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18 디오르 옴므 2011 FW 일본의 HUgE 매거진에 디오르 옴므 2011 FW 화보가 실렸다. 스타일링은 쯔요시 니무라, 사진은 가츠히데 모리모토. 셀렉티즘 닷컴에 나머지 사진들도 올라와있다(링크). 디오르 옴므에 큰 관심이 있는 편은 아닌데 이 사진과 옷은 좀 인상적이다. 뭔가 사진의 톤까지 합쳐져서 굉장히 옛날 풍이다. 마치 80년대 아방가르드 디자인이나 요지 야마모토의 어느 지점 같은 게 생각난다. 아니면 제 7의 봉인 풍이라고 해야 하나, 뭐 여튼. 느낌이 묘하고 아득하다. 오래 인상에 남을 듯 싶다. 위 링크의 나머지 옷들은 그냥 무난하다. 디오르 옴므 특유의, 마른 몸을 더 말라 보이게 하던 날카로움은 많이 죽인 것 같다. 2011. 9. 14. MISSONI의 Target 컬렉션 약간 놀리는 투가 섞여 있음을 숨길 수 없지만 여튼 이 블로그에서 종종 미소니 이야기를 한다. 이쯤 되면 사실은 좋아하는 게 아닌가 싶다. 이 전 두 포스팅은 패션에 관한 건 아니고 컨버스 이야기를 하면서 자동차 이야기를 더 많이 떠든 게 있고, 유모차 이야기를 한 게 있다. 컨버스 x 미소니 http://fashionboop.com/110 컨버스 x 부가부 http://fashionboop.com/133 그런 미소니가 이번에 Target Collection이라는 라인을 내놨다. 이 60년대스러운 빈티지함, 이 뿌리깊은 요란함, 이 흥청망청스러움, 그리고 이 묘한 색감의 조화. 실로 미소니다. 얘네들을 미워하고자 열망하지만 미워할 수가 없다. 옷도 옷이지만 눈에 쏙 들어오는 아이템들이 많다. 스카프 침구.. 2011. 9. 14. JetSam의 겨울용 남자 지갑 - 트위드 바이폴드 참고로 이렇게 반으로 접히는 지갑을 바이폴드(Bifold)라고 한다. 이 지갑은 말하자면 Eco-Friendly다. 빈티지 트위드 자켓이나 코트를 가져다 잘라서 만들었다. 트위드를 너무나 사랑한다면, 또는 겨울에 차가운 가죽 지갑이 손에 닿는 느낌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한 번 정도는 고려해 볼 만 하다. 그래도 우리나라 날씨를 생각하면 여름에는 좀 곤란할 듯. 약간 아쉬운 점은 지갑의 안 쪽 정도는 가죽으로 처리했다면 에코 프렌들리한 면은 조금 덜어질 지 몰라도 보다 실사용에 유리했을 텐데 안 쪽도 그냥 울 느낌의 털복숭이라는 점이다. 빈티지 가죽들은 쓸 데가 많으니 못 구했나보다. 뭐 정 안되면 광장시장에서 싸구려 가죽 지갑을 하나 구입해 두개를 뜯어다 어떻게 잘 조립하면 괜찮을 지도 모르겠다. 다행인 .. 2011. 9. 13. EASTPAK + Kris Van Assche 백팩 2011년 초에 이스트팩이 크리스 반 아셰와 새로운 콜래보레이트 백팩을 내 놓는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당시에 나온 컨셉은 이런 사진. 그리고 계절이 두 번 바뀌고 소문의 백팩이 2011 FW 제품군으로 나왔다. 초기 디자인과 바뀐 건 거의 없는 듯 하다. 다만 사진은 강렬해 보이는데 실물은 유순해 보인다. 예전에 쉐비뇽인가에서 나온 바지에 사막 모래 색이라는 게 있었는데 그와 거의 비슷한 느낌의 브라운 톤의 샌드 컬러다. 하얀색 노끈도 좋고 회색 천과 가죽 패치 마무리의 느낌도 좋다. 다만 앞의 열쇠 고리는 괜한 군더더기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저기에 열쇠를 끼고 다녀봐야 덩치만 커지고, 아무것도 안달면 쩔그럭 거리는 소리만 날 거 같다. 세탁 방법에 대한 안내가 재미있다 : do not wash .. 2011. 9. 13. 남성용 스크럽 4종 체험기 추석 연휴 맞이 화장품 특집 두 번째. 지금 남아있는 건 두 개 뿐이라 사진은 두 개만 있다. 