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84

짐이 많은 사람 이야기 얼마 전 헤밍웨이의 사파리 자켓 이야기를 하면서(링크) 이분은 항상 가지고 다니는 게 많아서 주머니가 잔뜩 붙어 있는 옷을 좋아한다더라는 이야기를 했었다. 토끼발 부적을 들고 다니지는 않지만 나 역시 항상 가지고 다니는 게 많은 편이고 또 주머니가 잔뜩 붙어 있는 옷을 나름 좋아하는 편인데 그렇다고 주머니에 뭘 넣어 다니지는 않는다. 대신 항상 가방을 들고 다닌다. 이렇게 가지고 다니는 게 많은 사람들은 대략 멀티 주머니 혹은 큰 가방 두 개의 패턴을 가지고 있지 않나 싶다. 이외에 다른 방법이 뭐가 있는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가방 가지고 다니는 걸 싫어하는 성향은 예전부터 볼 수 있었다. 시에라 디자인스의 고전 마운틴 파카는 앞에 4개, 뒤에 1개의 주머니가 있는데 다들 크고 늘어난다. 처음부터 백팩.. 2021. 8. 26.
사파리, 부시 자켓 요전에 셔츠 자켓 이야기(링크)를 하면서 윌리스 앤 가이거와 얽힌 헌팅 자켓, 사파리 자켓 이야기를 잠깐 했었는데 그런 김에 사파리 자켓에 대한 이야기. 사파리 자켓을 부시 자켓이라고도 한다. 예전에는 커다란 주머니가 달린 얇은 면 돕바를 사파리~ 라고 많이 불렀는데 한동안 그 후줄근한 옷은 잘 보이지 않다가 또 잠깐 유행을 하다가 그렇다. 이 옷은 1900년대 초 아프리카, 인도 등지에 주둔한 영국 군대의 카키 드릴이라는 유니폼이 시작이다. 당시 영국군 유니폼에서 카키라는 말도 나오고 치노 바지, 클락스 부츠 등등 많은 패션 파생 용품들이 나왔다. 위키피디아에서 카키 드릴을 찾으니까 이런 사진이 나왔음. 가슴 주머니 플랩의 아치형 곡선이 매우 인상적인데 사파리 자켓도 저걸 이어 받은 게 많다. 아무튼 .. 2021. 8. 25.
셔츠 자켓 이야기, 칼하트, +J, 코로나 사실 셔츠 자켓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었다. 셔츠면 셔츠고 자켓이면 자켓이지 이렇게 애매한 포지셔닝을 잡는 옷에 약간의 불만이 있다. 이왕이면 오소독스하게 파고 드는 걸 더 좋아했으니까. 그러다가 날씨의 변화와 취향, 생각의 변화 속에서 최근 몇 년 이건 좀 입지 않을까 싶은 몇 벌의 셔츠 자켓을 장만했다. 셔츠 자켓이라고 하면 필슨이나 펜들턴에서 나오는 울 분위기 나는 게 있고 조금더 캐주얼, 아웃도어 분위기 나는 게 있는데 다 뒤쪽이다. 그런 김에 가지고 있는 셔츠 자켓 이야기. 칼하트 WIP의 미시건 셔츠 자켓. 칼하트 WIP에는 미시건 자켓이라고 칼하트 워크웨어 버전의 초어 자켓의 캐주얼 버전이 있다. 이 옷은 거기에서 나온 셔츠 자켓이다. 커다란 네 개의 주머니가 초어 자켓 류라는 걸 알려주는 .. 2021. 8. 24.
좋은 옷 취향 "좋은 옷"이라는 건 아무래도 패스트 패션이 아닌 옷을 말할 거다. 좋은 소재, 좋은 만듦새. 사실 좋은 옷은 정의가 명확하지가 않다. 에르메스는 아마 좋은 옷을 만들 거다. 노스페이스는 좋은 옷인가? 유니클로나 H&M은 나쁜 옷만 있을까? 좋은 취향이라고 하면 약간 더 와닿는다. 하지만 이건 지금의 상황에서 아주 유쾌한 단어는 아니다. 좋은 옷을 입어버릇하면 그 차이를 알 수 있고 그래서 좋다고 할 수 있는 건 좋은 일이긴 할 거다. 패션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는 입장에서 어떤 식으로든 산업이 번성하면 할 말이 많아지고 그러니 나쁠 건 없다. 그렇지만 역시 딱히 좋은 옷 같은 거 몰라도 되지 않나 싶다. 좋은 옷에 관련된 경험을 쌓는 건 비용이 상당히 드는 일이기도 하고. 그럴 때 옷과 패션은 대.. 2021. 8. 23.
