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

프라다 2025 FW 이야기

by macrostar 2025. 1. 21.
반응형

2025년 1월, 남성복 FW 패션쇼 시즌이다. 어제 라이브로 프라다 패션쇼를 본 김에 몇 가지 이야기. 우선 남성복 패션쇼는 약간의 메타화, 3인칭화가 더 필요하다는 점이 약간 어렵다. 예를 들어 여성복 패션쇼는 내가 입을 수 있는 옷이다라는 생각이 없기 때문에 그냥 패션으로만 대하는 게, 보다 수월하다. 하지만 남성복 패션쇼는 저걸 내가 입을 수도 있다라는 생각이 약간의 노이즈를 만든다. 누군가 - 이것은 인간을 칭하지만 구체적인 대상이 있는 건 아니다 - 가 입을 수 있는 옷이다 정도로 충분하다. 그 다음에 생각할 건 보이는 조합이 어떤 새로움을 만들어 냈는가, 저 디자이너 브랜드가 제시하는 세계는 어떤 모습인가, 저런 옷을 어떤 상황에서 입고 어떤 모습이 연출될 것인가 등등 일 거 같다. 아무튼 패션에 대해 하는 이야기가 소식지가 되거나, 쇼핑 가이드가 되는 건 여길 통해서 할 수 있는 종류, 하고자 하는 종류는 아니다.
 
최근 프라다는 미우치아 프라다 + 라프 시몬스 체제, 미우미우는 미우치아 프라다 체제로 운영이 되고 있다. 또한 미우미우는 가히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고 실제로 최근 몇 년의 패션은 꽤 신선하다. 매장 가서 보면 단일 아이템들도 볼 만한 게 많다. 프라다는 애매하다. 미우미우의 인기와 더불어 프라다는 상위 호환으로서 뭔가 미우미우에서 봤는 데 그것보다 더 좋아보이는 게 있다 + 리-나일론이라는 유니크한 라인이 있다 정도다. 그리고 프라다 패션쇼는 라프 시몬스라는 존재가 더해져 있기 때문에 그가 만들어 내는 다른 방향이 무엇인가에 대해 비교 탐구가 가능하다. 
 

 
위 사진은 프라다 공홈.
 
원래 남성복 패션쇼라는 게 대체적으로 시시하고 재미가 없긴 한데 이번 프라다는 더욱 그렇다. 애매하게 얹어져 있는 웨스턴의 기운은 프라다 특유의 압도적인 이미지와 미니멀리즘을 해치는 역할만 하고 덜렁거리는 액세서리들은 뭐 하자는 건지 잘 모르겠음. 패션쇼 안에 드리워져 있어야 할 프라다가 만들려는 세상, 프라다가 제시하는 인간의 모습이 뭔지는 불투명하고 그게 아니라면 힙과 하이프라도 있든가 그것도 아니면 유행할 템이라도 나왔으면 하지만 컬러풀한 웨스턴 부츠? 체크무늬 코트? 여기저기 두른 퍼 아이템들? 글쎄... 위 사진에 나온 파자마 셋업이 약간 근사한 정도. 그런 점에서 프라다에 라프 시몬스가 있는게 정말 득으로 작용하고 있는가 궁금해진다. 현 상황에서 득이라면 미우미우가 더 돋보이게 되는 정도가 아닐까.
 

 
패션쇼의 시시함에 비해 프라다의 Re-Nylon 영상 시리즈는 꽤 재미있게 봤다. 이것은 파타고니아인가 아크테릭스인가 같은 생각이 들긴 하지만 그래도 신소재를 활용하는 남성복 패션과 그 이미지 메이킹은 그런 거여도 크게 상관은 없다. 좋은 점퍼를 입고 좋은 운동화를 신고, 흔한 아이템이지만 굉장히 비싸고 좋은 것들을, 게다가 재활용 환경 사랑을 얹고 싶은 마음들은 다들 꽤나 있으니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