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22 바지를 잘라 보았다 사실 바지 자르고 바느질 하고 이런 거 나름 자주 하기는 하는데 기본적으로 DIY 싫어하고 그런 일은 직업인에게...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어차피 뜯어진 거 수리하는 정도지 모양은 고치지 않는다. 하지만 애매한 것들이 좀 있는데 예컨대 체인 스티치 수선을 하는 데 1만 5천원~2만원 정도 비용이 드는 건 어느 정도 납득할 수 있다(링크). 하지만 컷 오프 같은 건 돈 주고 할 만한 일은 아니다. 물론 뭐 아티스틱한 곡선을 가진 끝 마무리 같은 걸 만들어 낼 수 있는 지 모르고 그런 거에 적절한 비용을 지불하는 게 옳겠지만 그 정도로 거창한 일을 하려는 것도 아니고... 그럼에도 만약 잘 알고 자주 가는 수선집이 있거나 저 분야 종사자 친구가 있다면 저런 것도 맡길 생각이 있는데 그런 집도 못 .. 2017. 6. 29. 청바지의 레드 탭 이야기 리바이스의 레드탭은 백포켓 스티치와 함께 리바이스 청바지의 상징 같은 역할을 했다. 저게 없으면 뒷 모습이 어딘가 심심한 감이 있다. 여튼 리바이스 고유의 방식이므로 종종 미국 리바이스가 레드탭을 도용한 다른 청바지 회사에 소송을 걸었다는 류의 뉴스(링크)를 볼 수 있다. 리바이스의 빅E와 스몰e. 저것 뿐만 아니라 e자도 조금씩 다른 게 있고 V자도 뭔가 다르고 반대편이 뒤집힌 것도 있고 제대로 인 것도 있고 하여간 꽤 여러가지가 있다. 처음에 일본에서 레플리카 청바지를 내놓기 시작했을 때 인기가 있던 건 47이나 66모델이었고 당연히 레드탭과 백포켓 스티치가 들어가 있었다. 아주 초기 모델들을 보면 리바이스랑 거의 비슷하게 만들었었고 그러다가 브랜드가 늘어나면서 좀 다르게 생겼는데 실을 뜯어내면 리바.. 2017. 6. 28. 2018 봄여름 남성복 패션쇼에 대한 단상 사실 남성복 패션쇼라는 게 딱히 할 게 없기 때문에 고만고만한 것들만 잔뜩 나오기 마련인데 스트리트 패션이 메인스트림에 자리를 잡고 젠더리스 등의 트렌드가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그래도 좀 복잡다단해 졌다. 이번 시즌은 그 혼란을 그대로 보여줬는데 - 그게 패션위크의 매력이라는 점에서 좋은 점이기도 하다 - 남성용 스커트와 원피스가 잔뜩 나온 톰 브라운의 쇼도 있었고 그 반대 쪽에는 칼하트의 워크웨어를 그대로 살린 준야 와타나베의 쇼가 있기도 하다. 그렇지만 2018 SS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조류는 말하자면 안티 패션이다. 차례대로 줄리앙 데이빗, 발렌시아가, 겐조. 사실 겐조는 웃기긴 하지만 약간 다르긴 한데... 여튼 예전에 마크 제이콥스가 안티 패션을 들고 나왔을 때는 테일러드, 크래프트 같은(.. 2017. 6. 27. H&M의 새 브랜드 Arket H&M이 새로운 브랜드 Arket을 런칭한다. 이 회사가 커버하는 레인지가 H&M을 비롯해 COS, & Other Stories가 있고 이외에 Cheap Monday 등의 브랜드를 인수해 가지고 있다. 유니클로의 G.U, Theory 라인업을 보면 알 수 있듯 보통은 더 싼 것, 더 비싼 것 양쪽으로 넓어지기 마련인데 애매하게 겹치는 게 많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래 가지고는 뭔가 엄청 큰 브랜드 인수 같은 게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 여튼 Arket은 에브리데이 유니폼이라는 문구로 요약을 할 수 있다는 거 같다. 보그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울리카 번하츠와 인터뷰가 실린 게 있는 데 사실 여기서 재밌는 부분은 아르켓(이라고 읽는 건가?) 