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51

오디너리 핏츠와 빅맥의 콜라보 오디너리 핏츠 인스타를 팔로우하고 있어서 빅맥(워크웨어 브랜드 Big Mac)과 콜라보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잊고 있다가 어제 코트 구경을 하다(야드 코트 멋지다) 생각나서 찾아봤다. 초기형 데님 트러커 응용 버전과 카펜터 팬츠 응용 버전. 오버사이즈 룩. 빅맥 같은 오래된 워크웨어 브랜드와 데님 라인 콜라보를 하면 과연 뭘 할까 싶은 생각이 드는데 딱 오디너리 핏츠가 할 것 같은 결과를 내놨다. 지금 시점과도 잘 맞는다. 역시 훌륭한 브랜드군. 이건 오버올즈. 이런 류의 워크웨어에 흔히 붙어 있는 도끼 루프, 가슴팍의 툴 포켓 같은 군더더기를 다 생략해 버렸다. 사실 그래놓고 났더니 이런 미니멀한 분위기는 무인양품 같은 브랜드와 분위기가 비슷해져 버린다. 근데 신치 백들은 남겨 놓은 게 .. 2019. 10. 30.
다운 데님, 데님 다운 자켓 데님은 워낙 대중적인 소재라 옷도 만들고 가방도 만들고 신발도 만들고 아무거나 만든다. 다운도 코트, 자켓, 셔츠, 바지 아무대나 붙인다. 이 둘도 함께 붙는데 방식은 두 가지가 있다. 우선 푸퍼 데님 트러커. 일단 생긴 게 푸퍼니까 푸퍼 다운 데님 재킷. 80, 20에 700필. 이건 푸퍼가 안에 숨겨져 있으니까 데님 트러커 퀼티드 라이닝... 패디드... 이름이 뭐든. 역시 80, 20인데 라벨이 자세히 나와 있지 않아서 정확한 스펙은 모르겠다. 위 제품과 비슷할 듯. 둘 다 리바이스인데 데님 + 다운이라는 중대사를 앞에 두고 이걸 어쩔까... 하는 방황이랄까 그런 게 느껴진다. 데님은 다 좋은데 특히 한국의 겨울이라면 그냥 보기에도 추워보인다. 알리익스프레X 잠깐 보니까 이런 것도 있군. 그렇지만 .. 2019. 10. 29.
칼하트와 필슨, 작업복의 이미지 어제 밤에 잠자려고 누워 유튜브를 뒤적거리다가 필슨의 광고 캠페인, 칼하트의 광고 캠페인 그리고 각종 제품 리뷰 등등을 주르륵 봤다. 유튜브의 작업복, 아웃도어복, 기능성 의류 리뷰 꽤 재미있다. 패션 계열 리뷰와 집중의 포인트가 전혀 다르다. 아무튼 칼하트와 필슨은 둘 다 오래된 작업복 브랜드다. 그렇지만 당연하게도 역사와 이미지, 가는 길은 미묘하게 다르다. 칼하트는 공장 노동자, 육체 노동자의 옷이다. 조상들도 입었고, 나도 입고, 자녀들도 입을 거다. 공사장이라면 칼하트다. 기본적으로 자기 몸뚱아리 믿고 가는 길이고 자신에게 기대는 일이지만 함께 하는 일이 많다. 모두 함께 으쌰 으쌰. 이에 비해 필슨은 목장, 사냥, 낚시의 옷이다. 광활한 미국의 자연. 가족이 있고 농장이 있지만 결국 인간은 혼.. 2019. 10. 23.
과거의 계승, 코치 재킷 거의 모든 패션은 과거로부터 아이디어를 얻는다. 물론 그게 다는 아니다. 누군가 새로운 걸 만들기도 한다. 그렇지만 미래주의 같은 건 이제 내놓을 게 많이 없어보이긴 한다. 미래가 그렇게 희망적으로 보이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예전에는 미래를 이야기하면 파코 라반, 피에르 가르댕의 번쩍거리는 기하학적 옷들이었지만 이제는 카니예 웨스트나 하이크 노스페이스 같은 데서 보이는 도피자들의 모습이다. 환경 오염과 지구 온난화로 고향은 머물 수 없는 곳이 되어 버리고 사막을 떠돌아 다니며 자외선을 피해 낮에는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나오는 사람들. 뭐 쓸데 없는 이야기를 잠깐 했고 스트리트 패션의 경우 과거의 옷이란 스포츠 중계와 MV 같은 미디어의 그것이라는 게 예전과는 다르다. 물론 실물을 보고 쓰고 해보는 건 .. 2019. 10. 18.
