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722 옷 입기의 복잡함, 구찌와 발렌시아가 구찌와 발렌시아가의 2018 FW 이건 구찌. 근데 왼쪽 좀 멋지긴 한 듯. 이건 발렌시아가. 둘 다 방식은 약간 다르지만 시각적 밀도가 꽤 높다. 2018. 3. 5. 리카르도 티시가 버버리로 갔다 얼마 전 에디 슬리먼이 셀린느에 간 소식(링크)에 이어 꽤 큰 이동 + 의외의 이동으로 이번에는 리카르도 티시가 버버리로 갔다고 한다. 지방시에서 나온 이후 몇 년 조용했는데(그때는 베르사체로 간다는 소식이 파다했고, 이번 버버리에는 킴 존스나 피비 필로 등의 이름이 오르내렸다) 이렇게 다시 등장했다. 그냥 생각나는 걸 써보자면 : 버버리나 셀린느나 역시 수익성 개선이 아주 큰 문제였던 거 같고 그렇기 때문인지 유명할 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 확실히 성공했었던 검증된 디자이너들을 데려온 걸로 보인다. 다만 이 검증된 수익성이라는 게 벌써 5, 6년 전 이야기고 그 사이에 특히나 하이 패션의 모습이 꽤 바뀌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있다. 조금 아쉬운 건 이번의 이동을 보면 피비 필로가 구축해 낸 새로운 타입의.. 2018. 3. 2. 폴로 - 갱과 힙합, 버버리 - 샤브 폴로와 갱(링크), 힙합(링크) 사이의 특별한 관계에 대해서 몇 번 말한 적이 있다. 뭐 폴로 입장에서는 딱히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는 분위기인데 스노우 비치 재발매 처럼 그 특별한 관계에 대해 제스쳐를 보여준 적이 있다. 토미 힐피거가 트렁크에 옷 싣고 할렘에서 나눠줬다는 이야기처럼 매우 명백히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과 약간 다르다. 어쨌든 이와 비슷한 게 버버리와 훌리건, Chav다. 전자는 기능적 소비에 가깝다면 후자는 아이코닉한 이미지의 이용이다. 예전에 영국의 서브컬쳐 캐주얼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간단히 언급한 적이 있는데 그것도 참고(링크). 위키피디아에 나와 있는(링크) 전형적인 Chav의 모습. 코미디언 더 위 맨이라고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버버리의 노바 체크 그리고 옷도 옷이지만 .. 2018. 2. 23. 구찌의 2018 FW 패션쇼 예전에 패션 vs. 패션(링크)이라는 책을 쓰면서 빅뱅이나 2NE1, 포미닛 등의 예를 들면서 다른 나라의 패션에는 없는 높은 밀도, 정말 이것 저것 (아무거나) 가져다 쓰는 과감함, 이유를 알 수 없는 패셔나이즈드 고뇌와 분노의 등을 보면 케이 팝 (비슷한 게) 패션의 미래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이야기를 쓴 적이 있다. 일단 높은 밀도에 익숙해지면 다른 모든 건 지루해지는 법이다. 그 바램은 구찌와 발렌시아가가 이뤄 버린 듯... 이번 2018 FW 컬렉션도 그렇고 Pre-Fall 광고 캠페인의 (언어를 잘 모르겠어서 왜 하는지 잘 모르겠는) 구찌 입고 하는 데모 영상도 백미라 할 수 있겠다. 여튼 훌륭하군. 2018. 2. 22. 시몬 로샤와 피비 잉글리시의 2018 FW 뉴욕을 거쳐 런던으로 한창 2018 FW 패션위크가 진행 중이다. 엄청나게 팔아버리는 트렌드의 힘은 거대하기 이를 데 없는데 거기에 앞서가는 이미지까지 얻고 있으니 이런 걸 이길 방법은 지금으로선 딱히 없는 상황이다. 여기서도 티셔츠와 스니커즈 이야기가 늘어났다. 