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30

남성용 데오도란트 이야기 데오도란트를 거의 일년 내내 쓴다. 몸에서 체취가 심해서 그런건 아니고(그런 건 자신은 모르지 않나) 훅 올라오는 겨땀이 싫기 때문이다. 여름에는 물론 여름이니까 싫다. 봄 가을에는 자주 걷고 뛰고 하기 때문에 쓴다. 그리고 겨울 포함해 일년 내내 쓰는 이유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뭐 옆 사람 냄새가 싫듯 나한테도 그런 냄새가 날까봐 약간 짜증나니까. 몸에서 열이 나면 앉지 않고 서서 몸을 식히면 좋겠지만 세상사 그런 식으로 돌아가진 않는다. 아침 출근길 지하철에서 처럼 폭싹 쓰러지는 것보다는 자기 몸에 나을 거 같다. 정 안되겠으면 내가 옮기면 되는 거고. 함께 사는 세상, 그런 맘이야 서로 이해해 주면서... 여튼. 요새 사용하는 제품은 니베아의 실버 프로텍션 스프레이와 퓨어앤 내츄럴 롤온.. 2015. 10. 4.
헤어 드라이기는 다 못생겼다 차홍의 두피 관리(링크) 이후 두 번째 헤어에 관련된 이야기. 헤어 드라이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하나같이 너무 못생겼다는 거다. 방에서 볼 때마다 한숨이 나오고 가끔 뭐 신박한 거 없을까 찾아보는데 물론 없다. 원초적 생김 자체가 못생김을 내재하고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거의 없다. 왜 저렇게 못생겼을까 생각해 보자면 일단 거치의 문제점이다. 생긴 거 자체가 바닥에서의 안정된 거치가 불가능하게 생겼다. 그러므로 그 특유의 불안한 생김새를 숙명처럼 달고 있다. 그나마 챙겨 놓자면 매달아 놔야 하는데 무슨 업장도 아니고 또 매달아 놓는다고 이 정도면 됐다...가 되지도 않는다. 뭐 여튼. 지금은 유닉스에서 나온 이온이라는 이름의 헤어 드라이어를 쓰고 있다. 예전에는 접히지 않는 평범한 모양을 썼었는데 여기다 .. 2015. 10. 4.
러블리즈 아츄 신발꽃, 속치마 제목이 약간 이상한 거 같지만... 러블리즈의 아츄 뮤직 비디오를 보다가 특이한 점이 몇 가지 보이길래 적어본다. 물론 입고 있는 의상 이야기다. 우선 신발 꽃. 부츠에 꽃을 달았다. 음방에도 달고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뮤비에서는 V형 교복(저런 교복을 뭐라고 하는 지 모르겠는데 며칠 전 쓴 제3 신도쿄 시립 제1중학교 스타일)에 블랙 부츠, 꽃. 그리고 블라우스에 타이 조합인 세일러 타입 교복에는 흰 닥터마틴 풍 부츠에 별이 붙어 있다. 꽃은 조금씩 다른데 그쪽은 다 같은 모양 같다. 그리고 속치마. 아츄 중간에 빙빙 도는 안무가 있는데 어차피 치마가 올라간다 -> 그러면 보통 속바지가 보일텐데 그러느니 또 치마. 그렇다면 저 속치마 안에는 또 속바지가 있을까? 당연히 있겠지. 위 캡쳐는 귀찮아서 인터.. 2015. 10. 3.
차홍 마리텔 헤어 두피 관리 방법 우선 내 이야기를 잠깐 하자면 헤어라는 건 도무지 알 수 없는 그런 세계다. 미장원에 가면 머리를 어떻게 해줄까요 물어보지만 생각나는 건 아무 것도 없고, 뭘 해야할 지도 모르겠고, 게다가 두피 관리 같은 것도 단편적으로 줏어 들은 건 있지만 제대로 아는 건 거의 없다. 예전에 비듬이 생겨서 키엘의 안티 댄드러프 샴푸(링크)를 사다가 써본 적이 있긴 하지만(요즘은 징크 댄드러프라는 게 새로 나왔다 - 링크) 오 좋긴 좋군 하고서 다시 원상 복귀 뭐 이런 식이다. 그런 고로 방송 같은 데서 가끔 나오면(어 스타일포유나 스타일로그 같은 패션류 방송 보면 가끔 나온다) 나오는 이야기 잠깐 듣고, 어~ 그런가 꼭 해야지 하고 잊어버리고 뭐 그래왔다. 여튼 그런 와중에 마리텔에 차홍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음.. 2015. 10. 1.
