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18

Raf Simons의 Dior 2013 SS, 그리고 자잘한 이야기들 Raf Simons의 디올 데뷔 컬렉션이 있었다. 오 뜨 꾸뛰르가 이미 있었고, 레디-투-웨어로는 처음이다. 기본적으로 라프는 내 취향의 디자이너는 아니다. 그런 편견이 있을 수 있다는 걸 염두에 두고 아래의 내용으로. 이게 좋은 컬렉션인가 하면 그런 거 같다. 색감이 좋고, 옷 자체에 공이 많이 들어가보이고, 발란스도 좋고, 거기에 자잘한 재미도 있다. 디올의 쇼로서 훌륭한가 하면 그건 아직 잘 모르겠다. 디올의 디올과, 존 갈리아노의 디올과, 라프의 디올은 매우 다르다. 쇼가 훌륭하다고, 살만한 옷들이 많다고, 혹은 아름다운 옷들이 많다고 끝은 아니다. 마세라티가 어느날 누가 봐도 페라리인 자동차를 내 놓으면 이야기가 곤란해지는 법이다. 마세라티도 훌륭하고, 페라리도 훌륭하다. 하지만 방향이 다르다... 2012. 9. 29.
Ann Demeulemeester 2013 SS 파리 패션쇼 어제도 그렇고 사진만 올리는 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계속 올리게 된다. 뭐라 뭐라 끄적거리다가도 입을 닫는다. 발렌시아가, 발망 그리고 앤 드뮐미스터 쇼가 있었고 하나같이 훌륭했다. 파리는 확실히 폼이나 멋짐/화려함 이런 걸 넘어서 옷 자체를 잘 만든다. 그리고 그 점이 조근조근 속삭이며 이야기하는 것들에도 큰 힘을 실어준다. 약간 SF 분위기가 나는데 헤어를 일부러 저렇게 한 건 이미지를 알리는 데 도움이 되기는 했겠지만, 이 패션쇼 전체에 흐르는 환상을 만끽하는 데에는 좀 너무 도식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오늘 있었던 패션쇼들을 가지고 똑같은 식의 포스팅을 몇 개씩 올리는 건 별로 의미가 없을 것 같아 잠깐 고민했는데 결국 앤 드뮐미스터다. 어제 올렸던 드리에스 반 노텐(링크)과.. 2012. 9. 28.
Dries van Noten 2013 SS PFW 어제 무척 침잠된 상태로 멍하니 아무 이야기라도 쓰자 싶어서 끄적거렸다. 자고 나서 일어나 다시 보니 실로 엉망진창... ㅠㅠ 그래서 쓸모 없는 건 지우고 대충만 남겨놓는다. 봄여름 옷인데 상당히 다운된 톤이 많다. 후반부 들어가 옷이 복잡해질 수록 조금씩 밝아진다. 여하튼 이번 시즌이 이렇게 흘러가니 자신만만해 보이는 여자를 다루고 있는 남성 드리에스 반 노텐과, 마찬가지로 자신만만해 보이는 여자를 다루는 여성 피비 필로와의 비교가 기대된다. 컬랙션의 마지막 드레스들은 이런 식으로 마무리. 패션쇼의 레벨을 쑥 끌어올리는 게 파리 패션쇼가 시작되었다라는 기분이 확 든다. 사진은 모두 패셔놀로지(링크). 2012. 9. 27.
패션쇼 읽기 매 시즌마다 이 비슷한 이야기를 쓰고 있는 거 같다. 겸사겸사 생각이 다시 나기도 하고, 뭐 어딘가 조금씩 업데이트되거나 태도가 바뀌기도 하고. 패션쇼를 챙겨 보는 목적은 여러가지다. 누군가는 유행을 캐치해 자신의 일에 반영하기 위해서 보고, 누군가는 6개월 후 구매할 쇼핑 목록 리스트를 작성하기 위해 보고, 누군가는 다음달 패션 위크 특집을 채워 넣을 기사를 쓰기 위해서 본다. 또 누군가는 그냥 심심해서 본다. 이 곳에서 이야기하는 패션위크는 대부분 가장 후자의 시점이다. 그렇다면 그 상태로 뭘 보냐 하는 이야기를 할 수 있다. 대체 옷을 살 것도 아니면 무엇을 보는 걸까. 이런 이야기를 하자는 것임. 크리에이터의 작업을 볼 때면 언제나 생각하는 건 그가 왜 지금 저런 걸 하고 있는가다. 사실 꽤 구시.. 2012. 9. 26.
