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55 애플은 왜 케이스를 아닐린 가죽으로 만들었을까 아이폰을 계속 쓰면서 케이스도 계속 쓰는데 - 깨졌을 때 귀찮음을 감당하기 어렵다 - 3, 4 때는 인케이스나 스펙 캔디쉘을 사용했고(두툼 두툼), 5의 경우에도 스펙 케이스 하나를 저렴하게 구입해 오랫동안 써오다가 몇 개월 전 케이스와 전화기가 함께 수명을 다 해 케이스는 새로 구하고 전화기는 리퍼를 받았다. 여튼 뭐 그러던 와중에 애플에서 내놓은 케이스 하나를 얻어 쓰다가 그것도 수명을 다 했는데 아마존에 잔액이 좀 있어서 새로 하나 구입했다. 저 위에 거가 차츰 아래 거 처럼 될 거다... 왜 이렇게 되느냐 하면 원인은 바로 아닐린 가죽이다. 바로 이것. 나파(nappa)도 그렇고 아닐린도 그렇고 가죽 계열 쪽에서는 명칭이 엉망으로 혼재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냥 좋고 비싼 거면 나파... 뭐.. 2016. 1. 18. 리튜얼 루티나이즈, 잡담 간만에 잡담이다. 사실 잡담류는 오른쪽 사이드바 아래에 보이는 링크에 올려놓은 몇 개의 사이트에서 하고는 있지만 뭐 세상엔 신제품이나 패션쇼만 있는 것도 아니고 겸사겸사 홍보도 해보고... 참고로 필요없는 제품 광고를 클릭하는 건 안 하셔도 되지만 아래 손가락 버튼을 눌러주시는 건 나름 도움이 됩니다... 그래봐야 요새는 애드블록 류가 많아져서 망했지만. 제목이 좀 이상해서 최소한 검색에서 저 제목을 보고 들어오는 사람은 한 명도 없겠다 싶긴 하지만... 여튼 최근 모 사이트에 한국의 10단계 셀프 케어 뷰티를 페미니즘 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기사가 실렸었다(링크). 이 분이 여기 상황을 너무 모르시는군... 싶기도 하고 화장품은 피부 보호를 위해서만 쓰는 게 발전 단계상 한 칸 더 나아간 게 아닐까라는 .. 2016. 1. 17. 비욘드 클로젯 + 스폰지 밥 시리즈 고태용 디자이너의 비욘드 클로젯(Beyond Closet)에서 스폰지 밥과 콜라보 시리즈를 내놨다. 펫 시리즈에 이어 귀여운 노선은 계속 이어진다. 여튼 뭐 멋지든지 웃기든지 싸든지 셋 중 하나에만 해당된다면 어지간하면 패션 세상이란 조금이라도 즐거워지는 법이다. 귀여운 것도 나쁠 건 없다. 스폰지 밥 시리즈 뿐만 아니라 비욘드 클로젯의 거의 모든 아이템에서 패치를 남용하는 감이 없지 않지만 브랜드 색이란 어떤 식으로든 존재하는 게 낫다. 스웨트셔츠는 7, 8만원 대 후드는 9, 12만원 대 정도 한다. 그외에도 평범한 플란넬 셔츠처럼 저게 왜 이 콜라보 시리즈에 껴 있을까 고민하게 만드는 아이템도 있다. 여기(링크)에서 볼 수 있다. 진중한 귀여움보다는 악동의 느낌이 약간 더 강하다. 뭐 이 침침한 겨.. 2016. 1. 17. 셔츠 카라는 빳빳해야 하는가 논쟁 1차 대전 이후 남성복, 여성복은 여러가지로 많이 변했는데 그 급격한 변화는 물론 여러가지 논쟁을 만들었다. 그 중 하나가 1920년대 셔츠 카라 논쟁이다. 1910년대에 들어서면서 빳빳한 카라가 사라지기 시작했고 부드러운 카라가 등장했다. 그리고 1차 대전 중 미군에서는 착탈식 카라를 보급품에 넣었는데 어느덧 이게 표준 의복처럼 받아 들여지기 시작했다. 이건 뭐 당연히도 전쟁 때문에 물자가 부족해 졌고, 그 중에 카라를 빳빳하게 만드는 풀도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참에 부드러운 쪽으로 방향 전환을 한 거다. 그러면서 정통파(카라는 빳빳해야 한다!) vs 신흥파(카라는 부드러워도 된다)의 논쟁이 시작되었다. MDRP의 멤버들 * 양 진영 정통파 André_de_Fouquières(프랑스, 링크) : 빳.. 2016. 1. 15. 성별의 뒤섞임 작년에 젠더리스 패션(링크)이나 젠더 투명성(링크)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그러다 이 기사(링크)를 보고 이 내용에 기반해 아래의 이야기를. 많은 예들 중 하나로 2016년 가을겨울 시즌 AG 진(링크)의 광고 캠페인이 추가되었다. 모델 Daria Werbowy는 AG 진의 광고 모델을 몇 년 째 하고 있다. 원하는 이미지가 딱 이 분인가 보다. 