빗(brush)과의 이별 comb고 brush고 다 빗이니까... 아닌가? 여튼 물건에게 상념을 가짐은 현대인이 가장 피해야 할 덕목인 바 이런 태도는 권장할 게 못되는데 그래도 오랫동안 방 한 켠을 점유해 오며 함께 한 빗을 보내며 잡담을 한 번. 추석 시즌의 회한과 후회가 겹쳐서 인지 이런 류의 이야기(링크)를 두 개나 적게 되어서 마음 한 구석 어딘가 씁쓸하지만. 이 빗은 현대의 문명인에게는 빗이 필요하다라는 결론을 내리고 지하철 역에 있는 화장품과 소품을 파는 매장에서 구입했다. 신촌역 아니면 월곡역인데 확실히는 기억나지 않는다. 1,500원이었나... 1,000원이었나 여하튼 굉장히 오래 전 일이다. 작은 크기면서도 브러쉬 부분은 은근 널찍하고, 고무 부분이 푹신푹신하고, 볼팁은 두피에 필요없는 자극을 주지 않는다. 손.. 2015. 9. 30.
옛날 옷의 기억 그리고 유니클로의 무톤후리스재킷 며칠 전에 유니클로 구경을 하다가 이런 옷을 보았다. 이름은 윈드 프루프 무톤후리스재킷. 윈드 프루프는 방풍 처리를 했다는 거고 무톤은 mouton, 그러니까 원래는 양가죽을 물개 표면처럼 가공한 거고 흔히 무스탕이라고 부르는 건데 위 옷은 물론 무톤風이다. 후리스는 안에 털이 붙어있다는 소리. 특수한 방풍 필름을 넣었다는 데 뭔지 모르겠고 뭐 어쩌구 저쩌구 하지만 결론은 폴리에스터 100%. 정가는 4만 9천 9백원(링크). 어쩌다 2015년 가을에 이런 옷이 세상에 나왔는지 전혀 모르겠지만... --- 그러니까 아주 어렸을 적에 갑자기 무스탕이 입고 싶어진 적이 있다. 하지만 무스탕은 어린 아이가 맘대로 살 수 있는 옷은 아니고 그래서 고터였나 어디었나를 돌아다니다가 저 유니클로 재킷과 거의 비슷하게.. 2015. 9. 28.
모카신을 만들어 봅시다 추석 연휴에 심심하신 분들은 모카신(Moccasin)을 만들어 봅시다... 뭐 제목은 말이 그렇다는 거긴 한데... 아무튼 모카신은 네이티브 아메리칸, 북 아메리카 토착인, 인디언 등으로 불리던 분들이 신던 신발입니다. 요즘의 모카신이라고 하면 보통 이런 모습입니다. 왼쪽은 어그의 모카신 슬리퍼(링크). 매장이나 코스트코 같은 데 가면 팔죠. 겨울에 집안에서 신기 좋습니다. 오른쪽은 랄프 로렌인데(링크) 보통 이런 식으로 생긴 로퍼나 드라이빙 슈즈까지 모카신이라고들 합니다. 옆에 벽을 세우고 빙 둘러서 어퍼가 꿰메어져 있죠. 원래 북미에 살던 분들이 신던 모카신은 물론 좀 더 원초적인 모습입니다. 구글 검색한 건데 슬쩍 보면 네이티브도 있고, 기념품 같은 것도 있고, 요새 만든 것도 있고 그렇습니다만.... 2015. 9. 26.
레이디 루시에 라텍스의 속옷 풀세트 레이디 루시 라텍스(링크)가 제작해 데이즈드 매거진의 펄(링크) 화보에 입힌(링크) 50년대 풍 라텍스 브라, 거들, 스타킹. 루시 라텍스는 양산품도 양산품이지만 커스텀(링크) 쪽 구경하는 재미가 좀 있다. 위 제품도 뭐 펄하고 나름 잘 어울리는 듯. 2015. 9. 26.
2015년의 추석 연휴가 시작되었습니다 추석입니다. 사실 뭐 어제 밤부터 시작이겠지만 시내 도로가 엄청 막히더군요. 그래서는 연휴의 기분이 들지 않죠. 자고로 서울의 설과 추석 연휴란 차가 줄어들고, 공기가 더 맑아지고, 한산하고 뭐 그런 맛이죠. 여기도 뭐 여태 떠들던 것처럼 연휴 상관없이 계속 떠들 겁니다. 여태 그래왔던 것 처럼요. 올해 추석 보름달은 슈퍼문이라죠. 게다가 올해는 개기월식이 있어서 달이 붉게 변하는 블러디 문입니다. 하지만 개기월식은 한국 시간으로 오전 11시 쯤이라 지구 반대편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정확히 28일 11시 11분에 시작해 12시 23분까지 인데 인터넷으로 중계도 한다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면 재밌을 듯 합니다(링크). 달이 크게 보이는 대신에 조수 간만의 차가 19년 만인가 최대라고 합니다. 해안가 가시.. 2015.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