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18 드레스 차트, 1902년 미국 미국 잡지에 실린 거라고. 잘 안보이는데 위키피디아의 여기(링크)에 가면 그나마 좀 보인다. 하이 실크 햇은 비둘기 나오는 마술사 모자. 2012. 11. 28. 클레르퐁텐 노트 패드 아이폰에 노트북을 사용하긴 하지만 노트 패드를 들고 다닌다. 메모도 아이폰 타자 누르는 걸 3년이 되가는데도 잘 못해서(ㅠㅠ 나름 컴퓨터 좀 만지는데) 메모장에 쓰고 - 사진 찍어 - 드롭박스나 에버노트에 보내는 방식을 선호한다. 글자 인식해서 에버노트로 보내주는 킹짐(좋아하는 문구 브랜드다)에서 나온 노트와 앱이 있기는 하던데 매번 구하기도 까탈스럽고, 한글 인식은 어떤 지도 잘 모르고(보나마나 안 되겠지) 해서 포기. 여하튼 한동안 로디아 메모 패드를 애용하다가 좀 지겨워서 방황의 시기를 거쳤다. 도이치 뱅크에서 홍보용으로 나온 몰스킨 비슷한 것도 써보고 몇 개의 회사 다이어리도 써보고 했었다. 하지만 역시 메모 패드는 가볍고, 막 쓸 수 있고, 그럼에도 완전히 망가지지는 않고, 좋은 종이가 기분을 .. 2012. 11. 27. Undercover 2013 SS * 사전을 찾아보니 외래어 표기가 콜라보레이션이길래 앞으로 포스팅은 바꾼다. 옛날 건 어쩔 수 없고... SPA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 중간, 또는 콜라보레이션 전후의 디자이너 컬렉션은 꼭 가서 구경하는 편이다. 이게 꽤 재미있는게 콜라보레이션에서 선보인 모습과 구별되게 하기 위해서 아무래도 조금 더 극단적으로, 조금 더 명징하게 컬렉션을 끌고 가게 된다. 물론 소재와 디테일에서 큰 차이가 있겠지만 눈으로 보이는 컬렉션의 모습이 SPA와 함께 내놓은 옷들과 별로 구별되는 게 없으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양자간 목표의 차이(언더커버의 준 다카하시는 유니클로와의 UU 컬렉션에서 '가족용 옷'이 목표였다고 명시적으로 말했었다 - fashionboop.com/528 참고)가 존재하지만 그런 것과 별개로 평범한 .. 2012. 11. 26. 건조한 겨울 이 블로그에서는 별로 인기가 없는 화장품 포스팅 어게인. 사실 '괴상한 피로'(라고 편의적으로 칭하자)가 겹쳐 아무 것도 하고 싶은 생각이 없는데 나 자신에게 또한 이 블로그를 RSS 등 정기적으로 찾아오는 분들에게 그래도 블로그가 여전히 살아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은 생각도 있고 해서 ㅎ 저번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참조 출연은 슈퍼 아쿠아. 이건 요새 집에 있을 때는 달고 산다. 우와! 할 만큼 좋은 것 같지는 않는데 그래도 이렇게 막 쓰기에 좋다. 요새 지나가다 보니까 세일도 하고 있는 것 같던데 이 제품인지 비슷한 용도의 다른 제품인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스푼 같은 게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써 본 수분 크림 중 마음에 드는 건 샤넬의 이드라뷰티 젤 타입(다만 50g 1.. 2012. 11. 24. 더 바디 샵 Vitamin E 토너 며칠 전에 중앙일보에 이런 기사가 실렸다 - http://goo.gl/f23Ye 제목은 '콧대 낮춘 수입화장품'으로 기사에 의하면 수입 화장품의 매출은 지난 해에 비해 20~30%가 줄어들었고, 그래서 가격을 낮추고 있다. 