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722 스타일닷컴의 랄프 로렌 인터뷰 뉴욕 패션위크, 그리고 폴로 랄프 로렌 포 우먼 런칭 시점에서 스타일닷컴(의 더크 스탠든, 아래 DS)이 랄프 로렌(RL)과 인터뷰를 했다. 원문은 여기(링크)에서 볼 수 있다. 아래 부분이 약간 흥미롭다. DS: Have you followed at all what Hedi Slimane is doing at Saint Laurent? RL: Sure. Have I seen it? Yes. DS: I’m asking because for a long time I think women’s luxury fashion was about putting these very high-concept collections on the runway. Maybe you got a lot of press, but you .. 2014. 9. 9. VALENTINO 남성복 2015 SS는 꽤 재미있다 어렸을 적부터 천재 소리를 듣거나 연예인급 셀러브리티 취급을 받던 디자이너들이 하우스에 안착들 했지만 그 와중에 그 정도까진 아닌 디자이너들이 디렉터 자리를 맡고 있는 하우스들도 있다. 원하는 이를 데려올 능력이 없어서 일 수도 있고, 비록 스타성은 없지만 브랜드가 원하는 걸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고, 경영적인 능력이 필요해서일 수도 있고 뭐 이유야 여러가지가 있을테다. 원래 유명하던 디자이너들은 자신 특유의 스타일도 이미 비슷한 명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하우스에 들어가서 이전과 다른 꽤 엉뚱한 걸 해도 보는 사람으로서도 이해의 폭이 넓다. 예컨대 이미 유명한 디오르에 이미 유명한 라프 시몬스가 들어간다면 이 둘이 어떻게 충돌하는지를 지켜보는 새로운 재미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예를 들어 (뭔가 베끼고 .. 2014. 6. 26. LVMH 영 디자이너 어워드 2014 요즘 대형 패션 회사들이 신인 확보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LVMH의 영 디자이너 어워드다. LVMH의 회장 아르노의 딸인 델핀 아르노가 추진한 일이기도 하다. 어쨌든 11명으로 후보군을 추스렸다가 어제 수상자 발표가 있었다. 수상자는 Thomas Tait. 그의 가장 최근 컬렉션인 2014 FW는 여기(링크)를 참조. 심사위원단과 수상자 토마스 테이트. 옆이 델핀 아르노. 사진은 LVMH프라이즈 공식 홈페이지(링크). 디자이너 토마스 테이트는 캐나다 몬트리올 출신으로 몬트리올에 있는 LaSalle 칼리지에서 여성복을 전공했다. 이후 세인트 마틴에서 여성복으로 MA. 2011년에 자신의 이름으로 레이블을 런칭했다. 우승자는 30만 유로를 상금으로 받고 LVMH의 멘토십이 있을.. 2014. 5. 29. '젠타이' 단상 젠타이(Zentai)가 토쿄의 최신 트렌드! 라는 기사를 본 이후 좀 찾아봤는데 드는 여러가지 생각들. 위 사진은 워싱턴 포스트 기사(링크)에 실린 젠타이 클럽 회원들의 모습. 사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젠타이는 모프수트, 바디수트 등으로 부르는 그러니까 전신 타이츠, 쫄쫄이다. 이런 옷이야 여전히 많이 볼 수 있다. 젠타이의 다른 점이 있다면 얼굴까지 가린다. 1. WP 기사를 보면 젠타이를 하게 된 이유들이 나온다. 우선 슈퍼 히어로에 대한 동경, 이건 발상 자체가 이해하기 쉽다. 코스프레를 하다가 응용 단계에 접어들었다. 그리고 섹슈얼한 이유. 이쪽은 페티시즘 계열을 따라가다가 이윽고 여기에 도달한 건데 스판덱스 페티시즘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팬도 많다. 마지막은 리버레이션. 이런 옷을 입으.. 2014. 5. 20. Jil Sander의 새로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Rodolfo Paglialunga 질 샌더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바뀌었다. Rodolfo Paglialunga라는 디자이너로 이태리 출신이다. 로메오 질리와 프라다에서 일했고(특히 프라다에서 패션 어시스턴트로 13년을 있었다고 한다) Vionnet에 들어가 리바이브를 이끌었다. 