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42

리바이스의 501XX 시중에 워낙 좋은 데님들이 많이 나와있기는 하다. 그 중에 복각 제품이라는 건 특별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아무래도 호불호가 갈릴 수 밖에 없다. 스타일리쉬, 시크, 편안함 같은 것 대신에 약간 불편한 원형, 그리고 빈티지 레트로를 향하는 이들에게나 본격적인 효용이 있기 때문이다. 칼리코 마인 진. 1890년대. 리바이스에서 본격적으로 과거의 유물들을 발굴하고 사들인다음 501XX 등등의 복각 제품을 내놓은 지 시간이 좀 흘렀다. 꽤 비싼 가격에 나오고 본격적인 마니아들도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사실 이런 방식이 과연 리바이스 같은 거대한 회사에게 잘 어울리는 지는 잘 모르겠다. 리바이스 정도라면 1890년대 진을 복각할 시간에 2100년 쯤 발견되어 복각될 데님을 만들고 있어야 하는 게.. 2014. 3. 10.
원래 하던 것 위 캡쳐는 SBS 인기가요. 두 그룹이 다 원래 하던 것 - 즉 기존 이미지 - 과 꽤 가까운 작업을 선보였다. 위의 소시 캡쳐는 Back Hug로 Mr. Mr.와 약간 다르긴 하지만 사실 가만히 따져보면 크게 다를 것도 없다. 티져 이미지가 약간의 환기를 시켰을 뿐이었고, 뮤직 비디오와 지상파 무대가 보여진 이후에는 티져 이미지들 마저도 원래의 모습에 종속되어 보인다. 잘 하던 걸 하면 안정적이고 안심을 준다. 재화의 구분이 확실한 건 좋은 일이다. 모두의 사랑을 받는 것(그게 무엇이든)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기능 유틸리티는 그래서 재미가 없다. 하지만 지루한 면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올림픽이 끝나면서 꽤 거대한 멍석이 깔렸는데 이제 6월 월드컵 전까지 내놓을 게 뭐라도 있는 아이돌은 다들 하.. 2014. 3. 10.
루이 비통과 니콜라스 게스키에르 이번 시즌 가장 기대를 모은 패션쇼가 있다면 단연 루이 비통과 니콜라스 게스키에르일 거다. 명성으로나 과거의 경력으로나 시선을 끌지 않을 수가 없다. 여하튼 결국 장이 열렸고 '새로운' 루이 비통이 나왔다. 총 48세트의 룩을 선보였는데 꽤 많은 곳에 사용된 가죽과 은근히 복잡하게 얽힌 레이어들, 그리고 컬러들을 보며 공이 많이 들어갔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는 있다. 위 사진은 스타일 닷컴 캡쳐. 하지만 니콜라스 게스키에르는 마크 제이콥스처럼 보다 직관적인 주제와 일관성을 가지고 밀어붙이는 스타일이 아니기 때문에 요즘의 분위기로는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 건지 한 눈에 들어오진 않는다. 원래 진지한 옷을 선보이는 디자이너지만 농담이 없고 무겁다. 결론적으로 지루하다. 이 지루함은 물론 최근의 현란.. 2014. 3. 7.
샤넬의 패션쇼장 아래 샤넬의 2014 FW 가방 포스팅에 잠깐 언급한 김에 약간 덧붙여 본다. 대형 패션쇼의 경우에도 공간을 넓게 쓰는 디자이너가 있고 좁게(라기보다는 오밀조밀한 느낌) 쓰는 디자이너가 있다. 샤넬도 그렇고 그에 준하는 명문 하우스의 경우 워낙에 찾아오는 사람들도 많고 하니 넓은 공간에서 하는 게 보통인데 샤넬의 쇼장에는 특유의 광활함 같은 게 좀 있다. 다른 하우스에서도 이런 식으로 하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샤넬 같은 느낌이 드는 경우는 별로 없는 거 같다. 여하튼 찾아가지 못하는 중생들을 위해 요즘 유행인 헬리캠이라도 좀 띄워주지 않으련. 참고로 헬리캠은 정말 방송 화면의 많은 부분을 바꿔놓았다고 생각한다. 불과 몇 년 전 만해도 말도 안되는 화면을 런닝맨 같은데서도 보여줄 수 있다. 특히 예능에 있.. 2014. 3. 5.
