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722

Selfridges의 필름 프로젝트 런던의 Selfridges에서 패션 하우스 7팀을 초대해 단편 영화를 만드는 필름 프로젝트를 했다. 이 프로젝트의 아트 디렉터는 Simon Costin으로 아트 디렉터이자 세트 디자이너로 유명하다. 특히 Alexander McQueen이나 Givenchy, Gareth Pugh, Hermes, Lanvin 등등의 패션쇼 캣워크 디자인으로 패션 쪽과도 끈끈한 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참여한 디자이너 하우스들은 A.F. Vandevorst, Alexander McQueen, Ann Demeulemeester, Comme des Garçons, Dries Van Noten, Gareth Pugh 그리고 Rick Owens. 셀프리지 백화점의 새로운 여성복 디자이너 갤러리 오픈을 위해 마련되었고, 셀프리지 호텔의.. 2012. 3. 28.
Belstaff 2012 FW, 그리고 주변 이야기들 벨스타프는 모터 사이클 자켓 전문으로 시작했고, 최초로 방수 왁스 카튼으로 옷을 만든 회사이기도 하다. 범위를 넓혀가며 토털 브랜드화 되었다. 선글라스 종류가 우리나라에서도 좀 팔리고 있고, 체 게바라 자켓 같은 것도 유명하다. 아래는 예전에 쓴 벨스타프 이야기. http://macrostar.egloos.com/4137008 이 회사가 작년에 Labelux + Tommy Hilfiger + Harry Slatkin 컨소시엄에 팔렸다. 그러고나서 버버리의 부사장이자 아우터웨어 부분 디렉터였던 마틴 쿠퍼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데려왔다. 흘러나오는 이미지들을 보면 예전에는 약간 내일은 없다 풍이었는데, 거기서 럭셔리 leisure 웨어로 큰 방향 전환을 하고 있다. 물론 모토사이클 웨어를 완전 포기한 건 .. 2012. 3. 21.
패션 디자이너 Thom Browne 뭔가 잘 만드는 것 같기도 하고, 그러면서 어딘가 사기꾼 같기도 하고 그런 사람들이 있다. 톰 브라운을 보고 있으면 자꾸 그런 생각이 든다. 확실히 매우 기민하고, 센스가 있다. 움직일 때마다 요란한 게 나쁜 건 아니다. 그런 것들도 어느 부분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대다. 그렇지만... 아무튼 톰 브라운 약식 추적. Thom Browne 2012 FW 톰 브라운은 펜실베니아 주 Allentown 출신이다. 1965년 생. 알렌타운에 둘 있는 공립 고교 중에 하나인 William Allen 고등학교를 나와 University of Notre dame에 들어간다. 이름이 노틀담인데 파리에 있는 게 아니라, 인디아나 주에 있는 동네 이름이다. 여기서 그는 경제학을 전공한다. 배우가 될까하고 LA를 기웃거리면서 .. 2012. 3. 20.
2012 FW 파리 컬렉션 요점 정리판 원래 이름은 Mode a Paris인데(뉴욕과 런던은 패션 위크) 패션 위크라고 하기도 그렇고 패션쇼라고 하니까 조금 이상하기도 하다. 이미 3월 초에 끝났는데 간단히 그냥 지나치기 아쉬운 것들만 몇 개 모아서 정리판으로. 사진은 다 데이즈드 디지털. 1. 뷔통 증기 기관차가 부웅하고 나타난 다이나믹 버라이어티 쇼. 화려한 피코트/오페라 코트 + 무릎 바로 아래서 끊기는 A 라인 스커트에 크롭 스키니 바지는 뷔통 뿐만 아니라 샤넬이나 프라다에서도 많이 볼 수 있었다. 만약 서울역 플랫폼에서 저런 뷰를 가진 사람이 어슬렁거리면 말 붙여보기도 어려울 여튼 호화 스탠스. 나머지는 여기서(링크). 이게 그 기차. 2. 알렉산더 맥퀸 사라 버튼은 알렉산더 맥퀸을 점점 더 북구의 동화책으로 몰아가고 있다. 저번에 .. 2012. 3. 19.
