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18

겨울이 다가온다 - 합성 충전재 요새 시간이 날 때 이런저런 운동을 하고 있다. 추위가 다가오면서 개인적인 합성 소재 의류 수요가 확 늘어났는데 그중 하나가 합성 충전재가 들어있는 아우터다. 예를 들어 하이킹, 트레일, 등산 등등을 할 때 "땀이 난다, 눈을 맞는다 -> 다운 성능이 떨어짐, 얼 수도 있다"의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추위를 많이 타서 다운 계열을 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막상 찾아보니 뭘 입고 가야할까(아직 겨울이 오진 않았지만) 대비를 생각하게 된다. 물론 몇 개 가지고는 있다. 늦가을, 초봄 시즌에 쓸 만한 얇은 타입도 있고 합성 충전재에 플리스 라이닝, 하이벤트 조합으로 이뤄진 노스페이스의 인럭스 인설레이티드 자켓이라는 것도 가지고 있다. 인럭스는 급격히 추워지는 나라에서 일상용으로는 거의 쓸모가 없는 옷이라고 생.. 2020. 10. 21.
프라우드 보이스 - 프레드 페리 패션 브랜드는 가끔 뜻하지 않은 곳에서 연결점이 생기고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버버리는 영국의 훌리건들 그 다음에는 챠브나 러시안 레이브가 좋아했다. 버버리는 이런 이미지를 떼어 놓으려고 애를 쓰기도 했었고, 고샤 루브친스키를 데려다 판을 깔아주기도 했었다. 프레드 페리에겐 테라스가 있었고, 뉴발란스는 2000년대 초반 독일의 네오 나치들이 신었다. 뉴발란스는 반 인종주의 콘서트를 후원하는 걸로 대답을 했다. 스톤 아일랜드 역시 영국 축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근 주목받는 건 미국의 우파 집단, 헤이트 그룹, 네오 파시스트, 극단주의자 그룹인 프라우드 보이스다. 트럼프는 프라우드 보이스가 누군지도 모른다고 부정했지만 관련된 소문은 많다. 아무튼 이들이 선택한 건 프레드 페리의 노란 줄무늬 블랙 폴.. 2020. 10. 7.
노스페이스 트로터 골드, 아이코닉 옐로 요새...라고 하기보다 최근 세계 곳곳의 노스페이스는 꽤 바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우선 노스페이스 어번 익스플로레이션(The North Face Urban Exploration)의 2020 FW 시즌으로 나온 트로터 골드 캡슐 컬렉션. 클라이밍과 도시 탐험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고 16가지 젠더 플루이드 아이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테크니컬한 워터프루프 폴리에스테르와 플리스의 조합이 특징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노스페이스하면 생각나는 노란색이 있는데 그 색 제품들이 주르륵 나왔다. 이 색으로 된 디날리, 히말라얀, 눕시, 몇 개의 가방 등등이 나왔다는 소식이다(링크). 참고로 곧 나올 예정인 구찌와의 협업은 풀 컬렉션이라는 듯 하다. 아무튼 뭐, 바쁜 브랜드다. 2020. 10. 2.
패션의 자유로움 사실 패션과 관련이 없어 보이는 못생긴 옷,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 듯한 옷을 입고 다니는 사람들은 세상에 이미 많이 있었다. 예를 들어 자기 할 일을 열심히 하느라 패션 같은 데 신경 쓸 돈도 시간도 없는 사람들, 편한 복장을 선호하는 실용적인 여행자들, 옷이란 그저 추울 때 따뜻하면 되고 튼튼하고 관리가 편하면 좋다는 이들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런 옷에 사실 꽤 익숙한 편이다. 등산복 패션, 골프복 패션, 관광객 패션 등등은 모두 편안함을 극도로 중시하는 방식이다. 즉 옷에서 형식이라는 부분을 제외시킨다. 물론 편안하겠지만 이런 옷차림은 패션 파괴자 같은 놀림을 꾸준히 들어왔다. 그런데 상황이 조금 달라졌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편안함과 실용성을 중시하고 있다. 유행하는 패션도 스포츠, 아웃도어 .. 2020. 10. 1.
유니클로의 솜잠바 예전에 유니클로 매대에서 5천원 + 내 사이즈 + 편해 보임의 이유로 구입한 후드 점퍼가 있다. 상당히 오래된 거 같은데 얼마나 되었는지 모르겠다. 이름도 성도 모르는데 이렇게 생겼다. 가장 큰 단점은 지퍼를 끝까지 올려도 입을 가리지 못하는 것. 그거에 충전재를 살짝만 덜어서 80% 쯤 넣어 무게를 낮추면 딱 좋겠는데. 하얀 색이라 금세 더러워지고 더러워진 상태에서 이젠 잘 씻기지도 않는다. 아무튼 겉감 폴리 100%, 안감 폴리 100%, 충전재 폴리 100%로 이뤄진 나름 폴리에스테르의 결정체다. 그냥 세탁기 넣고 빙빙 돌리면 되고 금방 마른다. 이 옷은 용도가 몇 번 변했는데 처음에는 외출복으로 잠깐 쓰다가 아무래도 부담스러워서 이후 쉘 자켓 종류 안에 일종의 보온재로 입었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2020. 9. 30.
