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의 자유로움

by macrostar 2020. 10. 1.
반응형

사실 패션과 관련이 없어 보이는 못생긴 옷, 누구도 신경 쓰지 않는 듯한 옷을 입고 다니는 사람들은 세상에 이미 많이 있었다. 예를 들어 자기 할 일을 열심히 하느라 패션 같은 데 신경 쓸 돈도 시간도 없는 사람들, 편한 복장을 선호하는 실용적인 여행자들, 옷이란 그저 추울 때 따뜻하면 되고 튼튼하고 관리가 편하면 좋다는 이들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런 옷에 사실 꽤 익숙한 편이다.

 

등산복 패션, 골프복 패션, 관광객 패션 등등은 모두 편안함을 극도로 중시하는 방식이다. 즉 옷에서 형식이라는 부분을 제외시킨다. 물론 편안하겠지만 이런 옷차림은 패션 파괴자 같은 놀림을 꾸준히 들어왔다. 그런데 상황이 조금 달라졌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편안함과 실용성을 중시하고 있다. 유행하는 패션도 스포츠, 아웃도어 등에 맞춰진 옷이 늘어나고 있다.

 

사진은 얼마 전에 발표된 리안나의 세비지 X 펜티 남성복 캡슐

 

현대의 사회는 형식미보다는 보다 목적을 중심으로 실용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편안한 복장이 유행하는 것도 그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정장 특유의 갖춰 입기도 재미있게 즐기는 사람들이 있겠지만 그런 형식미는 본래 사회적 약속으로써 존재한다. 이 말은 결국 남에게 보이기 위한 방식이라는 뜻이다. 혼자 남은 세상에서 포멀 웨어를 갖춰 입는 건 그저 재미를 위해서 외에 다른 이유를 찾을 수 없을 거다.

 

그런데 사람들이 각자의 삶을 중시하고, 타인의 삶을 존중한다면 옷만 가지고 무엇인가를 판단할 리는 없다. 말하자면 형식미를 이용해 타인에게 어필을 해야 할 이유가 줄어든다. 즉 겉모습만 가지고 판단하지 않는다라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믿음과 신뢰가 옷의 형식성을 느슨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런 덕분에 사람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체형과 신체적 특징, 취향과 선호에 따라 옷을 입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그런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상태에서 “옷을 맘대로 입자"라는 건 환상일 뿐이다. 예를 들어 회사에서는 옷 때문에 누구에게도 쓴소리를 듣지 않을 사장, 고위직이나 마음대로 입고 다닐 수 있을 거다. 정장을 입어야만 하는 곳에 트레이닝 복을 입고 갈 수 있다는 건 그래도 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권력자와 비권력자 뿐만 아니라 성별, 인종, 민족 등등 권력 비대칭이 있는 모든 곳에서 이런 일은 나타난다.

 

즉 옷을 마음대로 입을 수 있다는 건 그저 사회적 권력을 표시하는 방법 만이 될 수도 있고, 심지어 꽤나 마음 대로 입고 있을 수 있다는 걸 자신은 모르고 있을 가능성도 높다. 결국 패션의 자유로움은 고급 패션 브랜드가 티셔츠와 트레이닝 복을 내어 놓으며 이뤄내는 일이 아니라, 사회가 만들어 낸 결과여야만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