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22

톰 포드가 CFDA를 이끌게 되었다 톰 포드가 다이앤 폰 퍼스텐버그(DVF)의 후임으로 CFDA(미국 패션 디자인 협회)의 새로운 회장(Chairman인데 의장은 또 따로 있더라고... 하여간 대표? 회장? 의장? 등등)이 되었다. CFDA는 2006년 DVF의 임명 이후로 본격적으로 변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는데 디자이너 회원을 크게 늘렸고 CFDA/보그 장학금도 본격적으로 운영되면서 신진 양성에 큰 힘을 보탰다. 당시 보스턴 컨설팅 그룹과 함께 CFDA는 과연 뭘 해야 할 것인가를 연구했다고 하는데 결론적으로 파리나 밀라노 같은 하이 패션 시스템의 구축과 신진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확보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 부분은 결론적으로 매우 성공적이었고 뉴욕 패션위크도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하지만 그걸로 다 된 건 아니다... 2019. 3. 21.
언더커버의 2019 FW 패션으로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예를 들어 패셔너블하다고 여겨지는 옷을 입는 걸로 멋지다는 자의식을 얻거나, 주변의 칭찬 같은 걸 구하거나, 혹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미지의 모습을 발굴하거나, 그저 웃기거나 재미있거나, 폼을 잡아보거나 등등이 있을 거다. 목표에 따라 다르고 굳이 목표가 없다고 하더라도 어쨌든 매일 옷을 입고 있으므로 삶을 운영하는 태도나 방식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것들이 있을 거다. 꼭 입는 게 아니더라도 보는 것으로도 얻을 수 있는 것들이 있다. 생각 못해봤던 옷이나 조합을 보면 상상의 지평이 넓어질 수 있다. 더 다양한 재료들은 더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는 재료가 되는 법이다. 마찬가지로 그저 웃기거나 재미있거나, 폼 잡는 걸 보면서 감상이 남을 수도 있다. 모든 것에 촉각을 기.. 2019. 3. 19.
울로 된 초어 재킷 언젠가부터 등산복하고 작업복만 입으며 살고 있는 거 같다. 뭐 등산복은 급변하는 날씨에 도움이 되고 작업복은 일을 한다라는 마인드를 불어 넣는데 도움이 된다. 초어 재킷(=작업복), 커버올은 형태가 다양하게 있지만 보통 덕 코튼이나 데님 같은 걸 겉감으로 쓴다. 추위를 대비해서 안에 싸구려 카페트 같은 울 라이닝, 폴리 라이닝이 붙어 있는 것도 있고 퀼트가 붙어 있는 것도 있다. 사실 이렇게 이종 레이어의 옷은 세탁이 어려워서 별로 좋아하진 않는다. 그리고 그렇게 따뜻하지도 않아, 추울 땐 차라리 안에 내피 같은 거 하나 더 입는 게 낫다. 아무튼 오늘은 울로 된 작업복. 이게 겨울 옷이긴 한데 알다시피 한국의 한 겨울에는 곤란하다. 그렇다고 활용도가 아예 없진 않은 게 적당히 피트 된 걸로 구입해 다운.. 2019. 3. 19.
마운틴 재킷의 주머니 구성 마운틴 재킷의 초기형을 시에라 디자인스라고 잡는다면 애초에는 편의성, 기능성을 중심으로 만들어 진 거라 주머니가 잔뜩 붙어 있는 게 자랑이었다. 위 둘, 아래 둘 + 둘, 뒷면 하나 해서 총 7개의 주머니가 있다. 이 중에 물건을 담을 용도라면 앞에 넷, 손을 넣는 둘이 있다. 저번에 말했듯 데일리 백팩 하나 분량을 모두 담을 수 있는 정도를 생각했다고 한다. 이런 형태는 더 예전이라면 필슨의 크루저 같은 워크 재킷, 바버의 헌팅 재킷, 군대의 필드 재킷 등에서 그 기능성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것보다 조금 더 전인 세계 대전 무렵의 해군의 피코트를 보면 사이드 핸드 워머 포켓이 있다. 아래에는 주머니가 없고 사이드에 가로 주머니만 있다. 사실 핸드 워머 포켓은 뭔가 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어.. 2019. 3. 16.
일상복은 즐거운 일이다 요 몇 년 간 한 해 동안 주로 말할 주제 같은 걸 나름 설정해 놓고 떠들고 있는데 올해는 옷의 즐거움, 일상복의 즐거움이다. 예를 들어 탈 패셔너블, 고프코어와 어글리 프리티, 만듦새를 즐기기 등등. 물론 뭐 이 이야기만 하는 건 아니고 이 이야기만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 이건 1) 패션의 즐거움으로 가는 먼 길 중 일부이기도 하고 2) 이미 새로운 형태로 패션의 즐거움이 되어 있는 거기 때문에 그걸 잘 찾아보자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아무튼 크게는 탈 트렌드, 겟 자기 만의 즐거움. 패션이 폼이든 멋이든 신분이든 아무튼 일상복을 넘은 그 무엇이라고 한다면 예전 계급 시대에 고급 패션이 탄생한 이후 사람에 따라 패션과 일상복이 분리되었다. 평범한 일반인에게 패션은 별로 필요한 것도 아니었고 사실 구.. 2019. 3. 13.
