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의 즐거움341 일상복의 운영 : 바지의 길이 세상 만사 집착하는 거 없이 살고 싶은데 최근 바지 길이, 특히 청바지 길이에 집착하고 있다. 사설 체인 스티치도 경험해 볼 겸 한 번 길이 조절을 했는데 그게 (잘 몰랐지만) 내가 원했던 딱 적당한 원하는 길이였고 그러고 났더니 뭘 입어도 다 그 길이로 자르고 싶어진다. 이렇게 보면 아무 의미가 없긴 한데... 길이를 알 수 있는 전신 사진을 찍을 기회가 있었는데 깜빡하고 지나쳤던 게 약간 후회가 되는군... 요새 2X2 체제로 청바지를 굴리고 있는데 "레귤러 - 슬림 / 두 번 접음 - 한 번 접음 / 더 진한 - 덜 진한"이 이렇게 저렇게 꼬여 있다. 상당히 튼튼하고 페이딩도 잘 안되는 제품들이라 별 일 없다면 굉장히 오래갈 거 같다. 사실 마니아 만큼은 아니지만 저렴한 옷만 입는 일반인치고 꽤 많.. 2017. 9. 9. 폴리에스테르의 끈질김 개인화 카테고리에서는 보통 면으로 된 옷이 낡아가는 이야기를 하는데 오늘의 주인공은 폴리에스테르다. 위대한 합성 섬유, 인류의 구원... 꽤 예전에 트랙탑이 모든 걸 해결해 주는 옷이 아닐까 라고 생각하던 시절이 있었고 당시 두 개의 트랙탑을 구입했었다. 언제쯤인지 잘 생각나지는 않는데 이글루스에서 패션 이야기를 하던 시절이다. 어쩌면 프리챌일 지도 모르겠다. 뒤에 까만 색은 나이키의 유벤투스 트랙탑. 폴리에스테르 100%고 앞의 파란 색은 프레드 페리의 J6600이라는 옷으로 코튼 50%, 폴리에스테르 50% 혼방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몸이 크게 변한 건 없고 95가 대략 맞는데 무슨 생각이었는지 나이키는 105, 프레드 페리는 M이다. 일본판이라 M이면 작다... 결국 하나는 (너무) 크고 하나는 작.. 2017. 9. 1. 에비수 No2 2000과 2001 머리가 잘 돌아가지 않을 때는 역시 이런 이야기를... 요새 입고 있는 에비수의 No2 2000과 2001이다. No1이 궁금하긴 한데 너무 비싸고 기회도 없고 지금 저 두 개의 추세를 볼 때 다음 청바지는 2020년 대는 되야 하지 않나 이런 생각도 들고 그렇다. 왼쪽이 2000, 오른쪽이 2001. 사실 2001이 아니고 예전에 나온 2501이다. EVIS 2501이었으니까 (L)EVIS (2)501 이었던 건데 리바이스와 여러 문제도 있고 하면서 이름도 EVISU로 바뀌었고 로트 번호 체계로 바뀌었다. 그리고 단종도 되었다가 다시 살아나고 뭐 이런 과정을 거쳤다. 2501과 2001은 거의 비슷한데 완전히 같은 핏은 아닌 거 같다. 그런데 에비수라는 회사가 데님 자체도 매년 다르고 제품마다 다르고 .. 2017. 8. 27. 초록 색 실과 노란 색 실 예전에 몇 번 말한 적 있지만 원래 이상하게 생긴 옷은 원래 그렇게 만들어 진 거니 재미가 있지만 원래 그래서는 안되는 게 너덜너덜해 지는 걸 잘 못 참는다. 일단 해지고 너덜너덜해 지면 보기도 싫거니와 옷의 수명이 그때부터 비약적으로 단축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할 수 있는 건 일단 수선을 해 놓는다. 청바지의 경우 예전에 초록색 실을 많이 사용한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링크). 초록 실의 좋은 점은 인디고 컬러에 잘 가려지고 청바지 색이 빠지기 시작해도 또 그 후줄근한 컬러 속에서 은둔이 잘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통은 나일론 실을 사용하는데 면사가 좋을 거 같긴 하지만 아무래도 직접 수선한 부분이 원래 만듦새보다는 튼튼하지 않을 거라는 염려 때문이다. 물론 나중에 물이 완전히 빠지면서 청바지의 .. 2017. 8. 16. 여성용 빈티지 리바이스 701 이야기 예전에 마릴린 몬로의 JC 페니 청바지 이야기(링크)를 하면서 리바이스 701 이야기를 언젠가 하겠다고 했는데 이참에 한 번 써본다. 빈티지 류에서 아무래도 시장이 크고 오랫동안 인기를 끈 게 501이긴 한데 남성 옷이 중심이다. 물론 501 특유의 레귤러 스트레이트를 좋아하는 여성들도 있겠지만 나름 오묘하고 복잡한 청바지 트렌드의 조류 속에서 설 자리가 잘 생기지 않는 게 사실이다. 