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18

알파 인더스트리의 M-65 이야기 왠지 이맘 때가 되면 M-65 이야기를 하게 된다. 검색할 때 보면 일본은 M-65라고 적힌 게 많고 미국은 M65라고 적힌 게 많다. 아무튼 분명 입을 때가 되었는데 vs 아직 더운가라는 생각이 교차하기 때문이다. 뭐 덥든 말든 며칠 딱 되면 입기 시작해서 며칠 딱 되면 그만, 이러면 편하긴 할텐데 그러기에는 일교차가 너무 크다. 이러다가 어어 하면 시즌이 지나가 버린다. 한겨울에 입기엔 또 춥기 때문이다. 군대에서라면 몰라도 굳이 그런 고행을 할 필요는 없다. 약간 어처구니없게도(이 말이 가장 적당하다) 알파 인더스트리의 M65가 세 벌이나 있다. 아마도 90년대 쯤 재고, 레귤러 판 S-R, 밀스펙에 준함, 미국산. 색만 다르고 거의 같다. 라이너는 하나있다. 아주 자세히 살펴보면 라벨의 위치라든가.. 2019. 11. 6.
H&M과 지암바티스타 발리 콜라보가 내일 나온다 H&M과 지암바티스타 발리의 콜라보가 내일(2019년 11월 8일) 나온다. 오전 8시에 온라인에도 풀린다니까 참고(링크). MEN, WOMEN이 아니라 BOYS, GIRLS로 되어 있는데 하늘하늘한 드레스부터 웨이스트 백, 티셔츠, 가죽 자켓 등등 예상보다 컬렉션의 범위가 넓다. 물론 협업 컬렉션 발표와 곧바로 출시, 나온 제품들 등등 계속 예상보다 본격적이긴 했다. 사실 이 정도로 본격 오트쿠튀르와 본격 패스트 패션 협업은 처음인 거 같은데 H&M은 칼 라거펠트와 일을 벌리며 협업의 가치를 알리기 시작한 브랜드인 만큼 오래간 만에 협업의 의미를 한 단계 더 키워낸 거 같다. 물론 조악한 소재로 만들어진 오트쿠튀르란 말 인형 놀이 옷이 될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가격, 디자인, 소재, 만듦새 등 모든 .. 2019. 11. 6.
다양성과 패션의 즐거움 2016년에 패션 vs. 패션(링크)을 썼던 가장 큰 이유는 패션이 너무 재미없어졌기 때문이다. 그냥 재미가 없으면 뭐라 할 말이 없는데 재미가 있을 수 있을 듯 한데 재미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 이후 상황이 약간 급변했다. 힙합과 스트리트 패션이 대세가 되었고 다양성과 환경 관련 이슈가 패션을 덮었다. 게다가 프래드먼트 도쿄의 후지와라 히로시, 슈프림의 제임스 제비아 같은 선지자들 덕분에 하이 패션은 공장 양산품을 비싸게 파는 방법을 완전히 터득했다. 면과 폴리에스테르는 관리가 편하고 수명이 길기 때문에 환경에 도움이 된다. 또한 편안함과 안락함, 가벼움은 시대 정신이다. 문제는 섬유에 있는 게 아니라 유행지났다고 금세 치워버리는 인간에 있을 뿐이다. 매달 새로운 유행을 내놓고 만들어 내지만 그걸 사라.. 2019. 11. 5.
리바이스 70505-0217, 페이딩, 퍼커링 여전히 사이드 주머니가 없는 리바이스의 1, 2, 3세대 트러커가 어디에 쓰라고 만든 옷인지 정확히 이해하고 있진 못하지만 그럼에도 세월의 흔적은 차곡차곡 옷에 쌓이고 있다. 물론 하드한 로테이션을 돌리는 것도 아니고 야외에 노출되는 일도 적어서(불편하고 따뜻하지 않는 미드 레이어가 현재의 용도 같다) 흔적의 모습은 시시하고 지루하지만 세상에 이런 삶, 저런 삶이 있듯 이런 옷도 있고 저런 옷도 있는 법이다. 70505 스몰e 버전은 딱히 역사적 가치나 탈색의 재미가 있는 옷은 아니라지만 구시대형 데님 트러커는 이거 하나면 된 거 같다는 생각을 하게 해줬다는 점에서 나름 개인적인 가치가 있는 옷이다. 이하는 그냥 사진들. 아래 사진이 현재 색에 가장 가까운 거 같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면 상태가 괜찮은 .. 2019. 11. 4.