이제 곧 겨울 - Eddie Bauer + Nigel Cabourn 다운 파카 컬렉션 겨울이 다가온다. 햇빛이 비치는 낮은 아직 뜨겁지만, 해만 떨어지면 급격하게 쌀쌀한 날이 계속되고 있다. 추석이 지나고, 비가 내리고 나면 햇빛 따위의 존재감은 점점 사라지고 춥고 긴 겨울이 다가오겠지. 올해는 또 유난히 빨리, 유난히 추운 겨울이 될 거라는 뉴스가 벌써부터 마음 한 쪽을 두렵게 한다. 계절이란 참 신기한게, 여름엔 반소매 티만 입고도 더워서 겨울엔 어떻게 그리 두껍고 둔한 걸 입고도 추워서 발을 동동 굴렀는지 상상이 가질 않고, 겨울엔 숨 막히게 껴입고도 추워서 여름에 어떻게 반소매만 입고 다녔는지 믿을 수가 없게 된다. 여하튼 그러다 보니 뉴스피드에 이런 옷들이 올라오면 저절로 눈이 간다. Eddie Bauer의 Nigel Cabourn 컬렉션이라는 이름으로 나온 다운 파카들이다. 에.. 2012. 9. 25.
Dolce & Gabbana 코르셋 프레임 돌체 앤 가바나는 요 몇 년간 멋은 나지만, 소위 시슬리 시골풍이라 이름이 붙은 말하자면 토속적인 룩을 계속 선보였다. 때로는 지나치게 화려하고, 또 때로는 어딘가 김이 빠진 듯하고, 또 때로는 천박하게까지 보인다. 이번 시즌도 그 연장선 상에 있다. 다마 이전에 비해 약간 정돈된 느낌이 나고, 덕분에 요란하면서도 인상적이다. 아래는 모두 쇼스튜디오(링크)에 올라온 사진들이다. 2013 SS 패션쇼 전체의 느낌은 대충 이런 모습이다. 매우 다양한 컬러, 벽지 그림같은 프린트들, 줄렁줄렁 달린 액세서리들이 이미지 과잉을 캐릭터로 삼고 있는 모 그룹의 리더처럼 어지럽게 널려있다. 하지만 옷 자체가 절제된 프레임 안에 있기 때문에 이것은 마치 작은 어항 안에 갖은 유리 세공 액세러리를 쌓아놓은 듯 퍼지진 않는.. 2012. 9. 25.
패션쇼, 그리고 SHOWSTUDIO의 실험적 시도들 Showstudio(링크)에서 이번 시즌 패션쇼 기간동안 재미있는 일을 몇 가지 벌이고 있다. 하나는 라이브 패널 디스커션(Live Panel Discussion). 다른 패션 사이트들처럼 라이브 스트리밍을 올리는 것과 동시에 몇 명의 전문가들이 실시간으로 디스커션을 한다. 말하자면 스포츠 중계 타입의 다인 해설이다. 모든 패션쇼에서 다 한 건 아니고 프라다, 돌체 앤 가바나, 베르사체 등 몇가지 중요한 쇼에서만 했다. 사회자는 계속 Camilla Morton(패션 에디터)이고 패널들은 각각 쇼마다 다르다. 프라다 쇼의 경우 사회자 외에 아래 사진에서 왼쪽부터 Jo-Ann Furniss(패션 에디터), Madelaine Levy(패션 에디터), Imran Amed(패션 디자이너), Colin McDowe.. 2012. 9. 24.
MARNI 2013 SS를 보다 또 컬렉션 이야기냐... 하면서 사실 트위터에다 끄적거릴려고 했는데 아주 살짝 길어서 포스팅으로 올리기로 했다. 사실 엊그제 질 샌더 2013 SS를 보면서 '포스로 압도하는 미니멀'을 좋아하던 내가 취향이 변한 게 아닌가하는 생각을 곰곰이 하고 있었다. 그렇찮아도 눈에 걸리고 기억을 맴도는 쇼들이 VERSACE, VERSUS, Fred Butler, Moschino, Meadham Kirchhoff 이런 것들 뿐이라... 하지만 보그UK에서 이메일로 온 마르니 사진 링크를 또 그런건가 하며 시큰둥한 마음에 열어 하나씩 보다보니 그게 아니었다. 저절로 정좌를 하고 보게 된다. 사실 마르니 같은 브랜드는 개별 제품들이 예쁘긴 해도 이게 바로 마르니! 하는 포지셔닝을 잡기가 애매하다. 비슷한 이미지를 가지고.. 2012. 9. 24.