샤넬 2014 FW 캣워크 위의 가방들 이번 샤넬 패션 위크는 슈퍼마켓 컨셉이 화제가 되었는데, 개인적으로는 슈퍼마켓 자체보다 그 넓은 공간에 뭔가 알 수 없는 것들이 꽉꽉 차 있는 게 더 인상적이었다. 꽤 커다란 공간을 다루는 기술은 정기적으로 대형 패션쇼를 여는 디자이너 하우스라면 다들 일가견이 있는데, 샤넬은 그중에서도 특별한 인상이 있다. 어쨌든 이번 패션 위크에는 희안한 것들이 꽤 있는데(사실 이 할아버지가 삐툴어져 봤자 거기서 거기지만) 그 중 가방 몇 가지. 장바구니나 비닐은 그냥 둘러 싼 거 아닐까 싶다. 사진은 보그 UK. 2014 FW 전체나 클로즈업 샷은 여기(링크)에서 볼 수 있다. 2014. 3. 5.
카모 트렌치 코트 우리나라에서 카무플라주가 인기 있다고 말하기는 좀 그런데 아무래도 군대에 얽힌 기억이 많기 때문이다. 밀리터리 아이템을 구입한다고 해도 단색의 올리브 그린 제품 쪽이 인기도 더 높고 - 물론 이는 레트로 트렌드와 연관이 있긴 하다 - 수요가 더 많으므로 빈티지의 경우도 가격 차이가 좀 난다. 하지만 보통 패션 쪽에서 사용하는 브러쉬 카무플라주는 군대에서는 과거의 유산이 되어 버렸고 이제는 디지털 무늬를 사용하므로 우드랜드 카모에 대한 반감도 시간이 좀 지나면 가시지 않을까 싶다. 비록 이제 개강한 대학생들은 봄잠바, 후드에 조끼 정도 걸치고 다니는 경우가 많지만 사실 아직 날씨가 좀 춥다. 얇은 울 코트나(참 많이 입고 다닌다) 트렌치 코트가(이쪽도 꽤 봤다) 적당한 계절인데 이게 기간이 무지하게 짧긴 .. 2014. 3. 4.
컴백 VS 소녀시대와 투애니원이 같은 시기에 컴백했다. 뮤직비디오는 현재로는 소녀시대는 Mr. Mr. 하나, 투애니원은 해피와 컴백홈 둘이 나왔다. 소녀시대는 솔직히 노래도 뮤비도 뭘 어쩌려는 건지 잘 모르겠고(사고가 있어서 연기를 했다고 들었는데 그렇게 급하게 낼 필요가 있었을까? 일정이 빠듯해서 그런가.. 다른 타이틀 곡을 낼 예정은 없을까?), 투애니원의 컴백홈은 지금까지 투애니원이 내놓은 뮤직 비디오의 연장선 아래 있다고 할 수 있겠고, 해피의 경우엔 은근 상콤 귀엽다. 해피를 보면 정황상 2012년 쯤 찍은 화면이 많이 껴있는 듯. 2014. 3. 3.
Moschino 2014 FW, 제레미 스콧 내심 기대를 가지고 있었던 제레미 스콧의 첫번째 모스키노 컬렉션 2014 FW가 지나갔다. 2월 20일에 했으니까 벌써 5일 쯤 지났는데 요새 어쩌고 저쩌고 하느라 잠깐 정신이 없어서 ㅜㅜ 위 사진은 보그 UK의 썸네일. 나머지도 여기서 확인(링크). 컬렉션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앞의 빨간 종류(소문의 맥도날드) 그러다가 이 옷을 전환점으로 중간에 검/흰/청/금의 약간 페티시 풍의 옷들. 그렇게 블랙풍의 시크한 옷들이 나오다가 갑자기 이런 가방을 들고 나오면서 분위기가 급전환 알록달록 풍으로 마무리된다. 위 사진의 옷은 약간 범퍼 같은 역할을 했다. 여튼 알록달록 풍은 맨 위에 나온 썸네일이다. 이 세가지 간 연결이 그렇게 자연스럽지는 않지만 비디오로 보고 있으면 후루룩 지나가는 맛은 좀.. 2014. 2. 25.
겐조 2014 SS 오토모빌 왈츠 2014년 겐조의 봄은 이런 분위기인가 보다. 약 10분짜리 동영상이다. 90년대부터 2000년대 초까지 주로 압축된 이미지를 전달하고 내러티브는 암시 혹은 알아서 생각하라는 분위기였다. 그러다가 LV나 프라다, 샤넬에 의해 비디오 클립으로 바뀐지 벌써 몇 년이 지났다. 이 둘의 차이는 생각보다 크다. 여하튼 그 덕분인지 이미지가 보다 확실해 진 건 나쁘지 않겠지만 역시 늘어진다. 압축 파일이 풀리는 모습을 멍하니 보고 있는 듯한 기분이다. 결국은 일년에 두 번 시즌마다 60분짜리 영상을 하나씩 내놓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싶다. 2014.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