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런 하루를 끝내는 행동적 요식 행위를 하나쯤 가지는 것도 나쁘지 않다. 아는 선배 한 명은 책을 읽었다. 코가 삐툴어지거나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수준으로 취해서도, 용돈이 없어서 며칠 노가다를 뛰면서도 아무거나 집어들고 책을 읽었다. 그런 게 기억이 날 리가 없다. 하지만 요식 행위란 원래 그런 거다. 의미가 없을 수록, 복잡다단할 수록 우월하다.
옷 솔질은 괜찮은 행위다. 가장 좋은 점은 의식적인 하루의 끝을 침대 속에 들어가기 전이 아니라 집에 들어오자 마자, 혹은 샤워를 마치자 마자로 바꿔놓는 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옷 솔질을 마친 시점과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의 시간은 빈 시간, 이 된다. 물론 이런 인지적 변형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어지간히 오랫동안 수행을 거쳐야 한다. 자연스러워 지는 데 가장 필요한 건 반복과 시간이다.
더구나 옷 솔질은 하루를 끝냈다는 편안함을 줌과 동시에 옷의 수명 연장이라든가, 옷 걸이의 먼지 방지 같은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사진은 약간 연출.
옷 솔은 돼지나 맷돼지 털로 만든게 좋다. 보급형이라면 딱히 비싸지는 않다. 지마켓에서 파는 장미 옷솔(서울 브러쉬)은 5,000원이고 10,000원 쯤 하는 웨신도 괜찮다. 무인양품에서도 나온다. 샤워용이건 빗용이건 브러쉬를 만드는 회사라면 대부분 만든다. 이왕이면 좋은 걸 가지고 쓰고 싶다면 켄트 브러쉬도 좋다. 제일 좋아봐야 60파운드 쯤이다.
다만 손잡이가 플라스틱으로 된 제품들도 나오는 데 그것만은 나무로 된 걸 추천한다.
켄트 브러쉬에 대해서는 예전에 쓴 이야기가 있다. 영국에 있는 아주 오래된 회사다.
http://macrostar.egloos.com/4177203
옷을 아끼기 위해서든 아니면 그저 요식 행위이든 옷 솔질에 딱히 특별한 요령이 있는 건 아니다. 코트나 자켓이나 울이나 면으로 된 거라면 옷 걸이에 걸어놓고 옷 결 따라 정성스럽게 문지르면 된다. 괜히 힘 줄 필요는 없지만 이왕 하는 거 구석 구석 하는 게 좋다.
고어 텍스나 가죽 옷에는 사용해 본 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지만 솔질 따위는 안 하는 게 나을 것 같다. 비닐 옷도 문질러봐야 별 소용 없고 들고 나가서 탈탈 터는 게 더 효과적이다. 물론 이건 솔질처럼 뭔가 하고 있구나 하는 느낌은 덜하다.
옷 솔은 비싸진 않지만 있으면 꽤 유용하다는 점에서 선물용으로도 괜찮다. 자고로 선물은 아무짝에도 쓸데 없는 고급품이 가장 좋고, 그 다음은 있으면 좋은데 제 손으로는 사지 않을 거 같은 것들이 아닐까 싶다.
그닥 즐거운 일은 없었지만, 그럭저럭 오늘 하루도 끝이 났다.
반응형
양복솔 하면 켄트브러쉬죠
답글
기회가 된다면 켄트죠.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오래간 만에 오셨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