란 류, 덕이나 트윌 초어, 트윌 초어에 라이닝 류가 있다. 거기에 프렌치 몰스킨, 프렌치 트윌. 대략 분류하면 이 정도가 나오고 또 여기서 컬러 별, 브랜드 별 등등이 또 있다. 여기서 더 넓어지면 덕 액티브 류, 디트로이트 류 이런 게 나온다. 하지만 기본으로는 MA-1과 M-65 라인업에 따라 점퍼류와 돕바류를 가지고 있으면 되지 않나 생각한다. 이 분류를 따라 다 가지고 있는 건 아니지만 많이 가지고 있기는 하다. 사실 밀리터리의 BDU 자켓이나 M65, 아웃도어의 윈드브레이크와 소프트쉘 이..
2021. 5. 18.
시계의 에나멜 다이얼
얼마 전에 운동화를 화덕에 굽는 이야기를 했었는데(링크, 벌커나이즈드 스니커즈) 오늘은 시계를 화덕에 굽는 이야기. 시계는 비싸질 수록 부품의 정밀도 뿐만 아니라 마감, 다이얼, 초침, 문자판, 시계줄, 사용된 가죽, 금속 등등의 완성도도 함께 치솟는다. 보석을 쓴다면 어떤 보석을, 왜, 어울리냐, 잘 가공했냐 등등이 핵심이 된다. 그냥 아무거나 깐다고 되는 게 아니라는 게 어려운 점. 아무튼 고급 시계는 전통적인 방식의 에나멜 다이얼을 쓰는 경우가 많다. 이외에 라커, 도자기 등등 여러가지가 있다. 이름도 다들 쓰는 게 달라서 브랜드가 그냥 에나멜 다이얼이라고 하면 모르고 어떻게 만든거냐 하는 내용이 더 중요하다고 한다. 물론 상대적으로 저렴한 시계에도 에나멜 다이얼을 쓰는 경우가 있다. 역시 왜 쓰는..
2021.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