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19 타이가 타카하시의 2025 SS 타이가 타카하시의 2025 SS 쇼룸이 있어서 보고 왔다. 이번 컬렉션의 콘셉트는 ‘시간을 기록하는 장치로서의 옷’이라고 한다. T.T는 변용의 폭이 크지 않은 선택지 안에서 집중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기 때문에 의외의 옷이 등장하지는 않는다. 옛날 미국옷을 복각에 준하게 재해석하고 + 이걸 만드는 제작 과정에 일본적인 장인 문화를 동원한다라는 일관성이 유지된다. 대신 이런 넓지 않은 선택지 안에서의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작은 변화, 새로운 시즌의 선택 같은 스텝이 매우 무겁고 진중하게 느껴진다. 여기에는 컬렉션 전반에 풍기는 교토 느낌도 큰 역할을 하는 거 같다. 이번 시즌 옷 중에 관심이 갔던 건 우선 차콜 스트라이프의 셋업. 이건 뉴스보이캡까지 세트다. 1910년대 풍 미국 색 코트에 1940년대 .. 2025. 4. 11. 문스타의 Protet Modi 비가 내리는 날 발이 젖지 않게 다니는 게 오랜 숙원이고 그래서 크록스 레인 부츠도 사고 했는데 뭔가 불만들이 있었다. 그러다가 문스타의 Protet Modi, ET043이라는 제품이 6만원 대 정도길래 구입했다. 문스타의 레인 부츠라면 ET027, Marke Modi 제품이 가장 인기가 많기는 한데 아무튼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고 비만 안 새고 그러는 사이에 발이 뜨거워지지만 않으면 되니까. 이런 제품들이 모두 문스타의 810s(에잇텐스)라는 시리즈에 들어 있는데 원래 전문적인 용도로 내놨던 제품을 기반으로 일상용 제품으로 리뉴얼한 시리즈다. ET043이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번호가 계속 붙어서 나오는데 ET048인가 정도까지 나와있다. 중간에 개선이 되면 안 나오기 때문에 현재 48가지를 구입할 .. 2025. 4. 9. 샴푸, 린스 소분 케이스 수영장을 다니다 보니 샴푸와 린스 소분 케이스가 필요해졌다. 화장품은 작은 사이즈가 있으니까 상관없는데 샴푸, 린스는 그게 좀 어렵다. 수영장 익스퍼트들은 큰 사이즈 그냥 들고 다니던데 아침에 수영 가방 다 들고 나가서 하루 종일 바깥에 있다가 밤에 수영장으로 가는 일정으로는 그렇게는 좀 어렵다. 경량형 괴나리 봇짐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처음에 다들 향하는 다이소로 갔는데 소분 케이스가 딱딱한 플라스틱 형태와 물렁거리는 실리콘 형태 두 가지가 있다. 처음에 딱딱한 형태를 샀는데 샤워하다 떨어뜨리는 바람에 입구가 깨져버렸다. 이쪽은 옮겨담기도 어려워서 깔대기를 써야 했다. 아무튼 망가져서 버리고 실리콘 형태를 다시 구입했다. 하지만 이건 뚜껑이 잘 안 열리고 입구 아래 부분이 샌다. 뭐 수영 가방 같은.. 2025. 4. 9. 랄프 로렌 옛날 치노 몇 년 전에 비해 인기가 조금 떨어진 것도 같지만 랄프 로렌의 빈티지, 헌옷, 중고 치노는 나름 스테디셀러다. 굉장히 여러가지 모델이 나오지만 어느 것이든 기본이 탄탄하고 소재나 부자재가 꽤 좋다는 장점이 있다. 나름의 후줄근한 모습 = 매우 편안함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잘 찾으면 미국 제조 같은 것도 있긴 한데 찾으려는 수고와 가격 대비 효용이 그렇게 높은지는 모르겠다. 미국 제조의 경우 더 예전 거라 테이퍼드가 약간 더 완만하고 봉제 세부 사양 등이 약간 다르다고 한다. 아무튼 리바이스, 갭 등이 그러했듯 언젠가 랄프 로렌 미국 제조 유행이 일본이나 미국 등지에서 찾아오면 어찌될 지 모르겠지만 그런 걸 믿고 딜을 하진 말고 그냥 입고 싶은 거 구해서 입는 게 더 재미있지 않나 생각한다. 대략 3,.. 2025. 4. 7. 트럼프, 관세 트럼프가 예고했던 관세 정책을 발표했다. 예상보다 관세율이 높다. 이 영향은 전방위적이겠지만 패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특히 광범위하다. 한 나라에서 모든 걸 생산하는 경우가 별로 없고 거의 모든 의류가 글로벌 생산 체제에 기반해 있기 때문이다. 뭐 미국 시장을 제외해 버리자고 하면 상관이 없겠지만 소비 시스템 역시 그렇게 간단히 돌아가지 않는다. 보통의 경우 이렇게 관세 무역 장벽이 생기면 물가가 오르고, 그러면 암시장이 발달할 가능성도 높다. 