그래도 남성복 모델이 따로 있었는데 이번 캠페인에서는 남성복, 여성복 모두를 이 분 혼자 했다. 이런 식으로 뒤섞는 건 여러가지 방법이다. LGBT 등 성소수자를 모델로 쓸 수도 있고, 남자에게 여자 옷을 입힐 수도 있고 여자에게 남자 옷을 입힐 수도 있다. 혹은 HBA처럼 애초에 남녀 구분이 없는 옷을 만들어 양자에 다 입힐 수도 있다. AG 진은 굳.. 2016. 1. 14. 하이엔드 화이트 면 티셔츠 좋은 소재를 구해 심혈을 기울여 평범한 걸 만드는 분야는 독특한 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예컨대 워크웨어 복각 의류 분야가 그렇고 셀비지 데님 분야도 그렇다. 양말이나 스웨트셔츠 같은 것도 있다. 좀 더 단순한 세계도 있는데 예컨대 하얀 면 티셔츠다. 물론 닳는 속도가 상당히 빠른 소모품이고, 흰 티에 청바지가 어쩌구 하지만 기본적으로 속옷이다. 흰 티셔츠는 아마도 1800년대 말 미국-스페인 전쟁 때 부터 속옷으로 자리를 잡았고 장르를 형성했다. 뭐 여튼 최고급 가죽으로 아닐린을 만들면서 득도하거나 돈을 벌 수도 있는 거고, 또 흰 티로도 비슷한 걸 할 수 있는 법이다. 고급 면 티 이야기를 하려면 셀비지 데님이나 스웨트셔츠와 마찬가지로 룹휠을 알아야 한다. 뭐 loopwheeled라고 적혀있으면 좋은 .. 2016. 1. 12. 두 개의 부고, 꾸레주와 보위 2016년 연초부터 두 개의 부고가 뉴스에 떴다. 우선 앙드레 꾸레주, 1923년 3월 9일 프랑스 포(Pau)~2016년 1월 7일 프랑스 뇌이쉬르센. 그의 빛나는 업적이라면 1960년대의 미래주의 패션 그리고 미니스커트의 발명(마리 퀀트와 원조 논쟁이 있다. 이 논쟁의 간략한 스토리는 여기-링크-를 참고)이다. 그가 생각했던 "미래"나 "스페이스"는 지금 이 시점에선 유효하지 못하겠지만 그래도 그는 어떤 시기에도 늘어지지 않고 항상 힘차고 즐거운 패션을 선보였다. 이제 와서 그런 낙관은 더 이상 미래를 상상할 수 없는 지금 시점에, 아마도 그때보다 더 큰 의미를 지닐 수 있다. 그리고 데이빗 보위, 1947년 1월 8일 런던~2016년 1월 10일. 며칠 전에 나온 앨범이 그의 유작이 되었고, 함께 .. 2016. 1. 11. 남성용 가죽 장갑 이야기 간만에 장갑 이야기. 아주 예전에 덴츠 장갑 이야기를 한 적 있는데(링크) 뭐 그때나 지금이나 덴츠는 좋은 제품이다. 마도바나 마르텔리 같은 이태리 제품들도 인기가 좀 있다. 여튼 겨울에는 장갑을 사용하는 게 좋은데 약간 불편하긴 하지만 맨 손으로 다니면 손도 트고 심심찮게 정전기도 올라서 스트레스 받는다. 유니클로 같은 데서 나오는 히트텍 장갑도 있고, 울이나 캐시미어 털 장갑도 있고 가죽 장갑도 있는데 가능하다면 막 쓰는 장갑 하나랑 가죽 장갑 하나 두 가지가 있는 게 낫다. 유니클로에서는 손바닥 쪽에 가죽 흉내내는 반짝이 레자 붙은 장갑이 몇 년 간 나왔는데 반짝이가 쉬이 헤진다. 그래서인지 올해는 사라졌다... 대신 이렇게 스웨이드 느낌의 인조 가죽이 붙어있는 게 나왔는데 이게 더 낫다. 손가락 .. 2016. 1. 7. 히잡, 아바야 컬렉션을 선보인 돌체 앤 가바나 돌체 앤 가바나가 히잡 앤 아바야 컬렉션을 선보였다. 히잡은 알테고 아바야는 무슬림 여성들이 입는 전신을 가리는 의복을 말한다. 이태리 시칠리아 출신 브랜드가 히잡 컬렉션을 내놓은 점에서 매우 복잡한 상념을 불러 일으키는데 그 이야기를 잠깐. 우선 첫번째 히잡 컬렉션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링크). 우선 이 옷은 어떤 지역, 종교의 전통 의상이다. 인류의 문화 유산이고 그러므로 보존의 가치가 있다. 특히 아바야는 종교적인 목적의 의상이지만 오랜 시절 입어왔고 특히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전통 의상 케바야 같은 의상의 원류로 알려져 있다. 즉 이 의상 장르는 세계 민족 의상 탐구의 줄기에서 중요한 고리를 차지한다. 한복이 인기가 있든 없든 계속 만드는 사람이 있어야 보존이 되고, 혹시 트렌디 해 진다면 .. 2016. 1. 6. 이전 1 ··· 172 173 174 175 176 177 178 ··· 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