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55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1986 그리고 에어 맥스 스트리트 패션에 대한 글에 적힌 댓글에 별 생각 없이 답을 달다가(링크) 마르지엘라 - 뎀나, 마르지엘라 - 버질 아블로에 대해 생각을 좀 해봤고 그러면서 예전에 버질 아블로에 대한 이야기(링크)를 쓰면서 읽은 원고들 중에 안에 넣기에는 분량도 그렇고 여러 이유로 뺀 오프-화이트 + 나이키 텐 프로젝트의 레퍼런스에 대한 내용(링크)을 다시 읽어보게 되었다. 마침 고샤, 뎀나 - 포스트 페레스트로이카에 대해서 뭘 쓰려다가 시간상, 능력상 관뒀는데 아쉽기도 하고 지금 상황에서 보자면 잘 했다 싶기도 하고 뭐 이런 복잡한 마음이라... 겸사겸사 찾은 기사에 나와 있는 사진 외에 기사 안에 적힌, 혹은 연관된 다른 제품들. 마르지엘라의 디콘스턱티드 슈즈 톰 잭스와 나이키의 콜라보. 아래 가방 좋아... 존 가이.. 2018. 2. 7. PF Flyer + 헤델스의 머큐리 프로젝트 60주년 기념 헤델스, 기어 패트롤 등을 RSS에 등록해 놓고 있는데 며칠 째 이 신발이 오르내렸다. 처음엔 요새 반사판 신발이 자주 보이는 거 같던데 얘네는 그냥 은색이냐 뭐 이렇게 생각하고 넘어가다가 무슨 이야기가 들어있나 하고 좀 살펴봤다. 우선 신발은 이것. 머큐리 프로젝트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1958년에 시작해 1963년까지 우주에 유인 우주 비행을 하기 위한 NASA의 프로젝트 이름이다. 소련에서 1957년 스푸트니크를 발사한 걸 보고 다음 해에 시작되었고 소련을 따라잡기 위해 노력했는데 1961년 4월에 유리 가가린이 우주에 먼저 다녀왔다. 그리고 미국의 궤도 비행은 1962년 2월에야 존 글렌이 탄 프렌드십 7호로 성공한다. 하지만 이후 제미니 프로젝트와 아폴로 프로젝트를 통해 소련의 기술을 따라잡고 .. 2018. 2. 6. 랄프 로렌, SNOW BEACH, 힙합, 갱 1993년에 폴로 랄프 로렌이 내놨던 SNOW BEACH 컬렉션이 다시 한정 발행되었다(링크). 좋은 타이밍 같다. 조금 일찍 나왔다면 뭔가 호들갑 떠는 거 같았을 거 같고 조금 더 늦으면 애매하지. 스노우 비치 컬렉션은 원래 남성복 디자인 팀을 이끌고 있던 랄프 로렌의 형 제프 로렌이 중심이 되어 내놓은 스노우보드 스타일의 컬렉션이다. 그렇게 나온 컬렉션인데 운명이 조금 바뀌게 된 건 RAEKWON 덕분이다. 우탕 클랜의 랙원이 매장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XXL 사이즈 스노우 비치 파카를 사갔고, 그땐 별 생각이 없었다고 하는데, Can It be All So Simple 뮤직 비디오에 입고 나오면서 아이코닉한 옷이 되었다. 하지만 꼭 저 뮤직 비디오 덕분이라고만은 할 수 없는 게 사실 뉴욕의 힙합 .. 2018. 2. 4. YEEZY 시즌 6 캠페인 YEEZY 시즌 6 캠페인이 킴 카다시안 인스타그램(링크), YEEZY Supply(링크) 등등에서 올라오고 있다. 파리스 힐튼 등이 카다시안 처럼 차려입는 모습은 여기저기서 볼 수 있었는데(링크) 카니에 웨스트가 트롤링을 하고 있다고 하는데(링크) 기사 참고. 이거 좀 재밌는 듯... 원래 올라온 곳은 여기(링크) 이 광고 캠페인은 파파라찌 콘셉트의 발렌시아가 2018 SS 광고 캠페인과 비교해서 보면 조금 더 흥미롭다. 2018. 2. 2. 헤비 듀티, 뽀빠이 창간호 1976년 여름 요새 헤비 듀티 책을 읽으면서(올해 중 번역본 발간 예정, 제가 번역하는 건 아님) 패션은 역시 부가적으로 따라올 뿐 예상보다 훨씬 라이프스타일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고 뽀빠이 창간호를 다시 되돌아 봤다. 2016년에 40주년 기념호 부록으로 준 창간호 복각판을 가끔 들춰만 봤지 자세히 본 적이 없으므로(링크) 이번 기회에 대략 검토를. 