카우첸 그리고 노르딕, 페어 아일 스웨터 제목에 이것저것 써놨지만 오늘의 주인공은 카우찬. 나머지 둘은 조연으로 잠깐 나온다. Cowichan이라고 쓰는데 사전을 보면 카우첸이라고 되어 있다. 카우찬, 카우이찬, 카우이첸, 카우친 등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하는데 일단은 사전에 나와있는데로 카우첸이라고 쓴다. 영어로도 카우첸 말고 여러가지 이름이 있다. Siwash Sweater, Indian Sweater, Curling Sweater, Mary Maxim Sweater 등으로 부른다고 한다. 마리 맥심은 1940년대에 이 스웨터 생산으로 유명했던 브랜드 이름이다. 이렇게 생긴 울 스웨터 자켓을 말한다. 사실 자켓만 있는 건 아니고 크루넥 점퍼, 베스트 등등을 비롯해 각종 울 소품 등등 여러가지 나온다.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이너 아우터도 가.. 2019. 11. 4.
초어 재킷의 상단 왼쪽 주머니 이옷에 대한 이야기를 쓸 때마다 이름이 고민되는데 초어 코트, 초어 재킷, 워크 재킷, 레일로드 재킷 일본에서는 카버올(=커버올) 등으로 부르기 때문이다. 뭘 써도 정확히 그것을 지칭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무튼 빈티지 초어 재킷, 이렇게 생긴 옷을 말한다. 미국에서 1900년대 초부터 비슷하게 생긴 게 있다가 1920년대에 오버올즈 위에 입는 색 코트 비슷하게 나오다가 단독 착용형으로 독립했다. 칼하트의 경우 데님 버전이 1925년, 덕 버전이 1928년에 나왔다고 한다. 거의 비슷한 시기인 1925년에 LEE에서는 91J, 소위 "로코" 재킷이 나왔다. 세세하게 바라보면 다른 점들이 꽤 있는데 데님처럼 단단한 천으로 만든 색 코트, 색 재킷 모습이라는 점은 모두 같다. 다른 점이라면 보통 라글.. 2019. 11. 3.
B-15C, 한국전쟁, 마릴린 몬로 B-15C라는 미군 항공 점퍼가 있다. 50년대 공군 점퍼니까 두껍고 무겁고 그런 거다. B-15시리즈는 1944년에 처음 나왔다는데 처음 나온 건 B-15A다. 예전에 미군 옷들은 부분 수정을 할 때마다 뒤에다 A, B, C...를 붙였다. 나일론 쉘과 리무버블 퍼가 가장 큰 특징이다. 가죽 플라이트 재킷 시절에는 보아 퍼가 붙어 있었는데 그게 조종사가 (새로 개발된) 헬멧을 쓸 때 방해가 되니까 착탈이 되게 한 거다. 이런 과도기적 모델을 거쳐서 아마도 M-65, N-3B와 함께 미군 옷 중 가장 유명한 MA-1이 나오게 되었다. 오늘 이야기를 할 B-15C는 1950년부터 1954년까지 나왔다. 즉 한국 전쟁에서 사용된 특화 모델이다. 뒤적거려 보면 1950년대 발행판 B-15C를 파는 곳들을 찾을.. 2019. 11. 2.
오디너리 핏츠와 빅맥의 콜라보 오디너리 핏츠 인스타를 팔로우하고 있어서 빅맥(워크웨어 브랜드 Big Mac)과 콜라보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잊고 있다가 어제 코트 구경을 하다(야드 코트 멋지다) 생각나서 찾아봤다. 초기형 데님 트러커 응용 버전과 카펜터 팬츠 응용 버전. 오버사이즈 룩. 빅맥 같은 오래된 워크웨어 브랜드와 데님 라인 콜라보를 하면 과연 뭘 할까 싶은 생각이 드는데 딱 오디너리 핏츠가 할 것 같은 결과를 내놨다. 지금 시점과도 잘 맞는다. 역시 훌륭한 브랜드군. 이건 오버올즈. 이런 류의 워크웨어에 흔히 붙어 있는 도끼 루프, 가슴팍의 툴 포켓 같은 군더더기를 다 생략해 버렸다. 사실 그래놓고 났더니 이런 미니멀한 분위기는 무인양품 같은 브랜드와 분위기가 비슷해져 버린다. 근데 신치 백들은 남겨 놓은 게 .. 2019. 10. 30.
