붑1129 날씨도 좋고 공기도 좋았지만 부제를 붙이자면 잘못된 선택은 극복하기가 힘들다. 동네에 산이 하나 있는데 200미터 정도 되는 낮은 산이다. 하지만 경사도 있고 꽤 힘든 편이라 처음 여기에 왔을 때 일주일에 한 번, 아니 이주일에 한 번 정도만 올라가도 꽤 건강해지겠다 + 가지고 있는 아웃도어 풍 옷의 극한 테스트는 아니더라도 어디에 쓰라고 만들었구나 정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을 했었다. 물론 바쁨을 빙자한 게으름 덕분에 생각처럼 잘 돌아가지는 않았지만. 어쨌든 오늘은 날씨가 좋았고 공기도 좋았다. 드문 일요일이다. 동네 뒷산이라는 건 별 생각없이 올라가게 되는데 예를 들어 겨울에는 - 추움, 따뜻하게 입자, 더워! 땀나! 순을 밟게 된다. 도심의 경우 날씨가 이러저러하면 대처 방법에 대한 대강의 견적을 낼 수 있는데 산은 아무.. 2020. 2. 23. 구찌의 사이키델릭스, MM6와 노스페이스 구찌의 사이키델릭 컬렉션이 나오고 셀프리지에 팝업 스토어가 열렸다. 구찌 앱의 GucciPin 해시태그로 알렸나 보다. 70년대 풍 사이키델릭이다. 그런가 하면 MM6 메종 마르지엘라와 노스페이스와 협업 소식이 있었다. 마르지엘라의 2020 FW 컬렉션 안에 함께 나왔다. 사실 노스페이스 - 히피 - 사이키델릭 사이는 멀지만 확실하게 연결되어 있다. 말하자면 고향이 같다. 또한 슈프림 스타일의 미니멀 실용성에서 빠져나오고 있는 건가 하는 생각도 든다. 물론 최근의 구찌나 MM6는 일정하고 꾸준한 과함이 캐릭터이긴 했다. 아무튼 메인스트림에서 무늬와 컬러가 그리울 때도 되었다. 2020. 2. 18. 등산복들, 그리고 어쩌다가 이렇게 등산복 계열은 확실히 컬러풀하다. 특히 겨울 옷은 더욱 그렇다. 잘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유튜브에서 예전 아크테릭스 영상을 보는 데 확실히 컬러풀하니까 화사하고 특히 눈 속에서는 잘 보이긴 하네라는 생각이 든다. 멀리서 헬리콥터에 탄 사람도 이들을 찾을 수 있겠지. 파타고니아에서는 윈드브레이크라고 하는 거 같은데 살짝 두터운 나일론에 안감으로 플리스가 붙은 블루종 타입의 옷이 있다. 위 사진은 일본 중고샵 쉐어 유에스에이에서 팔았던 80~90년대 것들. 옆으로 넓고 총장은 짧은 옛날 미국옷 타입인데 그래도 파타고니아를 비롯한 아웃도어 계열은 모터사이클 - 가죽옷이나 데님 트러커 류처럼 그렇게까지 짧진 않다. 다만 노스페이스 예전 옷 중에 보면 이래가지고는 배꼽티냐 싶은 것들도 있긴 하다. 파타고니아 로.. 2020. 2. 7. 2020의 남성 패션, 그외 여러가지 1. 간만에 일종의 근황 소식입니다. 예전에는 뭐뭐를 썼다 이런 이야기를 종종 했었는데 요새는 그런 이야기를 통 안했죠. 그랬더니 뭐 하고 사냐고 물어보는 분들도 가끔 있고... 그 이유가 몇 가지 있는데 그건 아래에 간단히 쓰기로 하죠. 물론이지만 패션의 흐름을 열심히 바라보며 꾸준하게 뭔가를 쓰고 있습니다. 걱정마시고 일을 주세요! 원고 외에도 함께 뭐뭐를 해보자 이런 것도 환영입니다. 2. 최근 남성복에 대한 이야기를 몇 가지 썼는데 아레나에는 2020 SS 베스트, 워스트 패션쇼 이야기를 했습니다. 베스트도 그렇지만 워스트를 뽑는 건 기획의 편리함은 있을 지 몰라도 그런 게 의미가 있을까 싶은 주제죠. 하지만 누군가 워스트를 뽑는다는 건 대부분 기대치를가 반영되기 마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지.. 2020. 2. 5. 노스페이스 데날리 1, 2, 레트로 등등 노스페이스 데날리(Denali)를 꽤 좋아하는데 왠지 보이기만 하면 하나 더 가지고 싶어하는 그런 옷이다. 그래서 예전에도 데날리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링크) 마음에 드는 이유라면 그 무식함, 따뜻함, 배타성 등등이 있겠다. 뭐 이런 게 다 있냐 싶지만 또 이것만 가지고도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파타고니아의 레트로 시리즈랑은 느낌이 좀 다르다. 하지만 따뜻함의 측면이라면 파타고니아의 R4나 레트로 쪽이 더 낫지 않을까 그런 생각은 있다. 데날리 1은 1988년에 처음 나왔다. 