샤넬 화장품도 이전보다 더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기로 하고 롯데 백화점에 다시 입점하기로 했다고 한다(롯데 철수할 당시 그 떠들석했던 걸 기억해 보면...). 이에 비해 더 페이스샵, 미샤 등 국내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들의 매출은 20~30%가 늘어났다. 요 몇 년간 차마 옷은 못사도 그나마 사치 부리는 기분이라도 낼 수 있던 영역이었는데 하늘 높은 줄 모르고 뛰는 가격 + 더 나빠진 경제 여건의 결합으로 이런 기분 전환도 이제 쉽지 않아졌다. 이 와중에 뭔가 좀 샀다가 며칠 전에 경제.. 2012. 11. 21. Comme des Garcons 블랙 프라이데이 트위터에 사진은 올렸었는데 꼼 데 가르송의 이번 블랙 프라이데이 포스터. 오카모토 타로의 작품과 유명한 문구 "Art is explosion", "Art is magic"를 가지고 매우 강렬한 포스터를 만들었다. 솔직하게 말하면 그냥 오카모토 타로 뮤지엄에서 파는 엽서에 문구를 써 넣었다... 는 느낌이 더 강하긴 하다. 그래도 '내 왕창 깎아주마!'할 거 같은 인상이 확 드는데 과연 어떨지는 모르겠다. 위 사진(사이트 주소가 holiday explosion이다)은 오피셜 홈페이지(링크)에서 볼 수 있다. 이런 것도 본 덕분에 뭐가 있지 하고 DSM(링크)을 뒤적거리다가 지갑이 눈에 걸렸다. Wallet만 펼쳐봐도 뭔가 잔뜩 나오는데 위 사진은 Luxury Group의 Burgundy SA2100LG라는.. 2012. 11. 21. WWD, 레이 카와쿠보 인터뷰 WWD에 Comme des Garcons의 레이 카와쿠보와의 인터뷰가 실렸다. 인터뷰가 흔하진 않기 때문에 대충 정리해 올려 놓는다. 원문은 여기(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역/생략/중의 등의 방법으로 어떤 이야기가 오고 갔나 하는 분위기만 전달해 놓을 거기 때문에 관심이 있다면 원문을 반드시 읽기 바란다. 사진은 인터뷰가 실려있는 WWD 페이지에서. 1942년, 도쿄 출신이다. 그냥 Q/A로 정리. Q 당신은 종종 당신의 목적이 세상에 없던 옷을 만드는 거라고 말해왔다. 안 지치나? A 경험의 무게가 쌓일 수록,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고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게 점점 더 어려워짐을 느낀다. Q 많은 사람들이 나이가 먹어갈 수록 좀 더 보수적이 되고, 모험을 하지 않게 된다. 당신은 어떤가? A 미디어.. 2012. 11. 21. 샤넬 Little Black Jacket 사진전 (예정) 칼 라거펠트와 카린 로이펠드 기획의 책 Little Black Jacket과 연관된 샤넬의 전시가 우리나라에서도 열린다. 비욘드 뮤지엄에서 12월 1일부터 12월 12일까지. http://thelittleblackjacket.chanel.com/ko_KR/exhibition/seoul 디지털 전시는 여기 http://thelittleblackjacket.chanel.com/ko_KR/experience 비욘드 뮤지엄의 전시 안내, 위치는 여기 http://www.beyondmuseum.com/?p=1826 11시부터 19시까지고 입장은 무료. 혹시 다녀오게 되면 후기를 추가하겠습니다. 