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722 가터(Garter) 링 가터(Garter)라는 건 간단히 말하자면 흘러내리는 걸 방지하기 위한 고정 툴을 말한다. 그러니까 예전에 밴드 부분이 발달하지 못했던 시절 양말, 스타킹 같은 걸 신으려면 당연히 흘러내렸다. 그러므로 그걸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 뭔가 고정을 해야 했는데 바로 그런 역할을 담당한다. 위 일러스트는 가터 착용법을 알려주는 위키하우(링크). 인간의 신체는 골반 부분이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거기에 뭘 매달아 놓으면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스타킹을 고정시킬 가터를 착용하고 거기에 클립 등을 연결해 고정 시킬 수 있다. 기본적으로 흘러내리는 걸 방지하는 건 다 가터라는 거다. 예컨대 바지가 흘러내리는 걸 방지하는 멜빵도 가터 중에 하나다. 멜빵은 어깨를 고정축으로 이용한다. 그럼 Garter가 뭐냐... 하는 의.. 2015. 9. 21. 시스루 뒤의 블랙 언더웨어 뉴욕 패션위크가 이제 끝이 났고 런던 패션위크가 시작되었다. 한창 진행되는 패션위크를 보고 있으면 일정하게 흐르는 트렌드의 줄기들을 몇 가지 발견할 수 있는데 올해 발견할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아우터화 된 언더웨어 들이다. 며칠 전 지방시의 2016 봄여름 컬렉션 이야기에서도 그런 게 잔뜩 나왔다는 이야기를 했었다(링크). 그리고 마찬가지 줄기 아래에 시스루와 블랙 언더웨어의 매칭도 있다. 위 사진은 차례대로 베라 왕, 지방시, 에크하우스 라타의 2016 봄여름 컬렉션이다. 사진은 모두 W매거진(링크). 긴 아우터에 시스루, 그 안에 블랙 언더웨어라는 일정한 매칭이다. 좀 더 과감한 방식들도 물론 있다. 저런 용도에는 심플하게 생긴 것들이 어울린다. 위에 나온 세 개의 옷 모두 뒤에서는 안 보이는 구조.. 2015. 9. 19. 카니에 웨스트의 Yeezy 시즌 2, 2016 봄여름 컬렉션 뉴욕 패션위크에서 카니에 웨스트의 아디다스 오리지널과의 콜라보 컬렉션, Yeezy의 저번 시즌에 이은 두 번째 컬렉션이 열렸다. 처음에 이걸 보자마자 든 생각은, 저번 컬렉션도 똑같은 진영으로 서 있었기 때문에 마찬가지 였지만, 황량한 미래 사회의 반란 전투복이랄까... 예컨대 매드 맥스 퓨리 로드에서 녹색의 땅을 방어하고 있던 부발리니 전사들이 입고 있던 옷, 세기말 적 SF 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같은 옷과 풍기는 인상이 비슷하다. 여튼 이 컬렉션의 재밌는 점은 저번 시즌을 그대로 반복했다는 거다. 바네사 비크로프트와 콜라보를 했기 때문에 또 위 사진 같은 줄서기가 나왔고, 길거리에서 캐스팅한 모델들이고, 사막톤 컬러톤도 같다. 바네사 비크로프트는 원래 이런 거 하는 분. 이게 뭔가를 노리는 건.. 2015. 9. 18. 여자 구두 플랫, 레이스 업 펌프스 이야기(링크)나 구두 보며 떠들기(링크) 같은 걸 예전에 몇 번 올린 적 있는데 올린 지 한참 된 것도 같고, 또 가을이니까(이 이야기를 계속 하고 있긴 하지만) 샌들 시기가 끝이 나고 발가락을 감출 시기가 온 고로 한번 올려본다. 제목대로 힐이 아니라 납작한 구두들 이야기다. 1. 돌체 앤 가바나의 Black Patent Leather Brogues. 이름을 차례대로 보면 까만 색이고, 반짝이는 에나멜이고, 가죽이고, 브로그다. 브로그는 구두의 끈 메는 부분이 위 사진처럼 생긴 걸 말한다. 위 사진 같은 건 풀 브로그라고도 한다. 다른 장르로는 옥스퍼드 구두가 있다. 돌체 앤 가바나에서 반짝이 구두, 힐에 뭔가 잡다한 그림이나 보석을 잔뜩 붙여놓은 제품을 잔뜩 내놨다. 위 제품도 그 중 하나(링.. 2015. 9. 17. 어른의 셔츠 며칠 전에 중년 남성 가을 스타일링에 대한 글을 올렸었다(링크). 그런데 통계를 보아하니 이 글을 찾는 사람들이 은근히 많다. 이 말은 여전히 좋은 스타일링 팁을 받을 곳이 없기도 하고(남성 잡지는 보통 그보다는 어린 축을 주로 대상으로 한다), 추석도 다가오는 데 뭐 가을 분위기 나는 새 옷을 입어볼까(추석빔이라는 말도 있지 않나) 하는 마음도 있을 거 같고 여러가지 예상을 할 수 있다. 