런칭을 위한 시장 조사인 거 같다(링크). 그 부분을 .. 2017. 6. 26. 뎀나 즈바살리아가 패션을 망쳐놓고 있다 우선 이 제목과 관련해 두 가지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지금으로부터 십 몇 년 쯤 전에 톰 포드가 패션을 망쳐 놓는다는 이야기를 쓴 적이 있다. 이글루스 시절이었고 이 사이트를 만들면서 그걸 여기에 가져와 처음 글로 올렸다. 그러므로 헬로 월드를 제외하고 여기의 첫 번째 글이다(링크). 그때 패션을 망치고 있다는 이야기를 쓴 이유는 고급 의류가 귀족의 워드로브를 지나 80, 90년대 들어 확대되는 개인주의와 늘어난 소득, 팬덤의 소비 정도로도 버틸 수 있는 디자이너 등등 덕분에 고급 패션은 좀 더 대중을 대상으로 하지만 보다 개인적인 활동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남들이 뭐라 하든 제 좋은 걸 입고 다닐 수가 있었고 귀족이 아닌 이들이 구축하는 우아함 혹은 데리킷 같은 것들이 만들어질 기.. 2017. 6. 22. 코펜하겐 패션 서밋 2017, 지속 가능한 패션 "지속 가능한 패션"을 만들기 위해 패션 업계가 하고 있는 몇 가지 노력이 있다. 예컨대 개별적인 기업들은 물을 아끼거나 이산화탄소 발생이나 배출되는 쓰레기를 줄이는 새로운 공법이라든가, 재활용 프로그램을 돌린다든가, 재사용 원료를 사용한다든가 하는 자체적인 계획을 잡고 돌린다. 좀 더 큰 시각으로 보자면 이는 교토 의정서 - 파리 협정으로 이어지는 국가적인 노력 아래에 있다. 패션 업계 자체적으로도 모여서 지속 가능한 패션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코펜하겐 패션 서밋이다. 2012년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서스테이너블 패션에 대한 가장 큰 규모의 서밋이라 할 수 있다. 올해도 5월에 코펜하겐에서 개최되었는데 H&M, 자라 등 패스트 패션, 타겟이나 ASOS 같.. 2017. 6. 20. 개인 정비의 날 체인 스티치 개인 정비의 날이라고 해놓고 미루던 일을 몇 가지 했다. 하지만 월요일이라는 걸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몇 가지는 못 했다. 예를 들어 시립 미술관... 하지만 덥고 힘들어서 만약 열려 있었어도 다음에 갈까 생각했을 듯. 저번에 바지 하나가 세탁했더니 왕창 줄었다는 이야기를 했었다(링크). 대체 이제와서(오래된 옷이다), 왜, 뭘 잘못해서 라는 고민을 해보고 있는데 확실히 파악이 되지 않는다. 당시의 추측인 건조한 날씨와 시원한 바람, 뜨거운 햇빛의 조화가 역시 맞다고 생각하지만 데님이란 옷으로 사용하기에는 형편없고 말도 안되는 옷감이다라는 평소의 지론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입으면 2인치가 늘어나고 세탁하면 2인치가 줄어드는, 심지어 Raw 상태에서 처음 세탁하면 3, 4인치가 줄어들고 트위.. 2017. 6. 19. 나이키의 플라이니트와 환경 트럼프가 파리 기후 협정에서 탈퇴를 하든 말든 이건 해야 할 일이다. 나중에 하면 돈이 더 들고 더 힘들 뿐이다. 여튼 그러기 위해서 환경 오염과 지구 온난화의 당사자 중 하나인 패션 기업들도 여러가지 일을 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서스테이너블 패션이고 또 그 일환으로 새로운 "형태"가 등장한다. 여기서 형태, 디자인이라는 게 좀 중요하다. 나이키 제품 중에 플라이니트(Flyknit)라는 게 있다. 뭐 요새 이런 식으로 생긴 운동화 많이 볼 수 있다. 뭔가 3D 프린터에서 찍어 나온 거 같기도 하고, 우주복 같기도 하다. 가죽과 쿠션, 밑창 등이 패턴에 따라 잘리고 바느질과 본드로 연결되어 있는 Cut & Sew의 기존 운동화와는 전혀 다르게 생겼다. 