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22 Helmut Lang의 실험, 에디터-인-레지던스 여기서 몇 번 조금씩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 내친 김에 간단히 정리해 본다. 헬무트 랑이 최근 브랜드의 운용에 있어 약간 새로운 실험을 하고 있다. 하이 패션 브랜드는 메인 디자이너 중심 체제를 지나 네임드 디자이너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혹은 아티스틱 디렉터로 고용해 브랜드 전반의 일관성을 꾸려나가는 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다가 헬무트 랑이 2016년 에디터-인-레지던스 체제를 도입했다. 잡지의 편집장 제도를 모방한 건데 잡지와 비슷하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 우선 첫번째 에디터-인-레지던스는 데이즈드 앤 컨퓨즈드의 이사벨라 벌리. 데이즈드에서 일하면서 헬무트 랑의 일도 같이 했다. 그러면서 크게 세 가지 프로젝트를 시도했는데 헬무트 랑의 예전 제품 아카이브 컬렉션, 아티스트들과의 콜라보 프.. 2018. 1. 20. 몇 개의 이미지, 패션의 흐름 이것도 마찬가지... 이건 글은 아니었긴 한데 여튼. 패션의 흐름이라는 제목이 달려있지만 아래 사진 순서가 좀 섞여 있음. 차례대로 청바지 페이딩의 예복각의 시작BBC지방시의 로트와일러유니클로와 질 샌더H&M과 칼 라거펠트셀비지 데님카니에 웨스트뽀빠이 창간호니고와 패럴 윌리엄스꼼 데 가르송마리 퀀트제임스 딘의 LEE말론 브란도의 리바이스2차 대전 여성 작업복디올의 뉴 룩리바이스 초기 광고디올 오트쿠튀르 2018. 1. 16. 몇 개의 이미지, 걸 그룹 USB 정리를 잠깐 하다가 예전에 무슨 글을 하나 쓰려고 모아 놨었던 캡쳐들이 있길래 여기에 올려 놓는다. 차례대로소민, 현주 있던 시절의 구 에이프릴루나 솔로 베트멍루나 솔로 모스키노AOA 해상 구조대아이오아이트와이스진이 있던 시절 오마이걸우주소녀6인 멤버 시절 라붐빙빙 도는 러블리즈 1빙빙 도는 러블리즈 2 제목을 붙이다 보니 이걸 썼던 시기가 대략 나오는 군... 2018. 1. 16. 예능 속 패션 이야기, 깔맞춤과 막스 마라 예능을 한참 안 보다가 주말에 집에서 뒹굴며 주르륵 봤는데 기억에 남은 패션, 옷 관련 이야기 몇 가지. 레드 벨벳의 슬기는(캡쳐 중 왼쪽, 가운데는 조이) 요새 깔맞춤이 좋아졌다고 한다. 하지만 위 예능(레벨 업 프로젝트 시즌 2, 현재 방영중)을 찍던 게 10월 쯤이니 그 사이에 바뀌었을 수도 있다. 예전에 타인의 착장에는 각자의 이유가 있다, 그러니 남이 입고 있는 옷에 이러쿵 저러쿵하지 맙시다 라는 요지의 칼럼을 쓴 적이 있는데(링크) 거기 처음에 이야기했던 걸 그룹 멤버 두 명 중 도전에 관심 있는 멤버가 슬기, 자신이 예뻐 보이는 데 중심을 둔다는 게 조이다. 위 캡쳐에 두 명이다.. 그러고 보니 이 두 분 이야기를 자주 하는 편인 데 매우 상반된 패션의 길을 나아가고 있고 같은 팀 멤버라 역.. 2018. 1. 15. 영화 덕분에 대중 인지도가 올라간 제품들, 후디와 스페리 심심해서 써보는 몇 가지 유래와 전설. 우선 스웨트셔츠에 모자가 결합되어 있는 흔히 후디 한국에서는 후드티라고 보통 말하는 옷은 1920년대 챔피언이 처음 운동 선수 및 뉴욕의 창고 노동자를 위해 선보였다고 알려져 있다. 다만 최초에 대해 역시 1920년대에 처음 후디를 내놨던 러셀 어쓸레틱(Russell Athletics)과 다툼이 좀 있긴 하다. 여튼 후디는 뉴욕 노동자들의 옷이었고 그래서인지 1970년대에 뉴욕의 힙합을 중심으로 스트리트 패션이 처음 시작될 때 본격적으로 서브컬쳐와 결합된 옷이 되었다. 그런데 이게 대중적으로 인지가 되고 인기를 끌게 된 건 1976년작 영화 록키 덕이 컸다고 한다. 이후 하이 패션, 스트리트 패션, 운동복 그리고 IT 기업인의 옷 등등으로 꾸준히 갈 길을 가고 있다.. 2018. 