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27 리복 클래식 + 메종 키츠네 콜라보 리복 클래식과 메종 키츠네의 콜라보 컬렉션이 출시되었다. 오렌지와 크림 화이트, 네이비 컬러를 중심으로 꽤 화사하고 귀여운 느낌이다. 보다시피 예전 야구 유니폼을 기본 테마로 했다. 저 반소매 티 같은 건 이미 소녀시대 수영 등이 입고 나온 게 TV 등으로 보인 적이 있어서 익숙하다. 이건 야구 점퍼(링크). 컬러가 꽤 예쁘다. 울 90%에 나일론 10%. 맨 위 사진에서 보다시피 뒷 면에는 REEBOK이라고 프린트가 되어 있다. 면 100% 크루넥 스웨트셔츠(링크). 야구공 패치가 귀엽다. 이런 거야 뭐 하나 있으면 매우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컬러의 반바지가 있다(링크). 보면 다른 메종 키츠네 제품들에 비해 꽤 저렴하게 나왔다는 걸 알 수 있다. 스웨트셔츠 가격이 보통 메종 키츠네 .. 2015. 10. 2. 에잇세컨즈 가을 아우터웨어, 코트와 점퍼 추석이 지나고 나더니 폭탄 저기압인가 하는 게 비를 왕창 뿌렸다. 여전히 뭔가 갑갑한 기분에 반소매 티셔츠만 입고 다니는 사람들도 꽤 있긴 하지만 그래도 이제 쌀쌀한 바람이 불어올 게 자명하다. 10월 한 달과 대략 11월 말 정도까지, 한국에서 점점 짧아지고 있지만 대신 봄에도 있기 때문에 두 번 있는 환절기 아우터가 뭐가 있나 살짝 찾아봤다. 제목처럼 에잇세컨즈 한정. 유니클로나 자라, H&M은 다음 기회에. 한정된 자본의 활용이라면 가을 옷 살 돈을 아껴서 훌륭한 겨울 아우터를 구입하는 게 낫다. 그렇다고 너무 싼 거 사면 마음에 안 들어서 두세 개 사게 되고 그러고도 다 마음에 안 들고 뭐 이런 사태가 생길 수 있으니 언제나 현명한 판단... 집에 갔거나 혼자 있었거나 추석 연휴로 지친 마음 한 .. 2015. 10. 1. 플랙진 그리고 중저가 데님의 도약 올해 8월 네이버에서 청바지 검색 순위를 보면 다음과 같다. 보다시피 기존 유명하던 누디진, 디젤, 리바이스, 디스퀘어드 그리고 유니클로 등도 있긴 하지만 플랙이 단연 1위다. 차이도 많이 난다. 플랙(PLAC)은 국내 브랜드로 2009년 런칭했다. 7가지 핏의 데님 라인이 잘 알려져 있고, 아우터와 셔츠까지 풀 라인업 브랜드다. 명동에 매우 큰 플래그십 매장이 있어서 저건 뭔가하고 본 기억이 있다. 공홈은 여기(링크). 대체적인 줄기로 보자면 셀비지 데님의 유행을 국내 브랜드에서 이어 받은 거라 볼 수 있다. 유니클로처럼 너무 베이직하거나 허접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너무 비싸지 않은 적절한 선을 이어 나가면서 꽤 성공적으로 안착했다고 볼 수 있다. 트렌디한 슬림핏 스타일로는 베를린 라인의 RAW나 셀비.. 2015. 10. 1. 차홍 마리텔 헤어 두피 관리 방법 우선 내 이야기를 잠깐 하자면 헤어라는 건 도무지 알 수 없는 그런 세계다. 미장원에 가면 머리를 어떻게 해줄까요 물어보지만 생각나는 건 아무 것도 없고, 뭘 해야할 지도 모르겠고, 게다가 두피 관리 같은 것도 단편적으로 줏어 들은 건 있지만 제대로 아는 건 거의 없다. 예전에 비듬이 생겨서 키엘의 안티 댄드러프 샴푸(링크)를 사다가 써본 적이 있긴 하지만(요즘은 징크 댄드러프라는 게 새로 나왔다 - 링크) 오 좋긴 좋군 하고서 다시 원상 복귀 뭐 이런 식이다. 그런 고로 방송 같은 데서 가끔 나오면(어 스타일포유나 스타일로그 같은 패션류 방송 보면 가끔 나온다) 나오는 이야기 잠깐 듣고, 어~ 그런가 꼭 해야지 하고 잊어버리고 뭐 그래왔다. 여튼 그런 와중에 마리텔에 차홍이 나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음.. 2015. 10. 1. Jacquemus의 2016 봄여름 패션쇼 밀라노 패션위크가 끝이 났고 이제 파리가 시작되었다. 자크무스 이야기는 몇 번 했었는데(링크) 이번 컬렉션은 재미있다기 보다는... 뭐랄까, 한창 신나 보인다. 머리에서 생각나는 대로 이것저것 다 해보고 있는 거 같다. 패션쇼 사진은 여기(링크), 비디오는 여기(링크)에서 볼 수 있다. 2015. 9. 30. 