What's Contemporary - Elle Muliarchyk 제목이 둘로 나뉘어있는데 사실 할 이야기는 'Behind the Curtain'이다. 우선 What's Contemporary는 디지털 상에서 진행되는 아트 프로젝트로 패션에 대한 이야기를 -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 하고 있다. 아티스트를 비롯해 에디터, 포토그래퍼, 디자이너, 스타일리스트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고 있다. 패션은 아트인가?라는 물음으로부터 시작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http://www.whatscontemporary.com/archive.html 여기에서 지금까지 진행된 것들을 볼 수 있다. Katie Grand, Rad Hourani 등등이 있다. 그리고 Elle Muliarchyk는 벨라루스 출신으로 베트남, 체코에서 자랐다. 아버지는 외교관, 어머니는 언론인이자 언어학자... 2012. 3. 16.
CHANEL의 리틀 블랙 자켓 문득 요즘 샤넬 쪽에서 가방이나 옷, 액세서리 제작 모습을 담은 사진이나 동영상이 이전에 비해 좀 많이 흘러나오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동영상은 짧고 압축적인 홍보풍. 칼 라거펠트가 2012년 8월 15일 예정으로 The Little Black Jacket : Chanel's Classic Revisited라는 책을 내 놓는데 그거에 연동되어 있는 걸 수도 있다. 2012. 3. 16.
딱히 별 거 안하고 있는 패션 디자이너들 일람 문득 생각난 김에 놀고 있거나, 다른 거 하거나, 더 큰 바닥에 나가도 될 거 같은데 자기 브랜드 정도에서 머물고 있는, 개인적인 생각에 약간 아까운 사람들 이야기나 한 번 써보기로. 언제나 말하지만 남 걱정 할 때가 아니긴 한데 -_- 1. Raf Simons, 1968 질 샌더 AG에 질 샌더가 돌아오면서 Raf가 물러났다. 일단은 Raf Simons 자기 브랜드에 전념할 것으로 보인다. Dior로 간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역시 아닌 걸로 밝혀졌다. EastPak이나 프레디 페리 같은 브랜드와의 콜래보레이션도 나름 성공적이었는데 이상하게 거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진 못하고 있다. 질 샌더 AG에서 나오게 된 과정이 매우 미묘했기 때문에 프로필에 사실 흠집이 좀 생겼다. 다른 회사들에서도 질 샌더 AG와.. 2012. 3. 15.
Luxury 마켓 머리가 안 돌아갈 때는 이런 걸 보는게 나름 효과가 있다. 럭셔리라는 말은 와닿는 느낌이 좀 이상하기는 하지만 어쨋든 주로 통용되는 용어니 그걸로 간다. 라프 시몬스가 질 샌더에서 나온 사건은 꽤 의미심장하다는 생각이라, 이와 연관되어 럭셔리 기업의 가방과 구두의 마진율에 대해 좀 더 알아보려는 와중에(이건 예상했던 바, 정확한 숫자는 알기 어렵다) 나온 자료들을 좀 모아봤다. 고급 옷은 품도 많이 들고, 마진율도 그렇게 높지 않고, 손은 많이 가기 때문에 - 그렇지만 패션 디자이너의 본업이다 - 예전에는 화장품/향수 분야로의 진출과 그것의 히트로 옷 만드는 여력을 확보하는 곳들이 많았다. JPG가 대표적이다. 요즘에는 사이즈가 더 커져서 가방, 구두가 팔려야 한다. 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 시계, 쥬얼리.. 2012. 3. 8.
Celine 2012 FW, 그리고 피비 필로 피비 필로에 대한 이야기를 쓰려고 며칠을 고심하고 있는데 말이 잘 안나온다. 고심의 이유를 생각해보고 있는데 잘 모르겠다. '일부 페미니스트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이라는 말이 매우 복잡하게 다가온다. 주변의 여자분 들이라도 붙잡고 이야기를 좀 해봐야 할 듯. 어쨋든 지금 이 시점에서 꼭 봐야 될 패션쇼가 있다면 아마도 CÉLINE(셀린느)다. 왜냐 하면 거기에 Pheobe Philo(피비 필로)가 있기 때문이다. 피비 필로의 세계는 남들 보라는 세계라기보다 자기 완성적이고 자기 애호적인 세계다. 이 부분이 그를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지점이다. 사진은 뉴욕 타임즈. 2012.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