2012. 11. 20. 언리미티드 에디션이 끝났습니다 흑백 사진 두 장은 by 김괜저님. 뭐 가만 보면 똑같아 보이지만 컬러는 토요일, 흑백은 일요일이라는... 생각보다 사람들이 많이 오셨습니다. 정신이 없는 와중에도 도미노 부스에서는 햄버거도 먹고, 커피도 마시고, 빵도 먹고, 맥주도 마시고 그랬습니다. 배짱 장사... -_- 이런 걸 해 본 적이 없어서 잘 팔린 건지 감이 안 잡히지만 그래도 저 가방은 완판이 되었습니다. 이제 못 사요. 아는 분들도 오셨고, 분명 어디서 봤는데 하는 분들도 오셨고, 트위터 등에서는 대화도 나눠봤지만 얼굴이 매칭되지 못한 분도 오셨고, 전혀 모르는 분들도 오셨습니다. 모두 감사드립니다. 정신이 좀 나가 있어서 인사 못드리거나 한 분들은 죄송합니다. 또 기회가 있겠지요. 여하튼 이제 ㄷㅁㄴ3호를 만들어야 하는데... 감기도.. 2012. 11. 20. 미니 마우스, 미니 뮤즈 제작년 쯤 부터 미니 마우스가 사방에 보이기 시작했다. 이 유행의 정체는 뭘까, 디즈니가 뒤에서 조종하나(-_-) 뭐 이런 생각을 하면서도 그냥 구경만 하고 있었는데 이게 확~ 하니 커지지도 않고, 그렇다고 사라지지도 않으면서 계속 생명을 지속하고 있다. 1920년에 태어난 캐릭터가 이제와서 트렌드가 된다는 건 재미있는 일이긴 한데 왜 이 캐릭터가 프린트 티셔츠를 고르는 여자들의 손에 들리는 지는 여전히 궁금하다. 미니 마우스는 디즈니의 1928년 작 Steamboat Willie에 처음으로 등장했따. 둘 다 지금하고 생긴 게 약간 다르다. 하지만 도트 드레스에 빅 사이즈 펌프, 그리고 1920년대 당시의 유행 스타일이라는 모습은 지금과 같다. 1920년대 Flapper 스타일. 여튼 저렇게 디즈니 만화.. 2012. 11. 16. 콜래보레이션 잡담 H&M + MMM을 보면서 느낀 건데 콜래보레이션이라는 명목으로 자신의 과거 작업을 반복 재생산하는 건 곰곰이 생각해 보면 좀 이상한 일이다. 이건 약간 더 복잡한데 과거 작업이라는 게 자신의 이름을 명명한 본체가 가버리기 전의 과거 작업이다. 지금은 껍질만 남아있고, 그러므로 가격적인 한계가 명백한, 저렴한 재료를 가지고 만드는 콜래보레이션으로 MMM의 이미지를 다시 만들어 낸다고 했을 때 한계점은 매우 명확해진다. 애초에 미래라는 건 존재하지 않는 형태의 작업이기 때문이다. 약간 더 엄격하게 생각한다면 그런 건 콜래보레이션이 아니라 자신들의 작업으로서 해야 하는 일이다. 몇 십 주년 기념으로 대량 생산된 자기들의 예전 아이템을 내 놓고 팝업 스토어에서 판매하는 것 정도는 생각해 볼 수 있다. 사진은 .. 2012. 11. 16. Aline Weber, 10 매거진 Aline Weber, 10매거진(http://10magazine.com/) 화보. 사진은 Christian Anwander, 에디터는 David Wandewal. 세 명의 이름에 베, 반, 발 같은 게 들어가 있어서 이름을 쭉 부르면 뭔가 이상한 기분이 된다. 요즘들어 화보의 세계는 점점 거대해지고, 아니면 꽤 깊숙히 들어가고 하는 등등 일종의 블록버스터 경향을 띠고 있어서 이런 사진들이 유니크하다고 까진 할 수 없지만, 세 개의 사진(원래는 좀 더 있다)의 과장된 표정과 하얀 색이지만 낡은(아마도 폐차?) 람보르기니, 그리고 다리의 포지셔닝이 재미있어서 유심히 들여다봤다. 옷 이야기를 하자면, 개인적으로는 마지막 사진의 조합이 괜찮아 보인다. 2012. 11. 15. 이전 1 ···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