빈티지 vs 아웃도어 빈티지와 아웃도어라는 말은 그렇게 어울리는 이야기가 아니다. 예컨대 기능성이라는 건 시간이 지나면 보통 무의미해 진다. 가끔 개버딘, 벤틸, 60/40 크로스 등등 성능이 오래 지속되는 기능성 옷감이 있기는 하다. 보다시피 대부분 면 기반이다. 사실 울만 되도 시간이 좀 오래된 거면 괜찮을까(벌레, 구멍, 곰팡이 등등) 하는 생각이 드는데 고어텍스니 초기형 H2NO니 뭐 이래 버리면 장식용으로 쓸 게 아닌 한 실사용 용으로 의미가 있을까 의심이 든다.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계열은 몇 십년 된 것도 세탁해서 쓰면 나쁘진 않을 거다. 하지만 그건 수십 년 된 리바이스 청바지나 파이브 브라더스의 플란넬 셔츠를 입는 것과 어딘가 기분이 좀 다르다. 일단 스트리트와 걸쳐 있는 것들이 빈티지 수요가 좀 될텐데 노스.. 2020. 9. 28.
프라다, 라프 시몬스, 2021 SS 프라다와 라프 시몬스의 협업으로 만든 프라다의 2021 SS 컬렉션이 얼마 전에 있었다. 기대가 좀 있었기 때문에 라이브로 지켜봤다. 이게 라이브가 없으니까 나중에 모아 올라오는 채널도 없고 그래서 챙겨보기가 좀 까다롭다. 이 컬렉션은 꽤 재미있었다. 젊고, 진중하고, 멋지다. 2020년 시점에서 보면 약간 옛날 스타일이라는 생각이 계속 들긴 했고, 그런 일종의 우아함이 방해 요소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구찌나 발렌시아가가 그랬던 것처럼 기존의 이미지를 갑자기 + 완전히 밀어 버리지 않으면 수가 잘 나지 않는 상황이다. 버버리가 컬렉션에서 헤매는 이미지를 주는 것도 그런 이유가 아닐까. 그렇다고 해도 이 컬렉션은 그런 생각을 살짝 뛰어 넘어 있었다. 무엇보다 미우치아 였으면 하지 않았을 거 같은 컬.. 2020. 9. 28.
노스페이스, 구찌, 헨더 스킴 최근 사카이, 하이크, 마르지엘라 등과 협업을 이어온 노스페이스가 올해는 브레인데드와 재미있는 컬렉션을 내놨었다(링크). 그런데 이번에는 구찌와의 콜라보 소식이 나왔다. 아직 별 건 없고 구찌 인스타그램(링크)을 통해 산, 텐트 나오는 영상을 하나씩 올리고만 있다. 야외 나오는 구찌 영상에 가끔 들리는 나팔 소리 같은 거 약간 좋아한다. 노스페이스 만큼 흥미진진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브랜드가 있나 요새 생각하는 데 구찌라니, 일단 지금 가고 있는 길에서 피크를 하나 찍는 거 같다. 사실 하이크, 마르지엘라, 브레인데드 등이 다들 노스페이스와 함께 하는 전혀 다른 세상을 보여줬기 때문에 과연 구찌는 이런 상황에서 뭘 어떻게 내놓을 지 기대가 된다. 그런가 하면 헨더 스킴(Hender Scheme)과의 협업.. 2020. 9. 25.
애매한 계절, 애매한 옷 저번 일요일의 경우 낮에는 반소매 티셔츠만 입고 돌아다녀도 더웠지만 밤에는 바람막이 점퍼를 입고 있었는데도 쌀쌀했다. 더위, 추위를 많이 타는 탓도 있겠지만 일교차가 10도 이상씩 계속 찍히고 있으니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예컨대 고립된 산 속에 있다면 이 정도 일교차엔 생존을 걱정해야 할 수도 있다. 물론 도심의 생활이란 이와 약간 다르긴 하다. 아침에 출근해서 회사 안에만 있다가 밤에 귀가를 한다면 이 계절은 계속 쌀쌀할 테고, 아침에 바깥에 나와 야외 활동을 하다가 해 지고 나면 귀가한다면 지금은 햇빛이 따가운 계절이다. 이런 시즌엔 옷을 선택하기가 무척 어려운데 뭘 골라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밤에 온도가 꽤 떨어지기 때문에 생각보다 든든한 옷을 가지고 나가야 하는데 '든든'이라는 말.. 2020.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