1. 15. 두 개의 2018 FW 패션쇼 모스키노, 언더커버 남성복 2018 FW 컬렉션이 한창 진행중이다. 여성복과 통합한 브랜드도 많고, 여성복 프리-폴하고 같이 하는 곳도 많고, 캣워크 패션쇼 따위 관둬버린 곳도 많기 때문에 그저 "남성복"이라고 한정하기는 이제 좀 어렵긴 하다. 아무튼 한 해의 가장 먼저 시작하는 패션위크라는 점에서 이렇게 새해가 시작되었구나를 실감하는 행사이기도 하다. 올라오는 거 챙겨보고 있는데 사실 기대보다 꽤 재밌게 진행되고 있다. 다들 뭔가 힘이 빡 실린게 다가올 혼란과 혼돈, 각자도생의 패션 트렌드를 미리 알려주는 거 같다. 오늘은 눈에 띈 두 개의 브랜드 모스키노와 언더커버. 모스키노는 남성복 2018 FW와 여성복 2018 프리-폴을 통합해 진행했다. 위 사진은 텐 매거진(링크). 이건 동영상. 하이엔드 디자이너 하우스로는 상.. 2018. 1. 14. 로에베, 후미코 이마노, 2018 SS, 책 로에베가 아티스트, 포토그래퍼 후미코 이마노(링크)와 함께 만들어 2018 SS를 보여주는 책을 내놨다. 판매용은 아니고 매장에 비치되어 있으면 구경 용이라는 데 가져갈 수 있는 건지는 모르겠다. 후미코 이마노에 대한 이야기는 이로님이 일민미술관에서 했던 그래픽 디자인의 전시 연계 강연, 비효율의 기능(링크)에 보면 살짝 이야기가 나오니까 혹시 궁금하면 참고. 검색하다 보니까 저게 있군. 위 사진은 10매거진(링크)에서 찍은 것. 매장에서 보거나 인터넷으로 올라오는 룩북, 카탈로그 북, 화보집의 확대판이라고 할 수 있고 이왕 한다면 그냥은 하지말자는 강한 의지가 느껴진다. 예전에 꼼 데 가르송에서 내놨던 각종 프린트 물들이 생각나는데 여튼 이게 반응이 좋다면 앞으로 다른 곳에서도 룩북에 좀 더 힘을 싣게.. 2018. 1. 13. 겨울용 아우터웨어, 구형 워크웨어 inspired 겨울엔 물론 롱 패딩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만 입고 다니면 삶이 평평해지고 지루해지는 느낌이 들기 마련이다. 이불 속 같은 편안함에 너무 익숙해지면 또한 게을러질 수도 있다. 여튼 잘 차려 입는 모드를 위한 캐시미어 코트 같은 걸 마련해 놓는 것도 물론 좋지만 특히 보다 활동성, 액티비티의 느낌을 확보하고 싶을 때 루트가 비교적 명확한 구형 워크웨어, 마운틴 웨어 풍 아우터들이 좋은 예시가 될 수 있다. 해군 룩 해군 룩하면 역시 피코트. 거친 겨울 바다 바람에 맞서기 위해 만들어 졌고 눈비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어디에 입어도 너무 캐주얼하게 보이지도 않고 그렇다고 너무 포멀하게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장점이다. 특히 오리지널 32온스 제품은 그 무게감과 둔탁함을 느껴보기 위해 한 .. 2018. 1. 13. Dent's의 드라이버용 장갑 이제 와서 운전용 가죽 장갑이라는 건 별로 필요한 물품은 아니다. 일반적인 운전자는 장갑을 사용할 이유가 별로 없고(운전대도 따뜻하고 안 미끄러지게 뭔가 붙여 놓기도 하고) F1이나 WRC 같은 데서는 훨씬 테크니컬한 장갑을 사용한다. 사실 아주 예전에 운전이 훨씬 더 터프한 작업이던 시절엔(고글 같은 거 끼던...) 고무 장갑처럼 생긴 모습에 두꺼운 가죽으로 만든 장갑을 사용했는데 아래 사진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다. 어쨌든 손가락 끝 부분이 잘려있고 구멍이 뽕뽕 뚫려 있는 구식 드라이빙 장갑은 기능성 중심의 제품이고 보온이든 안전이든 일상적으로는 쓸데가 별로 없는 거 같긴 한데 대신 비일상적이라는 묘한 매력이 있다. 운전할 때 쓰면 이런 느낌 역시 가늘고 큰 예전 스티어링 휠에 잘 어울린다. 물론 덴.. 2018. 1. 13. 이전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 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