사실 플라이니트류의 운동화의 생김새에 아직 익숙하.. 2017. 6. 18. 퍼스널 스타일에 대해 이건 상당히 스케일이 큰 이야기이기 때문에 여기에는 요약만 한다. 우선 오래간 만에 이 생각을 하게 된 동기. 물론 생각은 계속 하지만 그걸 가지고 뭘 쓴다 이런 일은 최근에는 거의 없으므로. 1) 조나단 앤더슨의 패션쇼(링크). 2) 카니에 웨스트 - 케이시 힐에 대한 이야기(링크). 3) 걸 그룹 구경을 꾸준히 하고 있는데 그 이유 중 하나는 물론 의상이다. 보이 그룹이 팬덤 중심이고 그러므로 일상과 괴리된 유니크한 의상으로 팬덤과 연예인을 분리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걸 그룹은 대중성이 중심이고 그러므로 무대 의상으로의 특수성에 일상성이 결합되어 있다. 게다가 일단 옷이라는 거 자체가 여성복 쪽이 바운더리가 훨씬 넓다 보니까 선택의 폭도 넓다. 이런 경향에 대해 조만간 어딘가 나올 모 글에 대강.. 2017. 6. 16. J.W. 앤더슨 2018 SS 남성복에 나온 청바지들 2018 SS 남성복 컬렉션이 한창인데 J.W. 앤더슨의 이번 쇼에 나온 청바지에 꽤 흥미가 간다. 이번 쇼는 여기(링크)에서 볼 수 있고 Live Stream 탭에 보면 동영상도 있다. 아래 사진도 저 포토 스트림에서 캡쳐한 거다. 참고로 남성복 유저라면 이 쇼를 한 번 정돈는 보시는 걸 권하는데 뭐랄까... 이번 패션쇼가 패션에 관한 지평이 넓어진다든가, 새로운 생각이 생긴다든가 하는 건 분명 아닌데 옷을 좀 예쁘게 멋지게, 이것 저것 시도하면서 다녀보는 게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그런 것도 디자이너 패션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다. 기본 청바지는 이렇게 생겼다. 컬러가 꽤 알맞게 잘 나온 거 같다. 몇 가지가 눈에 띄는데... 허리 부분을 보면 뭔가가 덮여있다. 아무래도 허리 부분을 넓게.. 2017. 6. 15. 모모타로에서 만든 일본 고등학교 교복 오카야마와 히로시마는 현대 데님의 중심지가 되어있는데 그중에서도 중심은 역시 오카야마다. 여기서도 자주 이야기했고 소개한 일본 데님 브랜드들도 다수가 오카야마에 본사가 있다. 여튼 오카야마에 칸제이 고등학교(関西高等学校)라는 곳이 있는데 오카야마 현 내 유일한 남자 고등학교고 역사도 130주년이 되었다고 한다. 거기서 개교 130주년을 기념해 내년 교복으로 데님을 도입한다고 한다. 위 사진은 학교 홈페이지(링크). 데님 재킷은 재팬 블루(모모타로의 모기업이고 자체 브랜드도 있다)에서 만들었는데 5년에 걸쳐 개발해 여튼 탈색이 무지 안되게 만든 새로운 데님이라고 한다. 스웨터는 보다 본격 모모타로인데 시그니처인 두 줄 페인트가 들어가 있다. 사진으로는 안보이지만 데님 재킷과 브라운 치노 바지에는 모모타로 .. 2017. 6. 15. LVMH의 e 커머스, 24 sevres 예전에 이-럭셔리라는 사이트가 있었다. LVMH에서 만든 인터넷 쇼핑몰이었는데 뭐가 나왔는지, 어떤 게 있는 지 궁금할 때 상당히 유용했기 때문에 꽤 자주 가서 구경했었다. 그러다 어느 날 폐쇄되었다. 뭐 당시 몇 개의 흥하고 있는 럭셔리 쇼핑몰은 재고 할인이 중심이었던 걸 생각하면 실시간 럭셔리의 인터넷 커머스는 너무 빨랐다고도 볼 수 있겠다. 그렇게 사라졌던 게 드디어 때가 되었다고 생각했는지 상당히 대대적으로(애플에서 누구도 데려오고 그랬다) 새 사이트를 오픈했다. 이름은 24sevres(링크). 근데 뭐 자기네들끼리는 두근두근 할 지 몰라도 저런 거 이미 많았고 LV홈페이지를 비롯해 각종 백화점 사이트 등등도 잘 되어 있으니 결국은 어떤 이미지를 만들어 내느냐 그리고 어떤 익스클루시브한 제품들을 .. 2017. 6. 13. 이전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