붑1151 2015년 여름 걸그룹 컴백 티저 패션 6월 7월에 걸그룹들이 대거 컴백하면서 티저가 나오고 있다. 씨스타와 AOA가 첫 타자로 며칠 있다가 음반이 나올 예정이고, 뒤를 이어 나인뮤지스, 걸스데이, 에이핑크, 소녀시대가 나온다. 날짜가 확정된 팀도 있고 아직은 그냥 7월 중 정도로 퉁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여튼 기획이 결집된, 밀도가 굉장히 높은 코어한 이미지가 나오기 마련이라 꽤 흥미진진하게 보고 있다. 의상이란 일단은 세세한 아이템은 다 제쳐두고 전체적으로 눈에 어떤 식으로 확 들어오느냐가 승부처다. 티저가 다 나온 다음에 돌아보자면 너무 늦을 거 같고 이왕 나온 네 팀 정도만 가볍게 미리 둘러본다. 씨스타는 사랑스러운 악녀라는 컨셉트를 먼저 들고 나왔는데 첫번째 티저에서는 흑백 시스루, 그 다음에 나온 건 (아마도 무비컷) 꽤 화려하고.. 2015. 6. 19. Chuck Taylor 내츄럴 화이트 컨버스의 척 테일러 하이탑의 화이트는 그냥 화이트, 내츄럴 화이트, 오프 화이트 등등 여러가지가 있다.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가마니처럼 약간 노르스름하게 보이는 화이트는 내츄럴 화이트다. 그냥 새하얀 건 척 테일러 보다는 케즈의 느낌이 있어서 그런지(나만 그런 걸 수도 있지만) 뭔가 어색하다. 여하튼 오늘의 주제는 척 테일러 + 하이탑 + 캔버스 + 내츄럴 화이트 컬러. 요즘 나오는 건 이런 모습이다. '요즘'이라는 말이 좀 무색하게 들리긴 한데 여튼 그렇다. 찾아보니까 인도네시아에서 만든다. 오래된 신발인 만큼 버전이 다양하게 있는데 생긴 모습은 다 그게 그거다. 미국산, 베트남산, 중국산, 한국산 등등 지금까지 여러가지가 있었다. 인터넷에서 찾은 빈티지 척 테일러. 메이드 인 유에스에이라고 찍혀있.. 2015. 6. 19. 여름의 선블록, 남성용 화장품 이야기는 정말 오래간 만에 쓰는 거 같다. 요새 화장품을 대하는 태도가 마트에서 라면 사는 거랑 비슷해서 좋아봤자 어쩌라구... 뭐 이런 식이라. 없이 사는 건 안될까 싶어서 며칠 해봤는데 아무래도 그건 안되겠다는 걸 깨달았다. 그래서 화장품을 비롯한 잡동사니들은 무인양품 세일 시즌이라든가, 아마존의 무배송비 업체라든가, 아니면 종종 찾아가는 이마트 트레이더스라든가 하는 걸 이용하고 있다. 대량 생산! 1+1! 어쨌든 그래서 여름이 다가오면서 선 블록을 바꿔봤다. 이왕이면 휴대도 가능하도록... 참고로 최근에는 선크림을 니베아, 스프레이, 해피 바스 이런 것들을 쓰고 있었다. 그리고 여름엔 더우니까 데오드란트 스프레이도 뿌리고, 바디 로션도 스프레이... 냄새 나는 게 싫어서 습관적으로 뿌려 대는.. 2015. 6. 11. 리바이스의 뉴 네바다 진 리바이스는 1853년에 dry goods 도매상으로 시작했고 1873년에 리벳(을 이용해 바지를 더 튼튼하게) 특허를 받았다. 여튼 뭐 셀비지, 로데님 및 복각 데님이 다양하게 나오면서 리바이스도 빈티지 라벨을 따로 돌리고 있는데 그와 더불어 오래된 청바지들 확보도 열심히 하고 있다. 복각과 재현은 일본이 꽤 잘하고 있을 지 몰라도 일단 원조...라는 점과 그 아카이브는 따라가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여튼 501 청바지 142주년이라고 하는데 새롭게 아카이브에 들어가게 된 청바지의 발견을 블로그로 알렸다. 위 사진도 거기(링크)에 있는 것. 1880년대 제조로 추정된다고 하고 이름은 뉴 네바다 진. 디테일의 차이는 큰 건 없는데 위 링크에서 읽을 수 있다... 9온즈 데님에 Synthetic 인디고 염.. 2015. 5. 27. 쥬니히토 글 내용하곤 약간 다른 이야기를 먼저 해보자면, 얼마 전 멧 갈라가 있었는데 중국 전시에 맞춰서 중국풍의 옷을 입고 나왔다. 물론 어디까지나 '풍'이었고 덕분에 아주 괴상한 옷들을 잔뜩 볼 수 있었다. 이렇게 오리엔탈리즘으로 점철된 패션 행사는 아마도 10여년 전만 해도 각종 비난에 직면해 할 수 없지 않았을까 싶다. 