여튼 거기엔 셔츠 이야기는 하나도 없으므로 보충의 뜻으로 써 본다. 셔츠는 평범한 직장인 남성이라면, 혹은 아니더라도 수도 없이 입게 되는 옷이고 정말 많이 필요한 옷이다. 깨끗하게 입어야 하는 옷이므로 원칙적으로는 한 번 입으면 세탁을 해야 하고, 다림질도 해야 하는 등등 손도 많이 간다. 여하튼 많은 장수가 필요하.. 2015. 9. 16. 크리스찬 루부탱의 립스틱 라인 스터드 박힌 구두로 트렌드를 이끌었던 크리스찬 루부탱(Christian Louboutin)이 최근 사업 다양화에 가속을 내고 있다. 구두 옆에 붙은 부록같은 느낌으로만 내놓던 가방류가 클러치를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확대되었고, 뷰티 라인에서도 네일에 이어 립스틱 라인을 내놨다. 종합 패션 기업으로 거듭나는 분위기인데 여튼 이번에 나온 립스틱 라인도 말하자면 꽤 루부탱스럽다. 위 사진도 일부 제품들인데 우선 크게 봐서 금색과 블랙이 있다. 쉐이드가 다르다는데 정확히는 모르겠고 가격은 둘 다 90불로 같다. 그리고 케이스 형태에 따라 반짝이는 거, 무광택, 울퉁불퉁한 거 세가지로 나뉜다. 첫번째 사진이 울퉁불퉁이고 아래 사진이 무광택이다. 차례대로 사틴, 매트, 시어 톤이다. 그리고 각각의 컬러들이 있다. 그.. 2015. 9. 15. 뉴욕에서 열린 지방시 2016 봄여름 패션쇼 지방시의 리카르도 티시가 패션쇼를 파리에서 뉴욕으로 옮긴다고 발표를 했고 올해 첫 컬렉션이 열렸다. 뉴욕 패션쇼의 특징이라면 4개의 패션쇼(뉴욕-런던-파리-밀라노) 중 가장 빨리 열린다는 점과 가장 재미가 없다는 점이다. 보통은 다른 곳에서 하다가 파리나 밀라노로 가는 데 이런 식으로 역발상 비슷하게 뉴욕으로 옮겨간 디자이너들이 가끔씩 있다. 예를 들어 헬무트 랑(파리에서 뉴욕으로 옮겨서 패션쇼를 몇 년 치뤘는데 이후 프라다에서 회사를 사들인 이후 다시 파리로 돌아갔다)이 그랬었다. 여하튼 자리를 옮긴다는 건 꽤 큰 모험이다. 이번 패션쇼에는 세르비아 출신 여성 예술가 마리나 아브라모비치가 참여했다. 이 분이 궁금하다면 여기(링크)를 참고. 몇 년 전에 눈을 마주보는 예술 퍼포먼스를 하다가 10년 전 헤.. 2015. 9. 13. Meadham Kirchhoff가 끝을 알리다 에드워드 메담과 벤자민 커초프가 이끌어 가던 런던의 브랜드 메담 커초프(Meadham Kirchhoff)가 끝이 났다. 이 브랜드에 대해서는 여기서도 몇 번 이야기한 적이 있다. 서서히 굳어가는 시멘트를 보는 듯한 패션계인데 그 중 그나마 발랄한 런던 패션위크에서, 그나마 발랄한 무언가를 시도하던 곳이다. 작게 봐서는 메담 커초프의 중단은 패션 비지니스의 음모 탓도 아니고, 파트너십 간의 심각한 균열 탓도 아니고 결국은 옷이 안 팔려서다. 조금 더 크게는 디자이너의 발랄한 시도가 먹힐 자리가 이제는 많이 사라진 세상 탓이기도 하다. 기존의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만 해서야 침잠을 부채질 한 뿐이다. 일반적인 사람들이 탐탁치 않아 하는 걸 할 자리가 있어야 세상에는 더 재밌는 게 늘어난다. 예전 이야기를 해봐.. 2015. 9. 13. 루이 비통의 윈도 디스플레이 며칠 전에 일본 비파 - 모노그램 이야기를 하면서 Georges Vuitton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 있다(링크). 이 분이 창립자 루이 비통의 아들이고 모노그램 라인을 런칭했다. 1936년에 조르쥬 비통이 사망하고 회사를 이어받은 게 역시 그의 아들인 Gaston-Louis Vuitton이다. 가스통-루이 비통은 꽤 미적 감각이 있었던 분이라고 하는데 그가 특히 관심을 가졌던 분야가 매장 윈도 디스플레이였다고 한다. 당시엔 매주 윈도 디스플레이가 바뀌었기 때문에 수많은 스케치를 남겨 놓았다. 1925년에는 “The art of creating a window display fall both within a sharp sense of architecture and the skills of a stage .. 2015. 9. 7.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