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22

유니클로 울 80%에서 울 30%까지 트위터에서 유니클로 이야기를 잠깐 하다가 생각난 김에 살짝 적어 본다, 제목은 유니클로 피코트 이야기다. 예전에는 울 80 / 폴리 20이었는데 울 50 / 나머지 50으로 바뀌었다가 작년에는 울 30 / 나머지 70이 되었다. 피코트의 울 함유율 변화는 나름 기본기에 충실했던 유니클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생각한다. 뭐 따지고 보면 피코트의 기능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어떤 울을 썼는지 얼마나 촘촘 튼튼하게 만들었는지 등등 여러 요소들이 있겠지만 여튼 울 80%라는 명목상의 기본기가 이제는 사라졌다. 다른 옷도 비슷한 경향이 있는데 물론 아직은 다른 브랜드의 옷에 비해 소재에 있어 나은 면이 남아 있지만(슈피마 코튼 100% 티셔츠 정가가 여전히 9900원이다) 분명 어느 지점에.. 2017. 7. 8.
글 쓰는 사람들을 위한 청바지 두 번째 이야기 요즘 들어 패션에 대해 조금 진지하게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할 기회가 생겼더니(링크) 여기에는 자꾸 청바지 이야기 등등 소소한 이야기들, 그리고 짧은 지면에 못한 이야기의 보충이 주류가 되고 있다. 후자는 사실 필요 없는 건데 당연하지만 칼럼은 완성본이고 그러므로 합쳐서 이야기가 완성된다기 보다는 익스텐디드의 측면을 이야기하고 있다. 아무튼 모든 건 균형이 중요하니까... 다른 곳에 이 이야기를 하면 저 이야기를 하는 곳도 필요한 법이 아닐까. 이곳을 찾아와 주시는 분이라면 양쪽 다 재미있게 봐주시길 기대하면서... 예전에 소메의 라이터스 팬츠 이야기를 하면서 글 쓰는 사람들을 위한 청바지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링크). 말이 글 쓰는 사람들이지 책상에 앉을 일이 많은 뭐 그런 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당시.. 2017. 7. 7.
그렇다면 어떤 티셔츠가 있을까 며칠 전에 디자이너 하우스의 티셔츠 판매에 대해 부정적인 뜻을 담은 칼럼을 썼다. 여기(링크)를 참조. 저 기사는 패션에 아예 관심이 없을 수도 있는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쓴 글이기에 현 상황에 대한 설명과 중화의 지점을 좀 찾으려고 했다. 하지만 이곳에 찾아오는 그래도 패션에 좀 관심이 많은 사람들에게 말한다면 농간을 부리고 있는데 당해도 알고 당하자 정도다. 물론 구찌나 베트멍, 지방시의 티셔츠는 매우 트렌디하고 예쁘고 압도적이다. 지금 입고 있는 모든 옷을 순식간에 지배한다. 여하튼 싸게는 30만원에서 보통은 65만원 혹은 그 이상을 들이면 적어도 상의는 세계 최첨단 급으로 패셔너블한 인간이 된다. 얼마 전 나온 루이 비통 + 슈프림 NY의 티셔츠는 이베이에서 1천 불 이상의 웃돈이 붙어 거래되고.. 2017. 7. 7.
청바지 퍼스트 워시(=소킹)에 대해서 사실 지금은 여름이 왔고 덥고 습하기 때문에 청바지는 사절인 경우가 많고 그나마 입어도 밝은 색, 폴리 섞인 스판, 리넨 같은 넓고 편안한 바지를 고르는 시즌이다. 게다가 청바지 트렌드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이제는 언워시드 로 데님 구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기는 하다. 요새는 유니클로 셀비지 청바지마저 혼방이라 면 100%는 구하기가 더 어려워졌다. 그렇지만 옷장 안에 적어도 하나는 자신과 함께 낡아가는 옷이 있는 게 좋지 않나 생각하는데 5년, 10년 계획으로 그런 걸 해보려거든 역시 로 데님(리바이스에서는 리지드 데님 등등의 용어를 사용한다)이 적당하다. 처음부터 함께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면 100%가 좋은 이유는 흔적이 분명하게 남기 때문이고, 가장 예쁘게 색이 빠지고, 계속 고쳐 입기.. 2017. 7. 4.
Gamine의 덩가리, 스윗워터 팬츠 예전에 게이민(Gamine, 가민일까? 개민? 근데 Garmin은 따로 있으니까)이라는 여성용 덩가리, 워크웨어를 만드는 브랜드를 소개한 적이 있다(링크). 여기에서 디키즈 1922와 콜라보로 스윗워터 팬츠라는 걸 내놨다. 디키즈의 헤드 아카이비스트 앤 리차드슨과 함께 열심히 연구했다고 한다. 여기(링크)에서 볼 수 있다. 바지의 유래, 특징에 대한 이야기도 나와 있으니 참고. 엉덩이 부분이 넓고, 아래는 좁아지고, 몇 군데 덧대어진 튼튼하게 생긴 바지다. 일이나 활동하기에도 편할 뿐더러(어디까지나 필드 워크를 목표로 옷을 만들고 있는 곳이니까) 무슨 계절에도 입기 좋다. 요새 저런 평화로운 콘셉트의 옷 좋아보이는데 예컨대 OrSlow의 퍼티그나 프렌치 워크 팬츠. 컬러는 보통 베이지, 브라운, 인디고,.. 2017. 6. 29.