원래 내피로 나온 거라 눕시처럼 손목에 고정용 스냅 버튼이 있다. 겉에 입을 생각을 별로 하지 않고 만든 거라 전체적으로 아우터는 아니다라는 느낌을 강하게 풍기고 꽤 딴딴하고 뻣뻣한 재질이고 겨드랑이에 지.. 2020. 1. 30. 어쩐지 아크테릭스 얼마 전에, 라고 해봤자 벌써 작년 12월 말의 일이지만,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의 아크테릭스 파카가 잠깐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기사를 보면 '은밀한 사생활', '이재용 패딩', '완판 조짐' 등 꽤 자극적이다(링크). 어디서 샀을까(지인이 압구정 매장에서 구입해 선물로 준 걸로 추정, 바이럴인가, 이 정도면 바이럴 아닌가, 이재용을 동원해 바이럴을 하나), 그 전의 일정, 입고 어디 갔을까 등이 자세히 나온다. 아크테릭스의 파이어비 AR 파카인데 고어 써미엄 쉘에 850필 구스 다운 제품이다. 아크테릭스 제품 중 무게 대비 보온성이 가장 좋다고 하는 걸 보면 아무래도 가벼움에 중점을 두고 있는 옷이다. 며칠 후 매장 문이 열리자마자 이재용이 입었던 패딩 주세요 그러는 사람들이 있었다는데(정말?) 잘 .. 2020. 1. 23. 마카오 신사도 루이 비통 가끔 선을 넘는 녀석들을 보는데 주말에 본 게 부산에서 625 전쟁 이야기를 하는 편이었다. 아무튼 거기 마카오 신사 이야기가 나왔는데 마카오 신사는 여덟가지 조건이 있었다고 한다. 하긴 타이타닉 때도 루이 비통이었으니 마카오 신사 때도 루이 비통이겠지. 궁금해져서 찾아봤더니 마카오 신사는 1950년대 홍콩 무역상들을 일컫는 말이다(링크). 홍콩 무역상인데 왜 마카오인가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아무튼 마카오 신사다. 여덟가지 조건이란 영국제 양복, 영국제 셔츠, 발리 구두, 롤렉스 시계, 이탈리아제 악어 가죽 벨트, 디올 혹은 루이 비통 손가방, 샘소나이트 트렁크, 필그램의 파나마 모자, 이렇게 8가지다. 옷은 영국이고 액세서리는 유럽 본토군. 위 기사를 보면 당시 활동하던 홍콩 무역상들이 30.. 2020. 1. 20. 2020년, 구찌, 프라다, 지퍼 등등 1월 들어 뭐 딱히 큰 일을 하는 것도 아닌데 이상하게 부산하고 시간이 부족한 걸 느낀다. 덕분에 이곳도 자주 방치되고 있는데 그런 김에 최근의 일 몇 가지. 1. 프라다의 2020 SS에 대해 잠깐 투덜거린 일이 있었는데 사실 기본적으로 프라다를 좋아하는 편이다. 2020 FW도 재미있다. 그럼에도 뭐가 문제인지, 문제가 있긴 한 건지, 문제라고 생각하고는 있는지 등등은 아주 긴 이야기가 필요할 거 같다. 2. 이에 비해 몽클레르에 대해서 약간은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이야기를 할 기회가 있었는데 지나치긴 했지만 여전히 재미있다고 생각한다. 콜라보가 본체보다 커지더니 결국 콜라보 자체가 하이 패션 브랜드가 되어 있다. 이것만 가지고도 재미있지 않나. 3. 구찌 + 미키마우스 음... 이에 대해서도 아주 간.. 2020. 1. 16. 피티워모, 책 행사 테스토 피티워모에 대한 기사를 찾아 읽어보고 있는데(링크) 좀 재미있는 게 있다. 이 기사를 보면 "피티워모는 현재 내 목표는 앞으로 열릴 다양하고 특별한 프로젝트들을 일관성 있고 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아이들을 위한 피티 빔보(Pitti Bimbo), 의류 소재인 직물과 원사를 다루는 피티 필라티(Pitti Filati), 푸드업계의 틈새시장을 겨냥하는 테이스트(Taste), 차별화된 예술성과 고급성을 지닌 향수 프라그란제(Fragranze),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테스토(Testo), 호텔과 케이터링을 위한 플래이버(Flavor) 같은 박람회와 전시들을 준비하고 있다." 라고 한다. 무역박람회인(였던?) 피티워모는 패션위크와의 미묘한 관계 속에서 문화와 라이프스타일 전반을 아우르는 독특한 행사로 확.. 2020. 1. 10.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