특히 반사적으로 피씨함이 작동하는 경우에는 어떤 식으로든 가볍게 보기가 어려울 수도 있을 텐데 여튼 세상은 그 사이 꽤나 바뀌어 가고 있고 이전 포스팅에서 말했듯 페미니즘, 부랑자가 손쉽고 가볍게 리브랜딩 되어 캣워크에 오른다. 어떻게 보면 겁이 없어졌고, 용인의 폭이 넓어졌고(이건 의문의 여지가 있지만), 이러나 저러나 옷 가지고는 한 번 웃으면 된 거 아닌가(케 세라 세라) 하는 정서도.. 2015. 5. 12. 코코 샤넬과 헐리우드 영화 코코 샤넬은 1930년대에 세 편의 영화 의상 제작에 참여했다. 우선은 그 당시의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파리의 오트쿠튀르 - 미국 헐리우드 영화와의 연계는 꽤 성공적이지만 시간의 텀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즉 헐리우드에서 큰 자본을 들여 영화를 제작해 개봉해 놓고 나서 보면 이미 새로운 유행이 등장해 옛날 스타일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특히 헐리우드 영화가 만들어내는 상업적 가치는 꽤 대단한 상태였다. 예를 들어 MGM의 1932년 영화 의 여주인공 존 크로포트가 입은 러플이 달린 흰색 이브닝 드레스 같은 건 꽤 인기를 끌었다. 이 옷은 MGM 소속 의상 디자이너 아드리안이 디자인했는데 당시 메이시스 백화점에서 수십만 벌이 판매되었다고 한다. 그레타 가르보가 1930년대 모자 산업에 막대한 영향을 끼.. 2015. 5. 4. 영향, 관계 세일러 문이 오트쿠튀르에서 많은 옷을 가져왔다는 이야기는 꽤 유명하다. 특히 1992 SS 컬렉션에서 꽤 많이 발견할 수 있는데(연재가 91년 12월부터니까 당시 최신 컬렉션을 참조했다는 걸 알 수 있다) 뭐 여기엔 복잡한 문제들이 얽혀있을 수도 있겠지만 그건 이 포스팅의 주제가 아니니까. 예컨대 1992 SS 샤넬. 오른쪽은 플루토. 어쨌든 1992년 SS 디오르 이야기를 해보자면 당시 디자이너는 지안 프랑코 페레. 컬렉션 중 팔라디오 드레스라는 게 있는데 아테네 건축물 기둥에서 모티브를 가져왔다. 꽤 신화적인 모습의 드레스다. 이것은 기둥. 위 그림은 위키피디아 클래시컬 오더 항목(링크). 저 기둥에서 이런 드레스가 나왔다. 모티브와 결과 사이의 관계가 거의 가감없이 일대일이다. 하늘하늘한 플리츠는 .. 2015. 4. 28. 전시, 혼자 사는 법, 커먼센터 영등포 커먼센터에서 혼자 사는 법(A Loner's Guide)라는 전시가 진행중이군요. 4월 17일부터 5월 25일까지. 입장료 3,000원. 5월 20일 이후 몇 가지 강연과 워크샵이 계획되어 있다고 합니다. 전시 개요 및 워크샵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커먼센터 홈페이지(링크)를 참조. 2015. 4. 17. 어 스타일 포 유 어 스타일 포 유라는 방송이 시작되었다. 간만에 지상파에서 보는 패션 전문 방송이다. 게다가 공영 방송 KBS다. 위 사진은 어 스타일 포 유 공식 홈페이지(링크)에서. 사실 방송과 패션은 궁합이 별로 좋지가 않다. 각잡고 진지한 이야기를 하기도 그렇고, 깊게 들어가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트렌드에 대해 다루기도 그렇다. 어쩔 수 없이 광고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책 같은 것들도 방송에서 다뤄지고 -> 뜻밖의 히트(대량 소비) 같은 일이 벌어지긴 하지만 모두의 인식이 그렇듯 책과 옷은 다르다. 그리고 사실 대중이 패션에 그다지 관심이 없다. 아주 잠깐 그런 시기가 있긴 하지만 그것도 일부고, 그게 계속 유지되는 사람은 더더욱 줄어든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뉴스와 방송에서 패션은 실용 혹은 장인.. 2015. 4. 6. 이전 1 ··· 84 85 86 87 88 89 90 ··· 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