세수를 할 때 사용하는 특이한 제품으로 마스크 종류와 스크럽 종류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여튼 아무리 좋아도 많이 귀찮게 해서 사용을 잘 못하게 하는 것보다는 조금 성능이 떨어져도 꾸준히 쓰는 습관이 잘 드는 게 좋은 게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마스크 쪽은 어쩌다 두 제품 정도를 얻어 써 봤는데 포기했다. 특히 머드 종류는 일처리도 너무 귀찮고, 기다리는 동안 할 일도 없고 그래서 잘 안쓰게 된다. 하지만 스크럽 종류는 그래도 좀 좋아한다. 날짜만 잘 체크해서 일주일에 두 세번 정도 패턴으로 써 주면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도 자주 뛰어넘기는 한다. 어쨋든 스크럽 종류는 하나 사놓으면 꽤 오랫동안.. 2011. 9. 12. 남성용 스킨 3종 체험기 막간을 이용한 가벼운 포스팅. 사실 스킨의 용도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있지는 않다. 대충 생각에 세수와 로션 바르기의 사이 어느 지점 정도의 느낌이다. 그리고 남성용 제품의 경우에는 스킨과 애프터 쉐이브 스킨이 구분되어 있는데 굳이 구분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보통 스킨을 고르는 패턴으로 쓰고 있다. 애프터 쉐이브 특유의 알콜 성분이 들어가 따끔따끔한 걸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면도용 제품을 따로 구입해 사용하는 건 은근히 귀찮은 일이라서 원래는 대충 비누 같은 걸 쓰고 그냥 보통 스킨을 사용하는데, 쉐이빙 폼 같은 경우에는 세트나 사은품 등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근근히 계속 하나씩 가지고는 있다. 어쨋든 샘플을 포함해 이것 저것 사용해 본 김에 가벼운 리뷰를 한 번 남겨본다. 맨 왼쪽.. 2011. 9. 10. 추석입니다 추석 연휴가 시작되었습니다. 서울역은 한 짐 가득 짊어진 사람들로 바글바글했습니다. 제주시에서 한라산 정상이 보이는 게 드문 일이란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저도 아래서 열심히 봤습니다만 구름 사이로 조금씩만 보여주다가 결국 못봤습니다. 하지만 막상 하늘에 떠서 보니 보이더군요. 모 제주도민에게 그다지 신빙성은 없어 보입니다만 그거 보면 운이 좋다는 이야기도 들었습니다. 그래도 밑져야 본전인게 세상 사는거 아닐까 싶은 마음에 사진이라도 올려봅니다. 한 명이라도 운이 좋아진다면 그걸로 되는 거죠. 즐거운 추석 연휴 보내세요~ 2011. 9. 10. MS 익스프레스 마우스의 디자이너 마우스를 선택하는 기준은 여러가지다. 세밀한 동작을 우선시하는 사람도 있고, 미래적인 디자인이나 화려한 겉모습을 우선시 하는 사람도 있다. 개인적으로는 두가지 기본적인 기준이 있는데 성능은 고만고만해도 별 상관이 없는 대신에 고장이 잘 안나야하고 뭐니뭐니 해도 생김새가 마음에 들어야 한다. 일단 마우스라는 건 컴퓨터로 뭘 하든 항상 보고, 만져야 하기 때문에 영 시덥잖게 생기면 아무래도 기분이 안 좋아진다. 생긴 모습이 가장 마음에 드는 마우스는 애플에서 나온 애플 마우스다. 원래 이름은 마이티 마우스였는데 저작권 문제 등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마우스에 대해서는 예전에 올린 포스팅도 있다. http://macrostar.tistory.com/35 이 마우스는 하지만 비싼 가격과 더불어 결정적인 문제가.. 2011. 9. 8. 타이멕스 x Beams의 Retro Camper 35주년 기념 모델 등장하는 이름들이 많으니 하나씩 이야기 해 보자. 