32cm 브리프케이스 이것저것 예전에 28cm 숄더백(링크)에 대한 이야기를 쓴 적이 있다. 오늘은 32cm 브리프케이스에 대한 이야기다. 28cm는 딱 그 정도면 좋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었지만 32cm는 약간 임의적인 숫자다. 맥북 13의 가로 사이즈인 30.4cm를 넘지만 40cm는 되지 않았으면 싶은 정도. 그리고 크로스끈은 없어도 되지만 얇았으면 좋겠다 정도. 2WAY, 3WAY 같은 거 필요없다. 사실 별로 쓸데가 없는 사이즈이긴 하다. 또한 브리프케이스라는 상품군 자체가 랩탑, 아이패드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다큐먼트 홀더류와 확실히 분리를 해가고 있기도 하다. 그러므로 브리프케이스와 랩탑 숄더백 사이의 경계 안에서 과연 어떻게 자리매김을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약간 있다. 아무튼 백팩, 토트백, 숄더백 같은 걸 들고 다니다가.. 2021. 8. 20.
칸예 웨스트, 슬로우 패션 이 둘은 사실 딱히 밀접한 관계는 없을 지도 모르는데 얼마 전 칸예의 돈다 프로모션을 보고, 또 어떤 계기로 예전에 쓴 글을 다시 읽어보다가 이 문제에 대해 조금 더 곰곰이 생각해 보고 있는 김에 여기에도 올려본다. 원래 제목은 과연 슬로우 패션의 시대가 올까. 올렸던 곳은 여기(링크). 하이프, 어글리 프리티, 부랑자 룩, 스트리트 패션 등은 기존 하이 패션의 대척점을 형성하는 비주류 패션이었다. 이것이 패션이 주류의 자리로 넘어와 자리를 차지하게 된 지도 벌써 꽤 시간이 흘렀다. 물론 그동안 힙합, 스트리트, 스케이트보드, 서핑, 스니커즈 문화 등이 함께 섞여 1980년대 이전부터 쌓여왔지만 2010년이 지나 본격적으로 올라오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그 후로도 10여년 가까이가 지났다. 이렇게 기.. 2021. 8. 13.
신세계 강남점, 루이비통 팝업 신세계 강남점에서 루이비통 팝업을 5개 매장에 걸쳐서 열었다고 하길래 구경을 다녀왔다. 저번에 갔을 때 백화점 여기저기가 온통 공사중이었는데 그거 마무리가 어떻게 된 건지도 궁금하고. 루이비통은 사진으로 봤을 때 저게 대체 어디지 했는데 그 정도는 아니고 1층, 6층인가가 약간 크고 나머지는 여기저기 산재되어 매장이 있었다. 가방, 신발, 향수 등등 약간 종목별로 분리가 되어 있다. 신세계 강남점 리뉴얼은 좀 빽빽해졌다. 전체적으로 매장 밀도가 올라간 느낌. 물론 매장 밀도의 면에서는 갤러리아 압구정점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데 그 정도는 아니지만 움직이다 보면 눈에 들어오는 게 계속 바뀐다. 재미있는 게 층을 오를 때마다 루이비통, 루이비통 혹은 샤넬, 샤넬, 분더샵, 분더샵 등등 이런 식으로 봤던 게 자.. 2021. 8. 12.
노스페이스 어번 유틸리티 캡슐 FW21 노스페이스에 어번 익스플로레이션(Urban Exploration)이라는 게 있다. 말 그대로 산 꼭대기에서 도심 속으로, 도시 탐험을 콘셉트로 한 시리즈인데 저번에 어번 스프롤(Urban Sprawl)이라는 캡슐 시리즈(링크)가 나왔었고 이번에는 어번 유틸리티(Urban Utility)라는 캡슐 시리즈가 나왔다(링크). 도시를 굳이 저렇게 입고 탐험해야 할까 싶지만 뭐 저렇게 입고 도심 지하 탐험 같은 걸 하라는 이야기는 아닐테니까. 노스페이스의 공동 설립자 케네스 클롭에 따르면 잭 케루악의 시집 '온 더 로드'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저 책 나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정말 오래간 만에 기억 속에서 올라온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약간 민망한 느낌이 들긴 해도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거기에서 시작해 영감을.. 2021. 8. 10.
자켓의 맵 포켓, 게임 포켓 자켓 중에 등 뒤에 주머니가 달린 옷들이 있다. 시에라 디자인스의 마운틴 파카가 유명한데 보통 맵 포켓이라고 한다. 시에라 디자인스의 마운틴 파카에는 주머니가 참 많은 데 백팩에 들어갈 만한 양을 몽땅 주머니에 넣어 해결해 버릴 수 있기 위해서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예전 백팩은 무겁고 불편했으니까 그럴 만 한 거 같은데 사실 주머니에 뭔가 가득 채우고 다니는 것도 꽤 불편하다. 이 옷을 검색하다 보면 특히 일본 쪽에서 추울 때 저기에 신문지를 넣어 보온을 강화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미국 쪽에서 검색해 봤을 때는 못 찾았는데 사실 그 이유는 시에라 디자인스의 마운틴 파카에 대한 이야기 자체가 별로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 저 옷은 일본에서 유난히 인기가 많았었다. 아무튼 신문지 이야기는 도시 괴담 냄새가.. 2021.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