카피탈의 2017년 가을 겨울은 등산이다 카피탈의 2017년 가을 겨울 컬렉션의 주제는 등산, mountaineering이다. 하지만 등산 콘셉트도 있긴 하지만 가만히 보고 있자면 거기에 살고 있음, 혹은 동화된 이방인(분명 현지인 같지는 않다) 같은 느낌이 더 크다. 최근의 카피탈은 사시코, 보로가 예전보다 드물어지긴 했지만 그 복잡한 레이어링과 특유의 컬러 톤으로 보로 만큼 너저분함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외투는 물론이고 아주 작은 소품, 평범해야 할 이너 티셔츠까지 그냥 베이직하게 생겨 먹은 건 단 하나도 없다는 점도 달라지지 않았다. 카피탈의 세계는 철저히 카피탈 만의 세계로 믹스 앤 매치 따위로 슬쩍 꾸며볼 타입도 아니고 다른 브랜드의 제품들과 어울려 지낼 구석도 없다. 저렇게 살든지 아니면 말든지 밖에 없는 거 같다. 뭐 물론 레귤러.. 2017. 6. 29.
바지를 잘라 보았다 사실 바지 자르고 바느질 하고 이런 거 나름 자주 하기는 하는데 기본적으로 DIY 싫어하고 그런 일은 직업인에게...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어차피 뜯어진 거 수리하는 정도지 모양은 고치지 않는다. 하지만 애매한 것들이 좀 있는데 예컨대 체인 스티치 수선을 하는 데 1만 5천원~2만원 정도 비용이 드는 건 어느 정도 납득할 수 있다(링크). 하지만 컷 오프 같은 건 돈 주고 할 만한 일은 아니다. 물론 뭐 아티스틱한 곡선을 가진 끝 마무리 같은 걸 만들어 낼 수 있는 지 모르고 그런 거에 적절한 비용을 지불하는 게 옳겠지만 그 정도로 거창한 일을 하려는 것도 아니고... 그럼에도 만약 잘 알고 자주 가는 수선집이 있거나 저 분야 종사자 친구가 있다면 저런 것도 맡길 생각이 있는데 그런 집도 못 .. 2017. 6. 29.
청바지의 레드 탭 이야기 리바이스의 레드탭은 백포켓 스티치와 함께 리바이스 청바지의 상징 같은 역할을 했다. 저게 없으면 뒷 모습이 어딘가 심심한 감이 있다. 여튼 리바이스 고유의 방식이므로 종종 미국 리바이스가 레드탭을 도용한 다른 청바지 회사에 소송을 걸었다는 류의 뉴스(링크)를 볼 수 있다. 리바이스의 빅E와 스몰e. 저것 뿐만 아니라 e자도 조금씩 다른 게 있고 V자도 뭔가 다르고 반대편이 뒤집힌 것도 있고 제대로 인 것도 있고 하여간 꽤 여러가지가 있다. 처음에 일본에서 레플리카 청바지를 내놓기 시작했을 때 인기가 있던 건 47이나 66모델이었고 당연히 레드탭과 백포켓 스티치가 들어가 있었다. 아주 초기 모델들을 보면 리바이스랑 거의 비슷하게 만들었었고 그러다가 브랜드가 늘어나면서 좀 다르게 생겼는데 실을 뜯어내면 리바.. 2017. 6. 28.
2018 봄여름 남성복 패션쇼에 대한 단상 사실 남성복 패션쇼라는 게 딱히 할 게 없기 때문에 고만고만한 것들만 잔뜩 나오기 마련인데 스트리트 패션이 메인스트림에 자리를 잡고 젠더리스 등의 트렌드가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그래도 좀 복잡다단해 졌다. 이번 시즌은 그 혼란을 그대로 보여줬는데 - 그게 패션위크의 매력이라는 점에서 좋은 점이기도 하다 - 남성용 스커트와 원피스가 잔뜩 나온 톰 브라운의 쇼도 있었고 그 반대 쪽에는 칼하트의 워크웨어를 그대로 살린 준야 와타나베의 쇼가 있기도 하다. 그렇지만 2018 SS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조류는 말하자면 안티 패션이다. 차례대로 줄리앙 데이빗, 발렌시아가, 겐조. 사실 겐조는 웃기긴 하지만 약간 다르긴 한데... 여튼 예전에 마크 제이콥스가 안티 패션을 들고 나왔을 때는 테일러드, 크래프트 같은(.. 2017.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