다운 데님, 데님 다운 자켓 데님은 워낙 대중적인 소재라 옷도 만들고 가방도 만들고 신발도 만들고 아무거나 만든다. 다운도 코트, 자켓, 셔츠, 바지 아무대나 붙인다. 이 둘도 함께 붙는데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우선 푸퍼 데님 트러커. 일단 생긴 게 푸퍼니까 푸퍼 다운 데님 재킷. 80, 20에 700필. 이건 푸퍼가 안에 숨겨져 있으니까 데님 트러커 퀼티드 라이닝... 패디드... 이름이 뭐든. 역시 80, 20인데 라벨이 자세히 나와 있지 않아서 정확한 스펙은 모르겠다. 위 제품과 비슷할 듯. 둘 다 리바이스인데 데님 + 다운이라는 중대사를 앞에 두고 이걸 어쩔까... 하는 방황이랄까 그런 게 느껴진다. 데님은 다 좋은데 특히 한국의 겨울이라면 그냥 보기에도 추워보인다. 알리익스프레X 잠깐 보니까 이런 것도 있군. 그렇지만 .. 2019. 10. 29.
소킹, 얼마나 줄어드는가, LC King 자켓 제목을 다시 말하면 LC King의 포인터 브랜드 자켓은 소킹을 하면 얼마나 줄어드는가... 파란 건 11.5온스 데님, 하얀 건 10온스 피셔 스트라이프로 둘 다 S사이즈. 둘 다 찬물 30분 소킹. 그 이후 몇 번 더 세탁을 했는데 거의 비슷하게 유지되고 있다. 뜨거운 물로 소킹을 하거나 고온 건조기에 돌리면 조금 더 줄어들 거 같기는 하다. 워시드 되지 않은 로 데님 버전은 샌포라이즈드든 언샌포라이즈든 반드시 뜨거운 물이든(언샌포라이즈라면) 찬 물이든(뭐든) 30분 정도 소킹 비슷한 걸 해야만 한다. 표면에 보관을 위해 붙어 있는 접착제 비슷한 걸 떼어 내야 하기 때문이다. 대충 세탁한 다음에 입어보면 묘한 끈적끈적함을 느낄 수 있는데 요새 그거에 알러지 비슷한 것도 생겼음... 예전에는 안 그랬는.. 2019. 10. 24.
칼하트와 필슨, 작업복의 이미지 어제 밤에 잠자려고 누워 유튜브를 뒤적거리다가 필슨의 광고 캠페인, 칼하트의 광고 캠페인 그리고 각종 제품 리뷰 등등을 주르륵 봤다. 유튜브의 작업복, 아웃도어복, 기능성 의류 리뷰 꽤 재미있다. 패션 계열 리뷰와 집중의 포인트가 전혀 다르다. 아무튼 칼하트와 필슨은 둘 다 오래된 작업복 브랜드다. 그렇지만 당연하게도 역사와 이미지, 가는 길은 미묘하게 다르다. 칼하트는 공장 노동자, 육체 노동자의 옷이다. 조상들도 입었고, 나도 입고, 자녀들도 입을 거다. 공사장이라면 칼하트다. 기본적으로 자기 몸뚱아리 믿고 가는 길이고 자신에게 기대는 일이지만 함께 하는 일이 많다. 모두 함께 으쌰 으쌰. 이에 비해 필슨은 목장, 사냥, 낚시의 옷이다. 광활한 미국의 자연. 가족이 있고 농장이 있지만 결국 인간은 혼.. 2019. 10. 23.
헤비 로테이션의 옷 AKB 노래 이야기가 아니라... 헤비 로테이션을 할 수 있는 옷을 좋아한다. 마구 입을 수 있고, 관리도 쉽고, 조금 뜯어지거나 낡아도 아무렇지도 않은 옷들이다. 보통 이런 옷들은 등산복, 작업복, 운동복들에 많고 코튼과 울,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가 주류다. 낡음을 쌓아가며 입는 옷들이다. 문제는 그런 옷만 찾고, 또 우연히 그런 옷을 저렴하거나 싸게 파는 걸 보면 또 들여놓고 하다 보니 어느 새 헤비 로테이션이 가능한 옷들로만 옷장이 가득 찼다. 결국 헤비 로테를 위한 옷들을 헤비 로테를 할 수가 없게 된다. 하나를 계속 입기 위해 나머지를 방치할 수 없다. 몇 개 씩의 데님 재킷을 돌아가면서 입는 것 역시 의미가 별로 없다. 로테이션의 주기가 너무 길어지면서 옷이 낡지를 않는다. 과욕이란 이런 불필.. 2019.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