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품3

패션 雜論 제목이 좀 이상한 가 싶은데 원래 아이스버그 論을 쓰려다가 두 가지 이야기를 먼저 꺼내본다. 아이스버그라는 이상한(?) 패션 하우스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기회에. 1) 장인이 개입된 제품 제작은 말하자면 매니아질 중에 하나다. 좀 더 고급 재료 얻겠다고 산으로 들로 인도로 돌아다니고(로로 피아나의 베이비 캐시미어 링크), 흔들림을 체크하겠다고 부품을 입에 물고 시계를 조립하고(독립 시계사들의 소우주 링크), 바느질을 2만번 씩 해서 가방을 만든다(에르메스 링크). 그냥 캐시미어와 베이비 캐시미어의 차이는 알 수도 없는 정도일 지도 모르고(루이기도 그 사실을 알고 있다, 다만 궁금할 뿐이다), 굳이 부품을 천 개 씩 쓴다고 시간이 더 정확해 지는 것도 아니고(오히려 부품이 많으면 잔 충격에 훨씬 민감해져 .. 2012. 1. 18.
Missoni + Target 또 다른 이야기 위 사진은 트위터의 @MariaSanz 라는 분이 올린 사진(링크). 미소니가 최근 들어, 아니 창사 이래 이런 일이 있을까 싶게 Target 컬렉션은 히트를 쳤다. 오프닝 날 Target 홈페이지는 다운되었고, 브루클린 매장엔 더 이상 남은 물건이 없다. 대신 사재기를 한 사람들의 물건들이 이베이에 잔뜩 깔렸다(링크). 이로서 미소니 가문의 새로운 분야에 대한 첫 발자국은 일단 성공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사태는 굉장히 여러가지를 암시하는데 토털 패스트 패션 부문에서 미소니가 가능성을 증명하며 한 자리를 차지했다는 점. 그리고 지금까지 콜래보레이션 정도에 치중하던 다른 럭셔리 하우스들에게도 나아갈 길에 대한 일단의 힌트를 줬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과 럭셔리 디자이너 하우스들은 기껏해.. 2011. 9. 26.
디자이너 하우스들의 사회적 책임 매년 그렇듯 여전히 럭셔리 브랜드라고 불리는 디자이너 하우스들의 패션쇼가 진행 중이다. 지금은 아마 런던 패션 위크 중일거다. 하지만 첨단으로 불리며 유행을 선도하는 디자이너 하우스들이 애써 눈을 감고 귀를 닫고 있는 분야가 있다. 바로 환경과 관련된 윤리적 책임감이다. 갭, 나이키, 아디다스같은 대형 의류 및 신발 브랜드들은 한동안 스웨트 샵과 관련된 문제 제기에 시달렸다. 아직 완전히 청산되었다고 할 순 없지만 그래도 예전에 비하면 많은 부분에 감시의 눈길이 닿아 있다. 얼마 전에 그린피스에서 toxic한 원료를 사용하는 나이키, 아디다스, 퓨마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를 보냈고 결국 긍정적인 답변과 구체적인 방안도 얻어냈다. 예전에 애플의 아이팟에 들어있는 플라스틱 문제와 비슷한 종류다. 럭셔리 브랜드.. 2011. 9. 17.