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의 즐거움341 드리프터의 랩톱 캐리어 이야기 오래간 만에 제품 리뷰. 며칠 전에 2022년 정리(링크) 이야기를 올리면서 이 제품 이야기를 잠깐 한 적이 있다. 2022년의 가을과 겨울은 뭔가 많이 팔아버리고 또 뭔가 많이 사들였다. 일단 위기를 넘겨본다고 가지고 있는 아이템을 모두 탕진하면서 버티고 있는 기분이 들기는 하는데 아무튼 지금 이렇게 잡담 같은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 된 거 같기도 하고, 이래가지고는 이미 글러버린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노트북만 가볍게 들고 다니고 싶다, 백팩을 매도 노트북을 브리프케이스 형태로 손에 쥐고 싶다 등 여러가지를 고려해 보다가 얇은 노트북 브리프케이스를 찾기 시작했는데 포터는 너무 비싸고 인케이스는 너무 재미없고 등등을 생각하다가 드리프터를 보게 되었다. 그냥 이렇게 생긴 거임. 아우터가 그린.. 2022. 12. 26. 두 벌의 눕시 두 벌의 눕시가 있었다. 서로 다른 운명을 살았다. 재미있는 점을 생각해 보자면 이 둘은 눕시의 본래 역할, 패킹에 아웃도어의 삶은 거의 살지 않았다는 거고 또 하나는 그렇다고 어반 라이프스타일 속에 묻히지도 않았다는 거다. 그러기에는 칙칙한 분위기가 너무 나긴 하지. 일단 오른쪽의 샤이닝 블랙은 아주 예쁘지만 떠나 보냈다. 더 적합한 곳에서 더 적합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왼쪽의 터키색 눕시, 오래된 국내 발매판은 덕지덕지 붙어 있는 리페어 스티커에 지워지지 않는 얼룩이 있지만 다행히 따뜻함은 여전히 손색이 없다. 물론 오래된 만큼 입고 나면 여기저기 털이 날리기는 한다. 저 옷은 패킹 영상을 올린 적이 있는 데(링크) 보여주는 것에 비해 은근히 조회수가 나와서 대체 왜? 이런 의문을 가지고.. 2022. 12. 23. 칼하트 초어 재킷 vs 엘엘빈 필드 코트 어제 똑같지만 다른 옷(링크) 이야기를 쓴 김에 오늘은 약간의 심화 과정으로 칼하트의 초어 재킷과 엘엘빈의 필드 코트를 비교하는 이야기. 사실 이 두 옷은 오래된 미국의 작업복이기는 한데 점유 영역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딱히 비교 대상으로 자주 언급되는 건 아니다. 칼하트는 도시화의 옷이고 엘엘빈은 산과 호수의 옷이다. 그렇지만 현 시점에서 보자면 필드 위의 작업복으로 소모되는 건 마찬가지고 상당히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왼쪽이 칼하트, 오른쪽이 엘엘빈. 참고로 칼하트는 Hamilton Carhartt가 만든 회사라 칼하트고(1889년) 엘엘빈은 Leon Leonwood Bean이 만든 회사라 엘엘빈(L.L Bean, 1912년)이다. 현재 칼하트 초어 재킷의 정식 이름은 펌 덕 블랭킷 라인.. 2022. 12. 15. 똑같지만 다른 옷 아래 옷들은 스타일링 면에서 크게 다를 게 없다. 아주 춥진 않은 여름이 아닌 날, 브라운 코튼 계통의 아우터를 입을까 싶을 때 고르게 되는 옷들이다. 코튼 기반의 쉘에 코듀로이 카라가 붙어 있다. 물론 그냥 눈으로 봤을 때도 색깔이나 길이 등 부분 부분 차이가 있기는 하다. 카라의 색이나 카라 끝이 둥근지 뾰족한지 등등이 다르다. 물론 위 옷들도 모두 다른 색이 나온다. 말 그대로 어쩌다 보니 같은 계열을 가지고 있게 되었다. 내가 옷 고르는 게 다 그렇지 뭐. 차례대로 보면 엘엘빈은 안감이 울 혼방이고 탈착이 가능하다. 팔 부분까지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일할 때도 입을 만 하다. 쉘은 코튼 캔버스다. 코듀로이 카라의 둥근 마무리가 나름 귀엽고 짙은 초록색이다. 포인터 브랜드는 데님이다. 밝은 브라운 .. 2022. 12. 14. 울 스웨터, 따가움, 라놀린, 피터 스톰 겨울에는 역시 울 스웨터가 좋긴 하다. 울 스웨터에 울 코트 조합 훌륭하지... 하지만 특히 울 스웨터는 거의 입지 않고 있는데 우선 울 스웨터는 다운 파카를 입고 있을 때 온도 조절이 너무 안된다. 추위에 떨다가 지하철이나 사람 많은 실내에 들어가면 지나치게 더워진다. 바람 구멍이 있는 아웃도어형 다운 파카를 입는다면 도움이 약간 되긴 하겠지만 드라마틱하진 않다. 그런 이유로 대체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예전에 스웨터 대신 플리스를 입자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링크). 