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22 아장 프로보카퇴르가 팔렸다 영국의 란제리 브랜드 아장 프로보카퇴르가 팔렸다. 아장 프로보카퇴르는 조셉 코레(말콤 맥라렌과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아들이다)와 세레나 리스(모델이다, 둘은 1992년에 만났다) 부부가 1994년에 런칭한 브랜드다. 이 부부는 2007년에 이혼했지만 사업 파트너로 계속 함께 일했다. 다만 회사는 2007년 3i라는 벤처 캐피탈에 주식의 80%를 팔아서 실질적으로 이 회사가 소유하고 있었다. 소호에 있는 첫 번째 매장. 사진은 위키피디아(링크). 사실 작년 말부터 아장 프로보카퇴르가 다시 매물로 나와 있다는 소문은 계속 돌았고 올해 초부터 본격적으로 어떤 회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지 뉴스에 나오기 시작했다. 결론은 마이크 애슐리다. 마이크 애슐리는 스포츠 다이렉트라는 회사를 운영하고 있는 영국의 갑부 중 .. 2017. 3. 3. 발렌시아가의 모델들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 비지니스 오브 패션(BoF)에 실린 기사(링크)와 얼루어의 기사(링크 - 알렉사 쳉이 썼고 둘이 같은 내용임)를 기반으로 몇 가지 다른 뉴스 소스를 검색 포함해 간단히 정리해 본다. 이건 참고용 예전 사진. 1) 작년 말 BoF의 VOICES 모임에서 캐스팅 디렉터인 제임스 스컬리는 "How Fashion Became about Power, and Lost its Ability to Dream"라는 내용의 이야기를 하면서 패션 산업 안에서 아마도 최약자일 런웨이 모델에 대한 ethnic diversity and the humane treatment가 필요하다면서 괴롭힘, 학대, 차별이 있을 경우 자신이 내부 고발자가 될 거고 누구보다 앞서서 이 문제를 이슈화하겠다고 약속했다. 2) 이번 발렌시아가 패션쇼.. 2017. 3. 2. 한국일보에 입기, 읽기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시작했습니다 한국일보에 "박세진의 입기, 읽기"라는 제목으로 칼럼을 시작했습니다. 격주 간격이고 수요일에 게재됩니다. "입기, 읽기"라는 제목은 마음에 드는데 적어 놓고 보니까 옷과 책에 관한 이야기 같은 느낌이 들긴 합니다만 물론 패션을 읽어 본다는 이야기입니다. 주소는 여기(링크)입니다. 첫 번째는 이번 구찌 패션쇼를 중심으로 젠더리스의 경향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구찌 2017 FW 티저 영상 중 캡쳐(링크). 아직 칼럼을 어떤 식으로 저길 꾸려 나갈지 명확한 그림을 그리진 않았지만 (그런 걸 그리는 게 소용이 있을까 싶기도 하고 그런 식의 전략적 접근을 하는 타입의 인간이 아니기도 하고) 기본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모습은 패션과 옷에 대해 이 나라가 가지고 있는 반감, 벽,무관심 같은 걸 좀 바꾸고 이게 삶.. 2017. 3. 2. 구찌의 Pre-Fall 캠페인, 오디션 프리다 지아니니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구찌는 "빛나는 전통을 가졌지만 이제는 최전선에서는 좀 떨어져 가고 있는"의 노선을 분명히 타고 있었다. 그게 2년 전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들어오면서 완전히 바뀌었다. 그리고 2년 만에 최전선으로 복귀해 뛰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사실 처음 열린 컬렉션에서는 모델 비율에 대한 비판 등이 있었다. 최근 구찌의 훌륭한 점은 문제점이 뭔지 깨닫고 매우 빨리 변화를 시작했다는 거다. 물론 문제가 아주 없는 건 아니다. 옷의 임팩트는 크고 광대해 지고 있지만 약간 동어 반복을 하고 있다. 여튼 이 컬렉션은 어른, 아이, 여성, 남성, 동양, 서양의 옷을 아무 상관없이 마구 섞어내 버렸다. 이 밀도감이 실로 대단해서 남녀 통합 100여개가 넘는 옷 세트가 쉬리릭 지나가.. 2017. 2. 28. 미소니와 베르사체의 2017 FW 미소니 2017 FW. “show the world the fashion community is united and fearless." 