이 책임. 참고로 부가적인 시대 움직임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패션 vs. 패션에서 이야기한 VAN 재킷으로 미국 동부 지방 중심의 일본 패션이 시작되었고 1970년대 들어 헤비 듀티가 나오면서 미국 서부 지방 중심의 일본 패션이 시작되었다. 이때 나온 게 몇 몇 잡지의 칼럼, 일러스트레이터들, 뽀빠이 창간 등등이 있다. 그리고 이후 일본 내 미국 패션의.. 2018. 1. 31. 오트쿠튀르 메이킹 영상들 매년 디올과 샤넬 등등은 오트쿠튀르 메이킹 영상을 유튜브나 인스타그램 등에 올린다. 확실히 오트쿠튀르란 뭔가 압도하는 분위기가 있고 그 매력이 뭔지 끊임없이 보여주고 또 존중 받을 수 있어야 이 분야는 오래도록 유지되고 살아남을 수가 있지 않을까 싶다. 아래는 올해 샤넬 이건 2015년 이건 2016년 디올은 약간 분위기가 다르다. 2018. 1. 30. 2018년 1월 한파의 동료들 2018년 1월의 한파가 일단은 지나간 거 같다. 살면서 추웠던 적도 많았고 칼 바람에 볼이 떨어져 나갈 거 같은 순간도 있었지만 이번 한파 타입은 없었던 거 같았다. 바람이 별로 불지 않은 순간에도 피할 방법이 없을 듯한 절망적인 추위가 사방에 깔려 있었고 무엇보다 오래 지속되었다. 기후 변화는 앞으로도 계속 될 거고 이번 한파의 원인을 추적한 기사들을 보면 제트 기류는 계속 약해질 거고 북극의 얼음들이 더이상 유의미한 냉기를 발산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 될 거다. 북극의 얼음들이 유의미한 냉기를 발산하지 않는다면 이미 다 틀린 거니 그때는 옷이 문제가 아니겠지. 한파를 함께 이겨낸 동료들과 기념 사진... 열악한 아카이브 속에서 고생들 했다. 감사패라도 증정하고 싶다. 교차 착용한 것도 섞여 있고 빠진.. 2018. 1. 30. 유니클로 U 2018 SS 구경기 명동에 잠깐 들른 김에 유니클로 U를 보고 왔다. 이번 시즌 룩북은 여기(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이번 U 컬렉션은 초록과 빨강이 지배하고 있다고 할까... 여튼 컬러가 두드러진 게 특징이다. 유니클로의 기본 컬렉션이 라이프웨어라는 기조 아래 착용감을 중시하면서 혼방 계열이 무척 늘어나고 있는 데 비해 유니클로 U는 라이프웨어 테마의 핵심이면서도 예전의 전통, 원래 면으로 만드는 옷은 면으로만 만든다를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가격을 유지해야 하고 아마도 착용감을 중시하는 이들의 주장이 커서 그런 건지 전반적으로 얇다. 특히 아우터 계열의 재킷이나 면 코트 같은 건 아우터의 모양을 유지하고 있는 얇은 천 같은 느낌이다. 대신 위에서 말했듯 컬러가 생경하므로 또 나름의 용도가 있을 거다. 라이트다운 같은 건.. 2018. 1. 29. H&M에는 이런 게 있네 (신발) 인조 가죽 그리고 "인용"과 "카피", 패스트한 패션 등등이 절묘하게 결합되어 있는 H&M에서 특히 신발 라인은 가끔 가서 구경하면 정말 이상하고 신기한 게 많다. 이런 것도 있네, 이래도 되나, 이러고 있냐 등등의 생각이 복잡하게 마음 속에서 엉킨다. 레터링 프린트 더비. 같은 프린트가 적힌 슬리퍼도 있다. 페이크 퍼 슬리퍼. 발톱이 포인트. 슬리퍼라고 되어 있지만 보다시피 뒷면도 있다. 위 페이크 퍼가 100% 폴리에스테르 덩어리인데 비해 이 스니커즈는 의외로 겉, 안이 가죽으로 대어져 있다. 레더 패턴 스니커즈. 이 신발 역시 의외로 가죽이다. 뭘 생각했는지는 대충 알 거 같은데 결과적으로 상당히 조악해 보인다. 그런가 하면 이런 훌륭한 요다 슬리퍼도 있다. 뭔가 만족스러울 만큼 머리통이 커 보인다.. 2018. 1. 26. 이전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 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