퀼티드 재킷 이야기 퀼트, 즉 누빔이라는 건 아주 오래된 보온 방식이다. 누구나 추워지면 옷감 사이에 뭔가 넣어 보자는 생각을 하게 되고 고대 이집트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그렇지만 여기서 말하는 퀼티드 재킷이라는 건 얇은 나일론 다이아몬드 패턴에 합성 소재 보온재를 넣고 가장자리와 칼라가 코듀로이 같은 걸로 되어 있는 옷을 말한다. 이것은 라벤햄의 덴햄 재킷. 딱 이렇게 생겨서 장르가 독립된 건 그다지 역사가 오래 된 건 아니다. 아우터로서 이 옷의 애매한 용도 만큼이나 이 옷의 역사도 꽤 애매하다. 퀼티드 재킷은 허스키 재킷이라고도 부르는 데 이런 옷을 처음 내놓은 게 허스키라는 브랜드였기 때문이다. 미 공군에 비행사로 복무하다가 1960년에 눈에 이상이 생겨서 전역을 하게 된 스티브 구이라스라는 분은 이제 먹.. 2019. 10. 17.
토트백 놓고 떠들기 드넓은 여성 가방의 세계에 비해 남성 가방의 세계는 여전히 꽤나 좁은 편이다. 그래도 시간이 흘러갈 수록 상당히 빠른 속도로 넓어지고 있는데 아주 캐주얼한 아웃도어 백팩과 아주 포멀한 가죽 브리프케이스 사이에 많은 카테고리의 가방들이 저마다 자리를 잡고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토트백이다. 토트백이란 커다란 본체가 있고 손잡이 끈이 두 개 정도 달려 있어서 손으로 들거나 어깨에 맬 수 있는 가방이다. 어떤 제품은 손잡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서 절대 어깨에 걸 수는 없지만 대신 따로 크로스 스트랩을 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손잡이 끈은 손잡이 끈대로 적당히 길어 어깨에 넣을 수 있고 스트랩도 달 수 있는 것도 있다. 이렇게 보면 상당히 다양해 보이고 경계선이 불분명해지지만 길.. 2019. 10. 13.
포터의 헤드 포터가 사라진다, 그리고 Ramidus 포터의 브랜드 중 하나인 헤드 포터가 사라진다. 사실 헤드 포터는 좀 애매한 포지션을 가지고 있긴 했다. 브랜드 스토리를 잠깐 검토해 보자면 우선 요시다 가방이 있다. 1935년에 런칭한 오래된 브랜드다. 이게 좀 늙어보이고 사무용이라는 느낌이 있기 때문에 1998년에 조금 더 젊은이들에게 어필하고자 만든 브랜드가 헤드 포터다. 그리고 이 브랜드에서 옷을 내놓는 게 헤드 포터 플러스다. 그런데 헤드 포터 플러스에서도 지갑이니 뭐니 이런 게 나왔었다. 이 두 브랜드는 후지와라 히로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지분도 가지고 있는 듯). 포터 라벨 붙어 있는 것도 똑같고 라인도 거의 비슷한데 무늬가 좀 있는 게 많거나 할 뿐이다. 겉으로 보면 이게 포터에서 나온 건지 헤드 포터에서 나온 건지 알 수 없어도 안에 .. 2019. 10. 11.
패셔너블함의 정도 제목의 정도는 바른 도리, 정벌하러 가는 길 이런 게 아니라 분량을 말하다. 패션은 기본적으로 폼을 잡는 거라 생각한다. 이 말은 멋나게 보이는 것, 예쁘게 보이는 것 등등으로 대체할 수 있는데 거의 다 비슷한 의미다. 이 폼을 잡는 것이라는 말은 하지만 정의가 불가능하다. 사람마다 뭐가 폼이 나게 보이는 지가 다르기 때문이다. 남들과 다른 모습에서 폼이 난다고 느낄 수도 있고, 남들과 다른 모습에서 폼을 내는 조악함을 같잖게 생각하며 또한 아예 남과 비슷하게 군중에 파묻히는 걸 폼이 난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렇게 돌리고 돌리고 하며 계속 나아갈 수 있다. 완성도의 세계도 아니고 유니크함의 세계도 아니다. 판단의 몫은 그 사람의 주변에 주어지게 되는데 우선 주변이 전체를 반영할 수 없다. 레벨의 문제와.. 2019. 9. 29.
노스페이스의 퓨처라이트 제품들이 나온다 요새는 노스페이스가 제일 재밌어서 다른 패션쇼는 뭘 봐도 시원찮고 시큰둥하고 그런 거 같다. 팀 해밀턴 화이팅... 노스페이스에서 내놓을 예정이라는 신소재 퓨처라이트(futurelight) 이야기를 올해 초에 했었는데(링크) 시간이 흘러흘러 어느덧 10월 1일 제품 출시를 앞두고 있다. 그러고보니 문 파카(링크)도 얼마 전에 출시된다는 소식이 있었는데 떡밥 배포 - 떡밥 회수의 수순을 충실히 밟고 있다. 일단 말을 꺼내놓고 사방팔방 알려야 열심히 일을 하는 법. 물론 옷의 생긴 모습도 중요하겠지만 이런 신소재에서 더 중요한 건 그게 아니다. 바로 기능이다. 아웃도어 옷 중 쉘이란 기본적으로 휴대용 옷이다. 그리고 문제가 생겼을 때 - 비, 눈, 짙은 습기 - 꺼내 입는다. 이런 건 다운 파카도 마찬가지다.. 2019.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