크게는 울 스웨터에서 포근함과 안락함을 느끼는 우리의 패션 미감을 바꿔야 한다는 내용이었는데 사실 최근의 대체재는 플리스도 아니고 챔피언 리버스위브 스웨트와 후드다. 버겁지 않게 입고 너무 추우면 뛰자... 가 약간 생활의 모토다. 그런 .. 2022. 12. 7. 넥타이 - 정장 연합체 혐오론 이야기의 출발점은 넥타이다. 넥타이는 남성복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남성복의 기본은 정장 차림이고 여기서 빠질 수 없는 액세서리다. 얼마나 중요하냐면 다른 모든 옷이 결국은 넥타이를 감안해 설계되어 있다. 슈트의 상의인 재킷은 왜 V자 형태를 하고 있을까. 정장에 입는 코트는 왜 또 V자 형태를 하고 있을까. 넥타이 자리를 만들고 보여주기 위해서다. 라펠은 어떨까. V자를 만들다 보니 접혀져야 하고 그걸 좀 점잖게 자리를 잡아주다 보니 지금의 모양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셔츠는 왜 저렇게 생겼고 단추는 목 끝까지 올라올까. 넥타이를 메기 위해서다. 이렇게 구성된 몸 상부의 모습에 맞춰 하부도 구성되어 있다. 몸을 두르는 일차적 목적과 소위 격식을 차리려는 이차적 목적 모두를 만족시키면서 시간이 흐르다.. 2022. 12. 6. 포터 가방의 경년 변화 포터 가방 홈페이지를 보면 금속 패스너 부분이 쉽게 도장이 벗겨지도록 만들어 놨다고 되어 있다. 경년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다. 사실 탱커 시리즈를 비롯해 많은 시리즈가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성 소재로 되어 있는데 이런 소재는 색이 흐리멍텅해지며 꽤 지루하게 나이를 먹는다. 면 데님이나 캔버스 같은 박력은 없음. 이런 걸 나름 재미있어 할 수도 있긴 하지만 변화가 잘 느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런 방면으로 인기를 끌만한 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포터는 쇠장식류에다가 의도된 탈색 유도를 넣어놔서 조화를 시켜놨다. 가능한 쉽게 만날 수 있는 와비 사비. 과정의 지리함은 역시 쉽지 않기 때문에 청바지 같은 경우에도 요즘엔 아주 빠른 시간 안에 한꺼풀 벗겨지면서 나름 괜찮은 모습이 나오도록 되어 있는 경우.. 2022. 11. 24. 연이 닿지 않는 칼하트 얼마 전에 잔뜩 가지고 있는 필슨의 옷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링크). 이렇게 연이 잘 닿은 옷이 있는가 하면 좀처럼 연이 닿지 않는 옷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대표적인 게 칼하트다. 칼하트 옷은 거의 가지고 있는 게 없다. 어쩌다 눈에 띄어 급작스럽게 사들였던 것도 사이즈나 용도 등의 문제로 방치되어 있는 것도 있고 팔아버리기도 했다. 어지간하면 옷은 꼭 쥐고 있고 싶은데 잘 되지 않는다. 아무튼 왜 연이 잘 닿지 않는가를 생각해 보면 가격의 문제가 크다. 국내 중고 시장에서 요 몇 년 간 필슨은 과소평가되는 경향이 있었고 칼하트는 과대 평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필슨의 울 매키노 크루저와 칼하트의 디트로이트가 비슷한 가격, 혹은 크게 차이나지 않는 가격에 거래가 되고 있으면 그냥 필슨을 향해 버리.. 2022. 11. 23. 필슨 매키노 크루저의 비밀 여기서도 몇 번 말한 적 있지만 필슨의 매키노 크루저 자켓을 좋아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런 옷을 4벌이나 가지고 있는 게 맞는 건지는 모르겠다. 26온즈 시대와 24온즈 시대, 윕코드 시절, 플래드와 솔리드, 안에다 뭘 입기 위한 사이즈와 겉에다 뭘 입기 위한 사이즈 어쩌구 하다보니 이렇게 되었다. 물론 모두 중고로 구입해서 4벌 가격을 다 합쳐도 현행 모델 정가도 되지 않기는 한다. 그래도 분명 무리한 지출들이었고 구입을 할 때마다 힘든 시절을 맞이해야 했다. 그렇다고 뭘 처분하자 하면 마땅히 그럴 만한 것도 없다. 초봄과 늦가을로 착용 시기가 무척이나 한정되어 있는데도 모두 꼭 붙잡고 있다. 이런 와중인데도 만약 괜찮은 가격에 상태 좋은 올리브 + 블랙 플래드 M~XL이 나타난다면 어떨지 자신이 없다.. 2022. 11. 20. 이전 1 ··· 5 6 7 8 9 10 11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