그러니까 밀수. 예전에 동대문에서 모자 잔뜩 사들고 메이저리그 야구장 앞에서 판매하던 보따리상이 다시 부활할 지도 모르겠다. 생각해 보니까 이민자 정책 등도 강화되서 그것도 안되겠구나. 아무튼 패션 산업계는 곧바로 반응하면서 룰루레몬을 비롯해 나이키, 랄프 로.. 2025. 4. 4. 시간에 대한 이야기 1. 나처럼 시간을 알아서 관리하며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는 거 같다. 하나는 루틴에 맞춰 사는 거다. 자발적 챗바퀴 뭐 그런 거다. 또 하나는 그때그때 임시방편으로 효율을 극대화하는 거다. 일이 잘되면 많이 하고 안되면 차라리 쉰다. 잠깐 틈이 났네, 이걸 하자 이런 식이다. 양쪽 다 장단점이 있다. 그리고 철저히 루틴, 철저히 임시방편으로 사는 건 불가능한 거 같다. 살다 보면 여러가지 일이 있고 그런 경우 적당히 알맞은 방식을 찾아가며 처리를 해야 한다. 그러므로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양쪽 방식의 장점을 어느 정도 이해를 하고, 연습도 해놓는 게 좋다. 나의 경우 일단은 루틴 기반이 잘 맞는다. 약간 게으르고 언제나 의지가 불타오르는 게 아니라면 자신을 루틴에 몰아.. 2025. 3. 26. 펜디 + 레드윙 클래식 목 이야기 펜디 100주년, 레드윙 120주년을 기념하며 1952년에 나왔던 레드윙의 클래식 목 부츠의 펜디 재해석 버전이 나왔다. 서로 어디서 접점이 있었나 싶은 약간 이상한 조합 같긴 하지만 펜디에 의하면 이 부츠 - 로퍼 하이브리드는 걷기에 적합해 바쁜 여성을 위해 만들어졌고 이 신발이 가진 스포티한 태도는 우아한 이브닝 드레스와 잘 어울린다고 한다. 이게 왜 부츠 - 로퍼 하이브리드인지, 클래식 목 부츠가 정말 걷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건지, 이브닝 드레스와 잘 어울리는건지 의문이 있긴 한데 생각해보면 크게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가죽이나 이런 건 펜디 쪽에서 처리하는 거 같고 토스카나에서 30명의 장인이 5시간에 걸쳐 조립한 다음 미국으로 향한다. 레드 윙 원래 버전보다는 더 가볍고 부드럽지 않을까 .. 2025. 3. 25. 빈티지 매장 단상 대략적으로 빈티지 매장이란 두 개 정도의 노선이 있다. 우선 제대로 선별하고 관리된 제품을 중심으로 한 편집샵형 매장으로 적당히 높은 가격대를 받는다. 레어한 경우 뿐만 아니라 근사한 경년변화가 새겨진 제품에도 매장보다 높은 가격을 붙일 수도 있다. 직접 볼 수 있고, 입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매장에 대한 신뢰도 있다. 또 하나는 예컨대 동묘식 매장이다. 막 널어놓고 싸게 판다. 여기서 약간 더 발전하면 제품별로 분류해 옷걸이에 걸어놓고 파는 경우다. 엉망진창이지만 근사한 물건을 찾아낼 수도 있고 어쩌다 횡재를 할 가능성도 있다. 무명씨부터 이태리 럭셔리까지 구비 제품의 한계도 없다. 다만 이쪽은 아무래도 가격에 한계가 있다. 이 둘 사이의 제품도 적당히 괜찮고 가격도 적당히 괜찮은 게 발란스를 만.. 2025. 3. 12. 패션위크, 2025 FW 이야기 올 봄의 주요 패션위크도 거의 마무리된 거 같다. 요 몇 년은 장원영의 파리 출국 기사가 뜨면 - 미우미우가 패션쇼를 하는구나 - 파리 패션위크도 끝이 나는군 같은 식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 덕분에 패션위크 하나보다... 정도로 대하고 있다가 끝났으니까 뭐 했는지 한번 봐볼까나 식으로 생각하게 된다. 전반적으로 봤을 때 뭔가 그럴듯하고, 압도적이고, 굉장하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는구나 하는 컬렉션은 없는 거 같고 다들 고만고만함. 테일러의 강세가 눈에 띄지만 스트리트 패션을 거친 새로운 테일러드 질서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한 디자이너도 없다. 경험이 만들어 내는 교훈이 없다는 건 아쉬운 일이다. 차라리 남성복 패션쇼 시즌에 여성복까지 같이 보여준 사카이 정도가(링크) 그나마 전향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2025. 3. 12. 이전 1 2 3 4 5 ··· 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