비오넷 이야기가 좀 재밌는데 : 비오넷은 프랑스의 꾸뛰르어 마들린 비오넷이1912년에 런칭해 1939년에 문을 닫은 브랜드다. 그렇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브랜드가 다시 꿈틀거리기 시작한 건 1988년. 루멘 패밀리가 라벨을 사들였다. 루멘, 특히 아르노 드 루멘은 예전 브랜드를 사다가 어떻게 다시 꾸미는 일을 주로 하고 있는 사업가다. 이 사람 이야기는 꽤 기니까 나중에 하고 여튼 처음 라벨을 획득한 이후 패션 컬렉션은 없이 액세서리와 향수라는 보다 안전한 .. 2014. 4. 30. 따뜻할 거 같은 꼼 데 가르송 2014 FW 2014 FW 꼼 데 가르송에는 스웨터, 니트, 패딩 등을 돌돌 말아 잔뜩 레이어드 한 재밌는(혹은 이상한, 정확히는 괴상한) 옷들이 잔뜩 나왔다. 예를 들자면 이런 옷이다. 사진은 스타일 닷컴. 꼼 데 가르송 2014 FW 풀 컬렉션은 여기(링크). 자세히 보면 꽤 따뜻해 보인다. 디테일 샷은 패션스냅(링크). 전체적인 쉐이프가 줄기 하나에 잎이 잔뜩 붙은 나무(그러니까 츄파춥스)같이 되었는데(복잡한 상의에 비해 바지는 다 그냥 레깅스 같은 걸로 떼웠다) 저렇게 복잡한 결을 만들고 싶다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저것이 소위 '웨어러블'한가, '트렌디'한가는 또 다른 문제겠지만. 저런 걸 입고 뒹굴뒹굴 구르면 나름 재미있지 않을까? 2014. 4. 14. Dame 비비안 웨스트우드 비비안 웨스트우드는 1941년 4월 8일 생이다. 생일을 축하하는 트윗들이 많이 올라오길래 겸사겸사. 참고로 비비안 여사는 더비셔 주의 틴트위슬(Tintwistle)이라는 곳 출신이다. 지도로 보면 영국 가운데 쯤. 1958년에 런던으로 갔다. 그 기나긴 복잡한 인생을 여기에서 이야기할 수는 없고 최근 경향에 대해서. 최근 들어, 그러니까 2000년 초반부터 비비안 여사의 언론 노출이 예전보다 훨씬 많아진 느낌이다. 그 이유라면 역시 본격적인 정치적 행보 때문이다. 1989년에 태틀러 커버 같은 일도 있었고(대처가 주문한 옷을 입고 대처 코스프레를 하며 태틀러지 표지를 찍었다) 이 분이 그냥 조용히 있는 분이 아니라는 건 물론 다들 알고 있었다. this woman was once a punk. 1989.. 2014. 4. 9. 콩고 공화국의 패션 La Sape 어제 내 백과사전 블로그에서 콩고의 댄디즘에 대한 포스팅(링크)을 보고 좀 찾아보게 되었다. 위 포스팅에도 나오는 다큐멘터리의 링크는 여기(링크). 30분 정도 되는데 꽤 재미있다. 프랑스어를 쓰는데 영어 자막이 달려있다. 일단 콩고부터 헷갈리기 시작할텐데 콩고라는 이름이 들어간 나라는 두 개다. 하나는 콩고 공화국으로 프랑스 식민지였다. 1960년에 독립했고 1970년부터 1991년까지는 콩고 인민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공산주의 국가였다. 또 하나는 콩고 민주 공화국이다. 한때는 이름이 자이르였고 킨샤사 콩고, DR 콩고 들으로 부른다. 벨기에의 식민지였고 1960년에 독립했다. 독립하자마자 내란이 일어났다. 세상에서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곳이고 아마존 다음으로 큰 밀림도 있다. DR 콩고가 콩고 공.. 2014. 3. 28. 루이 비통과 니콜라스 게스키에르 이번 시즌 가장 기대를 모은 패션쇼가 있다면 단연 루이 비통과 니콜라스 게스키에르일 거다. 명성으로나 과거의 경력으로나 시선을 끌지 않을 수가 없다. 여하튼 결국 장이 열렸고 '새로운' 루이 비통이 나왔다. 총 48세트의 룩을 선보였는데 꽤 많은 곳에 사용된 가죽과 은근히 복잡하게 얽힌 레이어들, 그리고 컬러들을 보며 공이 많이 들어갔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는 있다. 위 사진은 스타일 닷컴 캡쳐. 하지만 니콜라스 게스키에르는 마크 제이콥스처럼 보다 직관적인 주제와 일관성을 가지고 밀어붙이는 스타일이 아니기 때문에 요즘의 분위기로는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건지 한 눈에 들어오진 않는다. 원래 진지한 옷을 선보이는 디자이너지만 농담이 없고 무겁다. 결론적으로 지루하다. 이 지루함은 물론 최근의 현란.. 2014. 3. 7.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