VERSACE vs VERSUS 2013 SS 이번 시즌은 패션쇼 이야기를 꽤 많이 하고 있는 듯. 지아니가 하던 걸 이어 받은 VERSACE와 VERSUS는 본체는 하나이지만 약간 다른 길을 걷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해 블로그에서도 몇 번 이야기한 적이 있다. 뭐 어쨌든 도나텔라 브라보~ 하면 일이 쉽게 돌아가지만 세상 일 그렇게 쉽게 돌아가는 건 아니고. 패션쇼라는 건, 특히 디자이너 하우스의 패션쇼라는 건 그저 예쁘고, 세련되고, 폼이 나고, 사고 싶은 것들을 내놓는 게 다가 아니다. 시대를 바라보며 또한 리드하며 유니크한 자기만의 색을 굳건하게 유지하고 또 만들어가는 모습이 패션과 패션쇼를 좋아하는 팬들이 보고 싶어하는 어떤 것이 아닐까 싶다. 전통을 유지한 다는 건 시대를 버리고 원형 그대로 끌고가면서 구습에 집착하라는 의미가 아니다*. 여.. 2012. 9. 22.
PRADA 2013 SS MFW 2013 SS 프라다 이야기 다시 한 번 더. 어제 패션쇼를 보고 나서 받은 인상은 대충 아래 사진 같은 거였다. 이보다 더 까만 옷이 있고, 밝은 옷도 있지만 패션쇼가 끝나고 머리 속에 남은 잔상이 이랬다는 뜻이다. 오늘 아침에 보그UK에 패션쇼 스틸샷이 올라왔고 찬찬히 다시 들여다봤다. '일본'의 느낌은 어제 받았던 인상보다 훨씬 강하다. 하지만 받았던 인상만큼 나쁘진 않다. 물론 그렇다고 마음에 쏙 드는 좋은 쇼였다는 건 아니다. 아래 사진은 모두 보그UK(링크) 프라다가 가고 있는 길에 언젠가부터 에도 시대 기모노 가게의 모습이 짙게 드리우고 있다. 이번 시즌은 유난히 그렇지만, 자잘한 패턴의 무늬라든가, 살짝 반짝거리는 고운 패브릭이라든가, 짙은 하늘색 / 선홍빛 붉은색 / 바랜 흰색같은.. 2012. 9. 21.
PRADA 2013 SS 스트리밍 + 패션쇼 사진을 받아 보는 방법 프라다 2013 SS를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봤다. 오후 6시(한국시간 새벽 1시)에 시작한다 해놓고 30분 늦게 시작. 프라다 공식 홈페이지에는 캣워크와 디테일 캣워크 두 개의 스트리밍을 열어 놨는데 솔직히 운영은 좀 엉망이었다. 텔레그라프에서도 스트리밍 페이지를 올려놨는데 프라다에서 받아온 것인 듯. 여하튼 알베르타 페레티에 비해선 역시 보는 사람들이 많은 지 자주 끊겼는데, 그걸 떠나 전반적인 중계 자체가 별로였다. 그래서 그런지 옷도 영 이상했음. 몇 해 전부터 보이던 긴 아우터 + 짧은 이너(스커트나 바지) 조합이 좀 엉뚱한 곳에서 만개해 버렸다. 오리가미 느낌의 드레스들, 버선에 게다를 연상케 하는 에나멜 양말에 쪼리, 꽃 무늬 등등 초반은 완연한 일본풍이었고 중반 넘어서는 범 오리엔탈 분위기... 2012. 9. 21.
MFW 라이브 스트리밍 알베르타 페레티 관람기 아이폰으로 밀란 패션위크 알베르타 페레티 패션쇼 생중계를 봤다. MFW 아이폰 공식 앱에서도 중계하는 것 같은데 보그 UK 트위터에서 링크를 올렸길래 그걸로 봤다. 사실 패션쇼를 라이브 스트리밍을 본 건 처음이다. 예전에 몇 번 시도해 봤지만 화질도 좋지 않고, 버벅거리고 하길래 별로네 하고 있었다. 중계의 주체가 보그UK인지, 알베르타 페레티인지, MFW인지 잘 모르겠는데 꽤 철저히 준비했다. 그냥 프레스 오픈 기다렸다가 카메라 설치하고 틀어댄 게 아니다. 중앙, 좌, 우, 근접 하나 카메라 4대에 크레인에 실린 카메라 하나 이렇게 다섯 대가 쓰였다. 사실 크레인은 그렇게 유용하진 않았는데 알베르타 페레티 캣워크가 ㄷ자 형이라 전체 윤곽을 보여주는 정도로 짧게 몇 번 사용되었다. LUXOS 매거진이 트.. 2012.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