수선점은 역시 거의 별로다 얼마 전에 수선의 효용(링크)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오늘은 거기에 하나가 추가된 이야기. 우선 밝혀둘 것은 1) 일단 벌어진 일이니 결과는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이걸 입어야 한다.2) 수선점 전문가의 말을 기본적으로 신뢰한다. 거기서 안된다고 하는 건 아마도 안될 거다. 옷 수선에 대해서는 당연히 나보다 훨씬 잘 알고 그런 걸 속일 이유는 없다고 생각한다.3) 그렇지만 다시 가지는 않을 거 같다. 옷을 수선하는 건 사실 다들 다른 여러가지 목표를 가진다. 왜냐하면 원래 모습 그대로 복구하는 건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그건 본사에 가도 마찬가지다. 단추 같은 건 원래와 똑같은 건 없는 경우가 더 많다. 레플리카 청바지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 알 수 있듯(제발 책을 읽어주세요! 링크) .. 2019. 3. 13.
상대의 옷을 보고 무엇을 알 수 있을까 비비씨에서 과연 정장과 넥타이가 사라질 것인가라는 뉴스를 다뤘다(링크). 예시로 든 건 골드만 삭스의 출퇴근 복장 유연성. 약간 재미있는 건 "차려입는 행위"가 남을 거라고 말한 세 명의 인터뷰 모두 돈을 맡길 때를 예로 들었다. 즉 청바지 같은 걸 입고 있는 사람은 믿기 어렵지 않느냐는 것. 이 말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건 금융 사기를 칠 생각이라면 일단 고급 정장을 맞춰라. 물론 저분들도 그저 옷으로만 판단하진 않을 거다. 말 그대로 돈을 맡길 생각이라면 회사와 배경, 말투, 손짓, 눈빛까지 가능한 많은 정보를 얻으려 할 거다. 이 수많은 정보들 중 옷의 중요성이 과연 얼마나 될까. 애초에 과연 옷으로 무엇을 알 수 있을까. 잘 차려입은 착장을 보고 알 수 있는 건 그의 성실함이 아니라 이 사람은 옷을.. 2019. 3. 11.
캘빈 클라인이 컬렉션 비지니스를 그만 둔다 라프 시몬스를 내보낸 캘빈 클라인이 컬렉션 비지니스에서 철수하겠다고 밝혔다. 애초에 이 브랜드는 최근의 컬렉션 비지니스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아예 빠져버릴 줄은 몰랐다. 아무튼 이 브랜드는 기반이 청바지와 속옷 판매고 그게 너무 거대하다. 라프 시몬스가 들어갔으면 사실 브랜드로는 큰 의미가 없는 패션쇼를 살려 놔야 했는데 거기에 실패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패션쇼는 재미있었는데 돈이 너무 들었다고 하고, 그걸로 캘빈 클라인이라는 브랜드의 구색을 살려 놓는데는 실패했다. 청바지와 속옷을 파는 데 그런 시니컬한 하이 패셔너블한 이미지는 (예전의 그 문란한 광고에 비해) 별로 도움이 안되었던 거다. 그래서 찾아봤더니 볼 수 있었던 컬렉션의 마지막 의상이 마침 졸업식 착장이었군(링크). 사진은 보그 .. 2019. 3. 8.
게스키에르 - 루이 비통 2019 FW의 못생긴 옷 전략 루이 비통 여성복 2019 FW 패션쇼가 있었다. 이번에는 말하자면 못생긴 옷 전략을 들고 나왔다. 어글리 프리티. 게스키에르는 이 옷들에 대해 “It’s the beauty of controversy,”라면서 “I am happy to be misunderstood.”라고 대답했다. 사진은 보그 패션쇼(링크). 예컨대 어글리한 패션이란 어글리하지 않은 = 멋진 옷이라는 기본 지점을 상정해 둔다. 그것은 아마도 유럽 전통의 포멀 웨어에서 나온, 또한 그를 지배하고 있는 사회적 구조(하이 패션의 남성옷과 여성옷이 왜 필요한가, 어디에 기여하는가) 와 정신에서 나온, 패셔너블함을 뜻한다. 즉 기존의 구조 아래에 놓여있다. 하지만 최근의 못생김은 기존의 멋진 옷을 뒤틀어 예전 기준이라면 못생기다고 할 만한 옷.. 2019.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