모델 뿐만 아니라 디자이너, 스탭 등 모두 쓰고 나온 저 분홍색 모자는 푸시햇 프로젝트의 미소니 버전이다. 그리고 베르사체. EQUALITY. 이번 쇼가 도나텔라 베르사체의 마지막 컬렉션이 될 거라는 소문이 있다. 후임으로 거론되고 있는 사람은 역시 리카르도 티시. 하지만 과연? 여튼 아카데미 시상식 시즌으로 세계의 눈이 미국에 몰리고 있었지만 밀라노의 패션 위크에서는 이런 옷들이 올라오고 있었다. 2017. 2. 28. 2차 대전과 뜨개질 1, 2차 세계 대전 때 군복은 아직 합성 섬유가 발달하기 전이라 코튼, 트윌, 가죽 등등을 사용한 게 다수였고 이런 것들이 좋은 점도 많긴 하지만 추위와 비 등을 막아내는 데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보온의 문제는 심각하게는 다리 절단,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으므로 그냥 넘길 문제가 아니었다. 위 사진 : 아무 거나 만들어 보내면 전투 상황에서 문제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어떤 제품이 필요한지 잡지 등에서 도안 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아무튼 이런 상황이었기 때문에 후방에서 수많은 니트 보온재가 뜨개질로 만들어졌고 전장에 보내졌다. 공장의 쉬는 시간 등등을 활용해 뜨개질을 하도록 캠페인이 계속 되었고 아무래도 여성 참여자가 많기는 했지만 그것만 가지고는 모자랐기 때문에 남성, 어린 아이 등등에게 전선.. 2017. 2. 24. All Dressed Up 라나 델 레이가 며칠 전 LOVE라는 신곡을 내놨다. 라나 델 레이의 발라드 넘버는 플레이리스트로 만들어 놓고 잠잘 때 틀어 놓기에 꽤 괜찮기 때문에 챙겨 들어보는 편이다. 내용을 봤을 땐 일종의 젊음의 천가이자 팬송이다. 아무튼 가사를 보면 You(팬)에서 I(라나 델 레이)로 반복되는 구절이 있다. You get ready, you get all dressed up To go nowhere in particular Back to work or the coffee shop Doesn't matter cause it's enough To be young and in love (ah, ah) To be young and in love (ah, ah) I get ready, I get all dressed .. 2017. 2. 21. 프라발 그룽의 페미니즘 티셔츠 얼마 전 비욘세의 그래미 어워드 퍼포먼스 이야기도 했지만(링크) 이번 뉴욕 패션 위크에서도 그 어느 때 보다 정치적인 메시지가 넘쳐났다. 짐작할 수 있다시피 트럼프 당선 이후 주류 + 백인 + 남성 교집합에 속하지 않은 거의 모든 이들이 현 상황에 대해 현실적인 위협을 느끼고 우려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느 분야나 그렇겠지만 패션 역시 생산자에도 소비자에도 여성, 비 백인, 이민자, 여러 성적 지향 등등이 섞여 이 문화를 만들어 내고 있는 곳이다. 예컨대 오늘 이야기 할 프라발 그룽도 싱가폴 출신의 네팔 국적의 아시아 인이고 가톨릭 남자 고등학교에서 조롱 받던 과거를 스케치북 그리고 선생님과 어머님의 격려로 이겨내고 디자이너로 성장한, 본인의 말에 따르자면 "전형적인 게이 디자이너의 스토리"(링크)를 .. 2017. 2. 17. 컨버스 올스타 100주년 오래된 회사라 복잡한데 컨버스라는 회사는 1908년에 만들어졌고, 지금은 척 테일러라고 부르는 올스타는 1917년에 나왔다. 그리고 여기에 척 테일러라는 이름이 붙은 건 1932년이다. 1917년 컨버스에서 농구 전용 운동화로 노-스키드(미끄러지지 않음)라는 운동화를 처음 내놨고 1917년 당시 콜럼부스 고등학교의 농구 선수였던 척 테일러가 이 운동화를 신기 시작했다. 1921년 척 테일러는 시카고에 있는 컨버스 사의 세일즈 담당 부서에 일자리를 찾으러 가고 거기서 채용이 된다. 이후 농구 선수로서 생각했던 부족한 몇 가지 점을 보완하고 1932년 이 운동화에 척 테일러라는 이름이 붙는다. 척 테일러를 채용한 건 컨버스 사로서는 정말 훌륭한 결정이었던 게 척 테일러는 1930년까지 프로 농구 선수로 뛰었.. 2017. 2. 14. 이전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