지나친 자극 속에서 평범한 옷은 지루해 보이기만 하지만 그래도 꾸준히 자기 갈 길을 나아가는 디자이너 들은 있다. 시몬 로샤 2018 FW(링크). 위 사진은 트위터에 올린 건데 데이즈드에 올라온 백스테이지 사진인가 아마 그럴 거다. 피비 잉글리시는 그냥 캡쳐(링크). 이 분은 최근 계속 7, 8 룩 정도만 선보이고 있다. 며칠 전에 친구랑 패션에 대한 이야기를 잠깐 한 적 있는데 트렌드가 티셔츠와 스니커즈 중심으로 흘러가면서 기존 가장 강력한.. 2018. 2. 19. 크리스토퍼 베일리의 마지막 버버리, 2018 FW 크리스토퍼 베일리의 마지막 버버리 쇼, 2018 FW가 있었다. 물론 뭐 나중에 또 들어올 가능성이 0%라고 말할 순 없으니 마지막이라고 하는 건 좀 그렇긴 하지만 여튼 크리스토퍼 베일리 - 버버리는 일단 이 지점에서 각자의 길을 간다. 성소수자를 지지하는 단체들에게 바칠 예정이라는 예고대로 이 마지막 패션쇼는 (예상보다 더) 레인보우 플래그 이미지를 다양한 곳에 사용했다. 또한 성소수자 운동 단체 세 곳에 후원을 발표하기도 했다. 아래는 이번 패션쇼 영상. 버버리와 크리스토퍼 베일리 둘 다 앞으로 더 흥미진진한 옷의 세계를 펼쳐주길 기대한다. 2018. 2. 18. 킴 존스의 2007년 그리고 GU 루이 비통에서 남성복을 담당하던 킴 존스가 얼마 전 나왔다. 게스키에르...는 어떻게 되려나 모르겠네. 여튼 킴 존스가 자기 이름으로 한 마지막 컬렉션은 2007년 2월, 뉴욕 패션위크에서 선보였던 2007FW였다(링크). 움브로와 함께한 프로젝트는 몇 시즌 더 나왔고 이후 2008년 알프레드 던힐을 거쳐 2011년 루이 비통에 들어가게 된다. 그런데 어제 갑자기 킴 존스(링크)와 GU의 인스타그램(링크)에 이런 게 떴다. 자세한 내용은 없지만 분명한 건 킴 존스의 2007년 컬렉션을 GU에서 재발매한다는 것. 킴 존스의 재발매도 재미있지만 그게 GU라는 것도 재밌다. 알다시피 GU는 패스트 리테일링에서 유니클로의 동생 라벨 같은 브랜드로 유니클로보다 더 싸고, 더 저렴하고, 더 단순한 옷을 내놓는다. .. 2018. 2. 16. 구찌의 2018 무술년 뉴 이어 컬렉션 연속으로 구찌 이야기네. 구찌가 개의 해 기념 컬렉션을 내놨다. 강아지 일러스트는 영국의 "언스킬드 워커(Unskilled Worker)"가 그린 건데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키우는 보스톤 테리어 보스코와 오르소라고 한다. 구찌는 언스킬드 워커가 그린 이 강아지들로 이모지도 내놨었는데 보다시피 왼쪽이 오르소, 오른쪽이 보스코다. 하지만 이거 가지곤 아래를 봐도 잘 모르겠군. 뭐 그건 알레산드로 미켈레와 언스킬드 워커만 알면 되는 거니까. 상당히 평화로워 보인다. 2018. 2. 12. 구찌 로고, 부틀렉과 진짜의 경계 구찌의 로고 활용법은 꽤 재미있는데 대퍼 댄(링크)의 말 그대로 "지금 누가 베끼고 있는거냐" 놀음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80년대 구찌의 옷이 있었고, 80년대 구찌 옷의 가짜가 있었고, 또 80년대 구찌 옷의 조악한 가짜(관광지에서 파는, 우리로 치자면 명동 거리에서도 볼 수 있는)가 있었다. 그리고 80년대의 구찌 로고로 알레산드로 미켈레가 부활시켰는데 아무리 봐도 저 셋 중 조악한 가짜를 기반으로 새로운 리얼을 만들어 내고 있다. 그리고 또 그 옷의 가짜가 나오고, 조악한 가짜도 나온다. 위 사진에는 다 섞여 있음. 부틀렉 특유의 과장됨, 조악함은 그보다는 정리 정돈되고 이미지가 보다 통제되면서 새로운 리얼이 되었다. 여기서 차이점이 있다면 가격과 구찌의 통제 범위 안에 있는가 정도다. 만.. 2018. 2. 12.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