우선 타이멕스. 개인적으로 타이멕스의 성능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군 입대할 때 타이멕스의 인디고 시계를 가져갔었는데 그야 말로 부품 하나 하나로 분해가 되 버렸었다. 훈련소에서 시간을 아는 건 무척 중요한 일인데 그것 때문에 조금 고생을 했었다. 그냥 2만원 짜리 카시오나 돌핀을 사올 걸 하며 얼마나 후회했는지 모른다. 그러고나서 또 타이멕스를 샀다. 전자 시계를 하나 샀다가 분실했고, 그 다음은 캠퍼다. Camper, 위 제목에 나오는 이름이다. 지금도 쓰고 있는 타이멕스의 캠퍼. 원래는 NATO 스타일이라고 불리는 나일론 줄로 된 끈이었는데 그게 너무 불편해서 집에서 굴러다니던 시계줄과 바꿨다. 처음에는 며칠 하다가 색 맞는 걸로 .. 2011. 9. 7. 벤 셔먼, Englishman in New York 벤 셔먼은 왜 우리나라에서 실패했을까. 영국 옷 특유의 개성도 있고(벤 셔먼 만든 Sugarman은 영국 브라이튼 출신이지만 캐나다를 거쳐 미국으로 이민, 거기서 살다가 브라이튼의 셔츠 공장을 사들이면서 영국으로 돌아왔다) 스트리트 웨어도 나름 인기를 끌고 있었고, 프레드 페리보다 낮은 가격대로 런칭했고, 들어온 옷들도 꽤 괜찮았지만 알다시피 성과는 별로였다. 그 이유가 뭘까 궁금해 하는 데 딱히 답이 잘 안나온다. 프레드 페리는 그나마 좀 괜찮은 거 같고(그것도 옷 보다는 신발 때문이 아닐까 싶다), 골라(Gola)나 벤 셔먼 등의 영국 옷들은 국내에서 여전히 그냥 그런 상황인 거 같다. Gola는 아직 있나? 철수 했나? 모르겠네. 여튼 한국에서 철수를 하든 말든 Mod의 한 축 벤 셔먼은 작년에 세.. 2011. 9. 3. YSL vs 루부탱 그 결과 http://fashionboop.com/207 위 포스팅에서 루부탱이 YSL에 구두 밑 바닥을 레드로 칠하는 건 루부탱의 고유 상징이기 때문에 쓰지 말라는 이유로 소송을 걸었다는 포스팅을 올린 적 있다. YSL은 우리가 먼저 했어 이것들아, 라는 답변을 보냈었다. 요즘 너무 부산해 날짜가 좀 지났지만 8월 10일에 그 결과가 나왔다. 빅토 마레로 판사는 크리스찬 루부탱에게 레드 솔을 트레이드 마크로 쓸 권리는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 하지만 루부탱은 사실 2008년에 미국 특허청에서 빨간색 바닥에 대한 상표권을 획득했었는데 그걸 취소할 수는 없다는 내용도 포함되었다. 이 이유는 판사가 양측 변호사를 불러 따로 설명하기로 했단다. 마레로 판사는 판결에서 "패션 산업의 활기찬 경쟁 속에서 컬러는 장식적이고 .. 2011. 8. 31. 닥터 마틴 Made in England 컬렉션 패션 마켓에서 벌어지고 있는 재미있는 현상 중 하나는 'made in...'에 관련된 것들이다. 우선 경제 위기가 있고, 사람들의 수입이 줄어들고, 이 이유를 OEM 공장에서 찾으면서 촉발된 자국산 무브먼트다. 미국의 Made in USA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Association이 만들어지면서 일종의 인증 시스템이 되어가고 있다. 물론 이런 방식은 대량 생산과 OEM, 강력한 경쟁 덕분에 소비자 천국(어쨋든 뭐든 싸다)이 되버린 미국 소비재 시장의 구조를 (아직은 아니지만) 미래에 흔들 수도 있다는 점에서 어떻게 되어 갈지 알 수는 없다. 그리고 또 하나는 보다 마케팅 적인 측면인데, 원래 자국에서 생산하다가 대량 생산, 가격 절감을 위해 공장을 베트남, 태국, 중국으로 옮긴 회사들이 자국, .. 2011. 8. 31. 이전 1 ··· 204 205 206 207 208 209 210 ··· 2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