차라리 일반적인 기준의 리바이스 빈티지가 아니라 80, 90년대 나왔던 501 쪽이 특유의 모양에 페이드 된 디스트레스드 타입으로 더 인기가 있는 거 같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리바이스의 빈티지라고 하면 1978년을 기준으로 삼는데 이유는 인디고의 색과 탈색 때문이다. 이제는 나름 세계화 된 일본식 용어로 말하자면 66전기까.. 2017. 8. 10. 브랜드 안에서의 균형 마켓을 궤뚫어 보고 빈 자리를 찾아 포지셔닝을 하는 게 이상적이겠지만 사실 이런 건 불가능하고 해도 아주 큰 규모의 기업이나 가능한 일이다. 규모가 작아질 수록 포지셔닝을 잡는 건 아무래도 운이 작용하는 일이다. 즉 내가 좋아하는 게 세상이 좋아하는 시절이라면 운이 좋은 거고, 그렇지 않다면 아무래도 사이즈를 키울 뾰족한 수가 나기는 어렵다. 묵묵히 해 가다가 또 세상이 좋아하는 시절이 찾아오면 그 역시 운이 좋은 거고... 뭐 이런 식이 아닐까. 다른 일도 그렇겠지만 못 하는 걸 극복하느니 잘 하는 걸 더 잘하기 위해 애쓰는 게 아무래도 승산이 있다. 어차피 모두가 "좋아하는 것" 같은 건 만들 수가 없는 법이고 그러니 이런 걸 좋아한다면 역시 저기 쪽이 낫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서브 브랜드, 콜라.. 2017. 8. 3. 웨어하우스 1101의 남성용 여성용 버전 웨어하우스 홈페이지를 구경하는데 삿포로 직영점 오픈 기념으로 몇 가지 리미티드 버전이 출시되어 있었다. 6월 17일에 오픈했다고. 그 중 1606이라고 505나 LEE 라이더스 같은 것과 어딘가 비슷한데 조금 다른 오리지널 버전이 좀 재미있다(링크). 지퍼가 달려있고, 벨트 루프는 7개고, 동전 주머니에는 리벳이 없고 엉덩이는 여유 있는데 상당히 테이퍼드 된다. 이런 타입의 바지를 신발에 딱 닿지 않을 정도로 끊어 놓으면 여름용으로 상당히 좋다. 좋아 보이는데... 오늘은 이 이야기가 아니라 보니까 여성용 1101의 유즈드 워시 버전도 삿포로 직영점 오픈 기념 리미티드로 나와 있었다(링크). 여성용 1101 유즈드 버전은 원래 나오긴 하는데 둘의 제품 번호가 삿포로가 L-1101-U, 유즈드 버전이 L-.. 2017. 7. 28. 딱히 패션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다 왜 청바지 이야기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여기저기 흩어서 해 놨는데 날씨도 좋은 김에 정리해 본다. 여름이 오늘만 같으면(화창하고, 바람이 불고, 습하지 않다) 정말 좋을텐데. 아무튼 왜 청바지 이야기를 꾸준히 하고 있나. 우선 공산품이라는 건 재미있는 점이 많다. 우선 대량 생산 만이 내는 분위기가 있다. 축약되고 압축되었지만 상품으로 가치를 가지고 옷으로의 가치를 가지기 위해 있어야 할 건 반드시 있고 제대로 챙긴다. 물론 테일러드, 비스포크 청바지도 있고 그런 걸 오트 쿠튀르가 아니라 청바지에서도 선택하는 걸 폄하할 생각은 없다. 체형이나 취향이라는 건 가지고 있는 게 중요하고 또 그걸 가벼운 마음이지만 대신 꾸준히 파고 들어가는 게 즐거운 법이다. 어쨌든 이 대량 생산과 기계의 냄새라는 건 만들어 진.. 2017. 7. 26. 오리존티 시절 드님의 리 101 레플리카 요새 청바지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해서 이것만 하고 당분간 딴 이야기만 하려고 한다... 여튼 오리존티 시절이면 하야시 요시유키(링크)가 드님에 있었던 시절이다(이보다 전 시기 발매 제품들이 약간 있다). 드님에 대한 대략적인 이야기는 예전에 66모델 이야기할 때 한 적이 있으니 그거 참고(링크). 드님의 청바지는 아무래도 리바이스 복각인 66XX와 66이 가장 유명한데 66XX 오리존티 시절 제품은 정말 거지가 될 때까지 입었고 66 신스 전기 제품은 요새 입고 있다. 그러므로 드님의 청바지 세계에 대해서는 좀 안다고 생각하는데 오늘은 LEE 복각이다. 일본에서도 정보를 잘 찾을 수 없는, 어쩌다 나한테 들어와 심심할 때 여기저기 들춰보는 신세가 된 101 복각이다. 리 복각은 오리존티 - 신스 시절까지.. 2017. 7. 24.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