한국판 블랙 프라이데이 시작 한국판 블랙 프라이데이 = 각종 유통사가 참여하는 대규모 할인 시즌이 내일부터 시작된다. 일단 계획은 10월 1일부터 2주간 진행된다. 원래 미국에서는 11월 말 블랙 프라이데이 때 제조사의 대규모 재고 떨이가 이뤄지기 때문에 높은 할인율이 있고, 딱히 시즌 중심의 트렌디한 제품이 아니라면 그때 구입하는 게 아무래도 이익이니까 대량 소매가 이뤄지고, 또 한 달 남은 크리스마스 계획도 연동이 되는 그런 커다란 할인 행사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이게 뭐 자기들끼리 하는 거면 다른 나라 사람으로써 아무 상관이 없을텐데 아마존이나 각종 쇼핑몰을 통한 해외 배송이 활성화되면서 관심을 가지는 사람, 실제 구입하는 사람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여튼 작년쯤 코리아 블랙 프라이데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나온 이후 .. 2015. 9. 30. 빗(brush)과의 이별 comb고 brush고 다 빗이니까... 아닌가? 여튼 물건에게 상념을 가짐은 현대인이 가장 피해야 할 덕목인 바 이런 태도는 권장할 게 못되는데 그래도 오랫동안 방 한 켠을 점유해 오며 함께 한 빗을 보내며 잡담을 한 번. 추석 시즌의 회한과 후회가 겹쳐서 인지 이런 류의 이야기(링크)를 두 개나 적게 되어서 마음 한 구석 어딘가 씁쓸하지만. 이 빗은 현대의 문명인에게는 빗이 필요하다라는 결론을 내리고 지하철 역에 있는 화장품과 소품을 파는 매장에서 구입했다. 신촌역 아니면 월곡역인데 확실히는 기억나지 않는다. 1,500원이었나... 1,000원이었나 여하튼 굉장히 오래 전 일이다. 작은 크기면서도 브러쉬 부분은 은근 널찍하고, 고무 부분이 푹신푹신하고, 볼팁은 두피에 필요없는 자극을 주지 않는다. 손.. 2015. 9. 30. 첼시(Chelsea) 부츠란 무엇인가 첼시 부츠의 형태가 처음 선보인 건 빅토리아 여왕 때다. 여왕의 신발을 만들던 J. Sparkes-Hall이 만들었고 1851년에 이걸 특허 등록을 했다. 당시 이름은 제이 스파크스-홀의 특허받은 Elastic Ankle Boots. 이름에 나와있듯 이 구두의 두 가지 특징은 발목까지 오는 앵클 부츠라는 거, 그리고 발목에 신고 벗기 편하도록 신축 밴드가 붙어 있다는 거다. 당시에는 말을 타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많이 걷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이 부츠는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1940년대에 패션에 유입되기 시작했고 어느덧 서양 구두의 대표적인 모습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론 알다시피 1950, 60년대 브리티시 락앤롤과 Mods(링크)의 인기 속에서 이 부츠는 한 시대의 아이콘이 되었다. 스윙잉 런던.. 2015. 9. 29. 옛날 옷의 기억 그리고 유니클로의 무톤후리스재킷 며칠 전에 유니클로 구경을 하다가 이런 옷을 보았다. 이름은 윈드 프루프 무톤후리스재킷. 윈드 프루프는 방풍 처리를 했다는 거고 무톤은 mouton, 그러니까 원래는 양가죽을 물개 표면처럼 가공한 거고 흔히 무스탕이라고 부르는 건데 위 옷은 물론 무톤風이다. 후리스는 안에 털이 붙어있다는 소리. 특수한 방풍 필름을 넣었다는 데 뭔지 모르겠고 뭐 어쩌구 저쩌구 하지만 결론은 폴리에스터 100%. 정가는 4만 9천 9백원(링크). 어쩌다 2015년 가을에 이런 옷이 세상에 나왔는지 전혀 모르겠지만... --- 그러니까 아주 어렸을 적에 갑자기 무스탕이 입고 싶어진 적이 있다. 하지만 무스탕은 어린 아이가 맘대로 살 수 있는 옷은 아니고 그래서 고터였나 어디었나를 돌아다니다가 저 유니클로 재킷과 거의 비슷하게.. 2015. 9. 28. 이전 1 ··· 180 181 182 183 184 185 186 ··· 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